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explore the job-seeking experience of low-income cancer survivors. The participants were 7 cancer survivors who agreed to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y Giorgi (1970). The study derived 6 categories and 21 themes. These categories were characterized as follows: ‘returning to but encountering torn and exhausted daily life’, ‘being forced out on the labor market without preparation’, ‘being interrupted to job-seeking by wounds from cancer’, ‘climbing the steep cliffs of job-seeking without help’, ‘getting up and confronting even if being shaken and falling down’, ‘walking on the tightrope of hope for returning to work from the depths of despai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ncer survivors in low-income encounter a lot of barriers in job-seeking process, the first step of returning to work and more advice is required from health professionals in order to successfully reintegrate back into the workfor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tailored approach regarding return to work support for cancer survivors in low-income.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 암생존자의 구직 과정에서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이들의 직장으로의 복귀를 돕는 정책과 서비스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저소득 암생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자료를 Giorgi(1970)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돌아왔지만 황폐해진 일상의 삶’, ‘내몰리듯 나서야만 하는 구직시장’, ‘나서는 발걸음을 부여잡는 암의 상흔’, ‘상처투성이에 맨손으로 올라야 하는 가파른 구직의 절벽’, ‘흔들리고 쓰러져도 다시 일어나 마주하기’, ‘발 디딜 곳 없는 절망의 낭떠러지에서 구직이란 희망의 외줄 타기’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암생존자에 대한 구직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적, 임상적 보완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ing patterns on mental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among older workers in Korea. Drawn for analysis from the fifth wave of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our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8,182 older workers aged 60 and over. Two main types of working patterns were included in day work or shift work, in which the shift work was divided into evening-shift or overnight-shift. Results from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showed that older workers who did shift work were more likely to have poor mental health compared to those who did day work. Results from a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quality of slee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ing-shift and mental health. Those who reported the average quality of sleep buffered against the negative effect of evening-shift on mental health compared to those who reported worse quality of sleep.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overnight-shift among older workers, and to offer day work or morning-shift considering the older adult’s circadian rhythm. In addition, promoting age-friendly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encouraged to improve mental health among older workers.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장년 및 노인 근로자의 시간 유형별 근무형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때 수면의 질의 조절효과에 대한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0세 이상 장년 및 노인 근로자 8,182명의 ‘시간 유형별 근무형태’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조절효과에 대해 일반화된 선형 모형(GL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간 근무에 비해 비주간근무일수록 낮은 정신건강을 보고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때 비주간근무 중 저녁 근무의 경우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이 낮을 때보다 평균적일 때 저녁 근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차원에서 장년 및 노인 근로자의 일주기 리듬을 고려하여 밤 근무를 최소화하고, 아침 근무 또는 주간 근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장년 및 노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장년 친화적 근로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3

제39권 제4호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A Review of the Literature Using Photovoice in Social Work Research
허원빈(부경대학교) ; 정하은(이화여자대학교)
Her, Wonbin(Pukyong National University) ; Chung, Ha Eun(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39, No.4, pp.320-355 https://dx.doi.org/10.15709/hswr.2019.39.4.320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review, 31 studies employing photovoice in the social work area were analyzed based on 11 criteria. The review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is metho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tudies using photovoice tended to focus o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61% of the studies focused on minority groups as participants. As to research methodology, 23% of the studies used specific strategies to facilitate participant discussions, and 84%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various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matic analysis were applied. Notably, most studies did not make as full use of their photovoice results as they could have. Lastly,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specific criteria or strategies for verifying the data collected. On the whole, the use of photovoice as a research method corresponded with social work values and was an appropriate means of accommodating changing condi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review’s findings in efforts to make future photovoice studies more systematic and rigorous.

초록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1개의 기준을 활용하여 31개의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포토보이스 연구 3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토보이스 연구는 2012년부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참여자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포토보이스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취약계층에 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6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사진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기법을 사용한 연구는 7편(23%)에 그쳤으며, 자료의 수집방법으로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한 연구가 26편(8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주제분석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대다수의 연구가 포토보이스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진실성을 검증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 또는 전략도 대다수의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기본 가치에 부합하며, 변화하는 사회복지학계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동향분석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사회복지학계에서 수행되는 포토보이스 연구의 체계성과 엄격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