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5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감 감소 및 심리적 안녕감 지원을 위하여 감각자극에 기반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치료 전후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 소도시 소재 장애인종합복지관에 등록되어 있는 독거 재가 장애인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열 명을 대상으로 12회기(회기당 120분)에 걸쳐 집단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독거 재가 장애인의 환경적·심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어깨동무, 쓰다듬기 등과 같은 촉각 활동과 함께 점토, 밀가루 등의 촉각 촉진 질료를 활용하면서 이야기 창작, 놀이, 역할연기 등의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전후에 참여자들의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우울증척도(K-CES-D)와 심리적안녕감척도(PWBS)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자극에 기반한 표현예술치료 후 독거재가 장애인의 우울증척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p;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raw up an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of sensory stimulation for disabled persons living alone at hom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at, we have designed an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Then, ten disabled persons living alone, registered to a welfare center in a small-sized city, were participated to this program for 12 sessions (120 minutes for a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pre-post tests were conducted using K-CES-D and PWBS. The significance of the scores’ changing between pre-post tests was verified through paired samples t-test. As results, the participants’ depres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

12

제38권 제3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문난영(이화여자대학교 / 늘푸른집) ; 김석선(이화여자대학교) ; 길민지(이화여자대학교)
Moon, Nan-Young(Ewha Womans University / Nulpurunjip) ; Kim, Suk-Sun(Ewha Womans University) ; Gil, Minji(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38, No.3, pp.161-161 https://dx.doi.org/10.15709/hswr.2018.38.3.161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edia reports related to criminal behavior foster stigma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compare stigma between general adult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to determine whether fear of crime, recovery knowledge, and prejudice toward the mental disorder are associated with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he participants were 109 general adults and 108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fter reading the crime scenarios in which a murderer with mental disorders,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finding reported that general adults had significantly more stigma toward the mental disorder tha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recovery knowledge and social life restriction regarding prejud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general adults.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ear of crime, recovery knowledge, and social life restriction and concep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regarding prejudi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dia reports related to criminal behavior fostered stigma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media guidelines and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매체가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간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일반성인 109명, 정신건강전문가 108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자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회복에 대한 인식, 사회적 편견, 차별행동의 차이 및 두 집단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신질환자의 범죄에 대한 내용의 시나리오를 제공한 후, 자가보고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 Measurement of Fear of Crime, 회복에 대한 인식 Recovery Knowledge Inventory, 사회적 편견 Community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차별행동 Opinion about Mental Illness 척도를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독립 t-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성인이 정신건강전문가보다 정신질환 회복에 대한 인식, 사회적 편견, 차별행동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성인은 회복에 대한 인식이 6.8%, 사회생활제한이 41% 차별행동에 대해 설명력을 보였다. 정신건강전문가는 사회생활제한과 지역정신보건개념이 차별행동에 대해 41.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죄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대중매체의 역할이 중요함이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일반성인과 정신건강전문가 각 집단별 정신질환을 가진 범죄자의 차별 행동을 낮추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신질환자에 대한 대중매체 보도를 개선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13

제40권 제1호

위암 수술 환자의 심리·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지명숙(동남권원자력의학원) ; 김정수(부경대학교)
Ji, Myoung Sook(Dongnam Inst.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 Kim, Jeong Soo(Pukyong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0, No.1, pp.124-145 https://dx.doi.org/10.15709/hswr.2020.40.1.124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relevance.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145 patients who receive medical treatment in outpatient clinic after gastric cancer surgery in 1 hospita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us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to Illness Scale-Self Report (PAIS-SR), the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and the Korea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Psycho-socia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ive emotional control, while showing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emotion control. The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after gastric cancer surgery were shown in the order of health status awareness, family living together, adaptive emotional control, age, spouse, maladaptive emotional control, and postoperative treatme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5%.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apply cognitive-emotional control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improve psychosocial adjust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patient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암 수술 환자의 외상 후 성장과 적응적, 부적응적 정서조절이 심리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의 병원에서 위암 수술 후 외래에서 진료를 받는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 적응의 자가 보고식 도구(Psychosocial Adjustment to Illness Scale-Self Report: PAIS-SR),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Korea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심리・사회 적응은 외상 후 성장, 적응적 정서조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정서조절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암 수술 후 심리・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인식, 동거가족, 적응적 정서조절, 연령, 배우자, 부적응적 정서조절, 수술 이후 추가치료 여부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5%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암 수술 환자의 심리・사회 적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대상자의 특성에 맞춘 인지적 정서조절을 적용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할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탈성매매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특성, 가족적특성, 외상적 특성으로 나누어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조사시점 당시 전국 26개 성매매피해자지원시설에 입소 중인 탈성매매여성 전체로, 총 23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SCL-90-R의 불안과 우울이며, 탈성매매여성의 불안은 평균 12.25점, 우울은 평균 18.46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각의 고위험군이 3.40%, 5.53%로 분석되어 일반 규준집단의 2.50%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정신건강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불안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아동학대 경험이 있을수록 양육자 만족도가 낮을수록 약물복용 경험이 있을수록 부정적이었고, 우울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약물복용 경험이 있을수록, 성매매기간 중 폭력 경험이 있을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탈성매매여성의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며,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장기적 지원 및 정책개발의 필요성, 종사자의 역량강화 등의 제언을 하였다.;This i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individual, familial and traumatic factors on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in post-prostitution. 235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26 community-based centers for sex-worker survivors. The SCL-90-R scale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for investigating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12.25 and 18.46, respectively. Most of all, a high-risk women for anxiety and depression consisted of 3.40% and 5.53% of the total. It indicates that women in the high-risk groups are more vulnerable in mental health problems than women in gener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w self-esteem, experience of abuse in childhood, low satisfaction toward her caregiver, a history of drug abuse predicted higher scores on the anxiety measure. In addition, low self-esteem, a history of drug abuse, and experience of violence during prostitution predicted higher depression score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developing strategies including clinical interventions to alleviate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after the exit of prostitution, policy-makings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in general, and empowerment of service-providers for them.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집단을 분류해 자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초점을 둔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주변인자살, 자살에 대한 태도,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 사회에 대한 신뢰도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2009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분석대상은 총 1,599명 이었다.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 성인의 경우 스트레스, 우울, 동거형태가 자살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성인의 경우 스트레스, 우울, 자살태도, 경제상태, 건강상태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의 자살행동 관련 요인은 스트레스, 우울,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이었고, 여성 노인의 경우는 우울, 주변인자살, 자살태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자살예방을 위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즉 전체 인구집단에 대한 우울 예방 및 조기발견, 치료를 위한 다양한 개입방안 마련의 필요성,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고위험군 성인 집단을 선별할 수 있는 스크리닝 척도 개발과 자기효능감 증진을 통한 스트레스 대처기제 강화, 자살에 대한 보도방법 및 내용 개선을 통한 자살에 대한 인식 변화 도모, 자살 유가족을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의 필요성,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갈등 완화 노력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behavior and further examines whether there is gender and age difference. For the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9) data was analyzed. Sample consists of 1,599 individuals aged 18 and over.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es with SPSS 15.0 version. The results shows that (1) stress, depression and living alon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between aged of 18 to 59, (2) stress, depression suicidal attitude,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between aged of 18 to 59, (3) stress, depression and conception of social conflict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aged 60 and over, and (4) depression, suicide survival and suicidal attitu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aged 60 and over.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eventing suicid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