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자가처방가설(Self-Medication Hypothesis: SMH)”에서는 사람들이 부정적 정서에 대처하기 위한 자가 처방으로 음주한다고 가정한다. 대학 재학 시기는 성인기로 진입하는 중요한 생애 전환기로서 일부 대학생들은 적응에 어려움을 갖는다. 특히, 최근의 경쟁적인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대학생은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러한 정서적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음주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자가처방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 대학생의 우울, 대처동기, 음주문제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및 충청지역 3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으로서(n=503, 남학생 67.6%), 연구목적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측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대처동기는 우울과 음주문제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 자가처방가설의 이론적 검증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예방하고 개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논의하였다.;The Self-Medication Hypothesis (SMH)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experience high levels of negative affects use alcohol to relieve their pain. College students in important transitional period experience a great deal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resulting from competitive socio-economical environment in South Korea.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y drink to cope those negative affects. I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motives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s based on SMH.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the South Korea (n=503, male 67.6%). Participants completed a confidential face-to-face survey regarding their level of depression, cop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As hypothesiz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oping mo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se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s are discussed.

2

제37권 제1호

Alcohol Dependence Assessment in South Korea and Mainl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응급실 내방 손상환자의 알코올 의존자 비율 비교 연구
MtwesiMandisa Pumla ; SerranoSalim ; ChunSung Soo ; ZibaPatrick Wyson
보건사회연구 , Vol.37, No.1, pp.568-589
PDF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This study aimed at using design-thinking to surmount globally harmful drinking dynamics, as identified in South Korea and alcohol research-scarce China. The prevalence rate of 12-month diagnoses of the Rapid Alcohol Problem Screen 4 (RAPS4) on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using the Emergency Department (EDs) surveys, sponsor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nducted on 4,509 adults visiting the Korean and Chinese EDs. Weighted prevalence estimates of alcohol dependence were cross-tabulated using chi-square tests and dependence relationships acros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using lin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sychiatric disarrays were shown by researchers to indicate alcohol dependence associated with drinking norms, evidencing a higher proportion of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17.5%), as compared to limited alcohol dependence sampling tied to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lcohol consumption in China (13.7%). The odds of alcohol dependence for m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igh in both countries, being four times higher in South Korea [4.9% (95% CI, 3.6% – 6.8%)] than China [2.6% (95% CI, 1.9% –3.6%)]. In both countries, alcohol dependence was more salient in younger ages (18–24 and 25–34) and extensively greater for males in the oldest age group, along with highest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ges 25–34 in China. Future investigators would benefit by attending precisely to measures for alcohol dependence as well as for alcohol consumption.;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응급실에 손상으로 내방한 성인을 대상으로 알코올의존의 정도를 측정하고 두 국가 간 알코올의존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세계보건기구의 유해음주감소를 위한 응급실연구의 프로토콜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두 국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알코올의존에 대한 측정은 RAPS4를 활용하여 지난 12개월동안의 음주 상태를 질문하여 의존을 측정하였다. 분석대상은 모두 4,509명이었으며, 비율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결론을 유도하였다. 응급실에 손상으로 내방한 환자의 알코올의존의 비율이 한국은 17.5%로 중국의 13.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양국 모두에서 남성의 알코올의존에 대한 확률은 높았고 또한 두 나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한국[4.9% (95%CI, 3.6%-6.8%)]에서 중국[2.6% (95%CI, 1.9%-3.5%)]보다 4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의존은 어린 나이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으나(한국 18-24세, 중국 25-34세), 남성들의 경우 나이가 가장 많은 그룹에서 알코올의존이 특이하게 높았고, 중국의 경우 25-34세 집단에서는 빈번한 폭음에 의한 알코올의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소비를 감소시킬 대책뿐 아니라 알코올의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흡연은 개인과 다른 사람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예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보건문제이자 사회문제로 인식된다. 하지만, 일반 남성 흡연자들의 장기적인 흡연행동에 대한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복측정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하여 일반 남성 흡연자들의 흡연행동의 변화 패턴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2008~2016년까지의 9개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흡연자의 흡연행동의 변화 패턴을 확인하였다. 잠재계층 분석결과로 (1) 지속적 흡연자(47.2%), (2) 지속적 금연자(33.2%), (3) 초기 금연자(7.0%), (4) 늦은 금연자(7.5%), (5) 재흡연자(5.0%)의 다섯 개의 잠재그룹이 도출되었다. 또한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임상적 특성들이 이러한 흡연행동 변화패턴과 연관성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 남성 흡연자의 장기적인 흡연 패턴을 규명하고 관련 요인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각 잠재집단에 적합한 금연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Smoking and their related negative impacts o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re important health issues, as well as social problems. This is because smoking and their negative impacts are considered the preventable diseas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longitudinal patterns of smoking behaviors among Korean male smoker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mployed Repeated Measure Latent Class Analysis (RMLCA) to explore the longitudinal smoking patterns of 4,527 Korean male smokers. This study utilized the 2008-2016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to examine longitudinal smoking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five groups of smokers who had similar smoking behaviors patterns: (1)Consistent smokers (47.2%), (2)consistent former smokers (33.2%), (3)early quitter (7.0%), (4)late quitter (7.5%), and (5) relapser (5.0%).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e.g., levels of depression, drinking) were associated with identified latent groups. Findings highlight the five distinct patterns of smoking behaviors over 9 yea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indings can be useful for practitioners to make tailored interventions based on their profi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