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07개 논문이 있습니다
111

제45권 제2호

당뇨병 환자의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연속다중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Serial Mediation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on Depression in Diabetes Patient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정단단(안후이중의약대학 제1부속병원) ; 서정교(중부대학교)
Zheng, Dandan(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Anhui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 Suh, Jeongkyo(Joongbu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2, pp.675-695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2.675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al pathways linking health consciousness to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emphasizing serial mediation by physical activity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longside gender-dependent moderation. Data from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via bootstrapping, and multi-group analysis evaluated gender’s moderating role. Among diabetic patients, 6.2% exhibited moderate-to-severe depressive symptoms, with 0.7% meeting criteria for severe depression. Health consciousness exerted both direct and total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with physical activity and GAD serving as sequential mediators. Critically, the mediation pathway through physical activity demonstrated the strongest effect, surpassing the GAD-related pathway. Gender significantly moderated three key relationships: (1) between health consciousness and depression, (2)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nd (3) GAD and depression. Male patients showed stronger direct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on depression reduction, whereas females exhibited greater sensitivity to medi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se findings highlight health consciousness as a pivotal modifiable factor in depression pathogenesis and underscore the necessity of gender-tailored interventions. Clinical implications emphasize dual strategies: enhancing health consciousness to activate protective behaviors and designing sex-specific programs—cognitive-focused approaches for males versus physical activity-integrated interventions for females. This study provides a robust empirical foundation for multidimensional, personalized diabetes care targeting mental health comorbidities.

초록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 발병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건강의식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의 다중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당뇨병 환자의 6.2%에서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0.7%는 중증 우울증으로 분류되었다. 건강의식은 우울증에 대한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과 함께 신체활동 증가 및 범불안장애 감소를 매개로 한 다중간접경로를 통해 종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활동 매개경로가 범불안장애 경로보다 더 큰 효과를 보여, 건강의식 향상이 신체활동 증진을 통해 우울증 예방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중집단분석에서는 남성 환자그룹에서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여성 환자그룹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를 통한 간접경로에서도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남성 환자그룹의 경우 건강의식 개선이 정신건강에 더 직결되는 반면, 여성 환자그룹에서는 신체활동 증진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당뇨병 관리전략 수립 시 건강의식 강화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성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rapidly growi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nalyzes the statu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For more accurate data-based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Time Use Survey: Time Spent Together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examines the actual time young people spent with other people, their leisure time spent alone, their time spent on paid wor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time they spend on these different dimensions of daily lif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ime spent by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nother person is about 74 minutes per day, which is 55-60% more than other types of household, and is about 50-60 minutes shorter in terms of time. Second, the group with the longest social relationship time is female, and is between 20 and 24 years old, attending school or in the nonworking state. Third, the time spent on social relationships was higher for women with a monthly average personal income of over 3 million won. In particular, the high income status of a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time of paid work and social relation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 support policy should not be limited to housing and employment but should be expanded. In this process, a new social safety net is formed to form a social network of young people.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청년 1인가구에 주목하여 그들의 사회적 관계는 어떠한 상태인가를 분석하였다. 보다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을 위하여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함께한 사람’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 혼자 하는 여가시간, 그리고 임금노동 시간의 실태와 각각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가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시간은 하루에 약 74분으로, 이는 다른 유형의 가구보다 55~60% 수준이며, 시간량 측면에서 50~60분 정도 짧다. 둘째, 청년 1인가구 중에서 사회적 관계 시간이 가장 긴 집단은 여성이면서, 20세부터 24세까지 후기 청소년시기에 있고 학교에 다니거나 비근로상태인 경우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여성이면서 월평균 개인소득이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일 때 사회적관계 시간이 증가한 반면, 종사상의 지위가 상용직이거나 직업이 관리전문직, 기능장치조립직에 있을 때 사회적 관계 시간의 감소폭이 컸다. 한편, 상용직이면서 직종이 서비스판매직일 때 임금노동시간의 증가폭이 가장 컸고, 남성이면서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일 때 임금노동시간이 증가하였다. 특히 청년1인가구의 고소득상태는 임금노동과 사회적 관계 시간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청년지원 정책이 주거와 고용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범위가 확대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새로운 사회안전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사회복지현장에서 부각되지 않았던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체류 이주민 중 영주권자와 귀화자들의 이주라는 경험을 통해 형성된 주관적 인식들이 생활 만족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계층이동감과 한국에 대한 상대적 소속감이 현재 생활 만족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끼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이 이주맥락을 결정짓는 중요 요소인 성별이나 출신국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지 통계적 분석을 통해 논의하였다. “2013 영주권자‧귀화자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총 1,054명의 이주자들의 생활 만족감을 설명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계층이동감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이동할수록 남녀 이주자 모두의 생활 만족감을 높이는 독립적인 효과를 가졌다. 또한 계층 하향이동감은 선진국 출신 이주여성들의 생활 만족감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한국에 대한 상대적 소속감은 여성 이주자의 생활 만족감에만 유의한 영향력을 가졌고, 그 중에서도 후진국 출신 이주 여성들의 생활 만족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이주 집단 간의 생활 만족감이 형성되는 상이한 맥락들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rmanent immigrants in Korea. We us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of Naturalized Citizens and Permanent Residents in Korea (2013)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mobility and sense of relative belonging to Korea on life satisfaction. Our analysis suggests that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in both men and women, even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oping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sense of relative belonging to Korea and life satisfaction varies with gender: its effect is significant for women but vanishes for men. Women who came from developed countries tend to b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perceived downward mobility, while those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sense of belonging to Korea.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제4차 국민노후보장패널을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년층의 여가활동 실태를 살펴보고 유형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가활동부족형, 정적놀이형, 운동참여형, 자연친화형, 친목교류형의 5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중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다른 유형의 1/4~1/7 수준인 여가활동부족형이 전체 노년층의 약 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년층의 상당수는 특별한 여가활동 없이 일상생활을 무료하게 보내고 있으므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여가활동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상활동에 제한이 있고, 수발가족이 있으며, 취업상태에 있는 고연령의 여성일수록 여가활동부족형에 속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경제수준이 높고, 도지역에 거주할수록 여가활동부족형에 속할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저소득가구에 속하며 건강수준이 낮고, 수발가족이 있는 여성노인이 노년층 여가정책의 최우선대상으로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bjectives to assess the status of leisure activities for older people in Korea using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attern of leisure activities is in 5 types - less leisure, playing indoor games,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enjoying in nature,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Older people in Less leisure are less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than the other types and its type accounts for 72% of all older people. And age, gender, health status and economic level are effects on the leisure activities pattern. Therefore, it is the target group who older poor females with restric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st of Korean older people spend or kill their time without certain leisures and accordingly it is needed a special political attention to support for older poor females.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직업, 소득, 교육수준) 변화가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와 흡연량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3차와 7차 모두에 응답한 근로자 2,7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3차와 7차에 비사무직으로 변화하거나 비사무직에 머문 근로자들에게 있어서 흡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를 겪을 때 남성근로자보다 여성근로자의 흡연량이 더 증가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 직업의 변화측면이 흡연량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하고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성별의 조절효과는 여성 근로자가 남성 근로자에 비해 직업의 변화로 인해 흡연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분석결과들은 향후 직업 변화와 성별을 고려한 금연정책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근거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status(occupation, income, education level) and smoking in employees, with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se associations.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19 Employee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8 and 2012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clude; First, the change into blue-color employe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moking. Second, the effect of the changes into blue-color employees is modified by gend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s of occupation are noteworthy factors.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y of gender moderating effect suggested that female employees have a great potential in much more smoking than men because of the changes of occupation. We expect that these findings are useful to establish more adjustable antismoking policies to gender and the changes of occupation.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해외이주 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런던과 근교에 거주하는 13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설정한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가족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정도가 낮은 집단,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큰 집단의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해외이주 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외이주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족의 해외생활 적응과 가족기능을 향상을 위하여 해외이주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문화적 전환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 체계로서 스트레스 완화와 가족기능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al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family function of immigrant family. The sample consisted of 130 Korean women living in the UK.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al factors for family fun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categorized as psychosocial factors, there were meaning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 The group which had low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high family functioning. The group ha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s also showed high family function. Regression analyses determined that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s on family function of Korean immigrant famil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cerns and interventions abou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to improve family function and family adaptation to host cultur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emphasizes decreasing stress and facilitating family function for immigrant families undergoing cultural transitions.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생애주기 상에서 일-가족 갈등이 보다 첨예하게 경험되는 시기에 있는 맞벌이 여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직장과 가족이라는 두 영역에서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가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역할 간 갈등과 고충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관찰과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15명의 맞벌이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불충분한 양육대안, 자녀에 대한 죄책감, 취업모의 일상과 괴리되는 학교운영, 전통적인 성역할에 의한 역할분담, 취업모를 평가하는 이중잣대, 시간배분의 어려움, 형식적인 가족친화제도 등으로 인해 긴장과 갈등의 연속인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부담과 갈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참여자들 대부분이 신체적으로 늘 피곤한 상태에 있었고, 자녀에 대해 죄책감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직장과 가족생활에 몰입하고 시간과 에너지를 이 두 영역에 배분하게 되면서 자신에게는 소홀해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일가족양립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 노동시장,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차원의 과업으로 총체적인 입장에서 접근할 것과, 맞벌이 부모의 목소리가 반영된 실제적인 제도의 운영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llenges mothers tend to face in dual-earner family settings.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working mothers appear to believe there are inevitable and significant challenges that are intrinsic to the dual-earner family arrangement. These are lack of good quality of child care, feelings of parenting guilt, gaps between working mother's work schedule and the education system, gender inequality in unpaid work, prejudice against working mothers, difficulties of time division and unavailable family-friendly system are the important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s. In addition, paid work and its intersection with family life imprints deeply into the health and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Poli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re identified.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 논문은 2002년「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직종 내에서의 여성근로자의 경제적 지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보건의료 전문가」 직종 중에서 남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의료진료 전문가(간호 제외)」직종과 여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약사」직종을 중심으로 두 직종간의 임금수준을 비교분석하고, 두 직종간에 성별 임금격차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직종내에서 발생하는 성별 임금격차를 요인별로 분해하여 그 성별 임금격차가 ‘생산성 격차’에 의해 기인한 것인지, ‘노동시장에서의 차별’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직종별 임금수준과 성별 임금격차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타직종에 비해 연령수준과 근속연수, 월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임금수준은 매우 높아 전반적인 근로조건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내에서의 성별 임금격차는 거의 관측되지 않았지만 두 직종을 제외한 타직종에서의 성별 임금격차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성별 총 임금격차에서‘생산성 차이로 인한 임금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81.65%로 매우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타직종에서는 성별 총 임금격차에서‘차별로 인한 임금격차’가 매우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에서는 성별 임금수준의 차이가 거의 대부분 근로자의 생산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의료진료전문가」직종과「약사」직종은 대표적인 고임금직종으로서 성별 임금격차는 낮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 성별 임금격차 또한 대부분 근로자의‘생산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동경제학에서 말하는 혼잡효과(crowing effect)를 간접적으로 입증해 주고 있다. 즉 여성근로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직종일수록 저임금 직종이고, 성별 임금격차는 크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성별 총 임금격차 중에서‘차별에 의한 임금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This study estimates gender wage gap by medical examination professionals and pharmacist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gender wage gap in 「medical examination professionals」and 「pharmacists」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In addition, the wage gap by productivity in the gender wage gap is high. 2. The gender wage gap in others i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the wage gap by discrimination in the gender wage gap is high. The gender wage gap has declined annually. The gender wage gap in occupation with lower wage level is higher. The decline of gender wage gap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laxa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Without improvement in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ongoing crowding effect,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would lead to higher gender wage gap. Therefor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should precede reduction in gender wage gap.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에 따른 허약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총 4,12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를 75세 이상 85세 미만의 중 고령노인집단(n=3,373명)과 85세 이상의 초 고령노인집단(n=750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중 고령노인집단에서 전 허약노인과 허약노인은 각각 1453명(약 43%), 1,268명(약 37%)으로 나타났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에서 전 허약과 허약노인은 304명(약 40%), 396명(약 52%)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건강단계에서 허약 전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중 고령노인집단에서는 여성, 낮은 교육수준,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허약 전 단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초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우울, 낮은 사회활동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허약 전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의 진입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중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연령, 미취업,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은 높은 연령, 많은 만성질환,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연령의 세분화와 다각적인 요인의 접근으로 허약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예측요인은 추후 허약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frailty in different age grou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SLCE). In the research model, 4,123 older adults aged 75 and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SLCE. All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age groups based on their age; the young old group (75-85) and the old-old group (85+). The young old group consisted of 1,453 (43%) pre-frail older adults and 1,268 (37%) frail older adults; the old-old group consisted of 304 (40%) pre-frail older adults and 396 (52%) frail older adult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young-old, being female, lower levels of education,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nsition to pre-frailty from non-frail status. In the old-old, being female, higher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in the young-old were being female, higher age, being unemployed,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old-ol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were only higher age, having more chronic diseas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king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frailty.

초록보기
Abstract

In Korea, the increasing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the asymmetric distribution of housework hours by gender mixed across. In this paradoxical situation,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is potentially importa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ing patterns of allocation of housework hours by gender. Also, we examined in depth how factors that influence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dual-earner couples also affected these changes. To improve the asymmetrical pattern of housework hours of dual-earner coupl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husbands’ housework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he wife’s earned income is likely to lead to more hours of housework for the husband.

초록

한국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증가와 성별 가사노동시간의 비대칭적 배분 양상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 가정 양립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성별 가사노동시간 배분에 대한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맞벌이 부부의 노동시장 참여 요인 중심으로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있다. 맞벌이 부부의 성별 가사노동시간의 비대칭적 양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 필요가 있는 바,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상대적 자원이론과 경제 의존성 모형의 논의와 유사하게, 부인의 근로소득 수준 향상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증가를 견인할 개연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