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난호

제41권 제2호Vol.41, No.2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결혼 및 출산의향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Family Values and Their Intention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알기 쉬운 요약

이 연구는 왜 했을까?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2020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인 0.84명으로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가치관이 여성의 결혼의향과 출산의향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가치관이 합계출산율이 1명 이상인 2015년과 1명 이하인 2018년 사이에 어떻게 변화했는가?”에 관한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했다.
새롭게 밝혀진 내용은?
2018년 미혼여성의 가족가치관은 2015년과 비교하면 모두 개방적으로 바뀌었고,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은 하락하였다. 따라서 미혼여성들의 개방적 가치관이 결혼의향 하락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해준다. 반면에 기혼여성의 가족가치관은 2015년도에 비해 뚜렷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은 2015년도에 비해 하락하였다. 특히, 첫 자녀출산에는 취업 여부가, 첫 자녀 이후 추가출산에는 주거상황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가치관이 저출산 현상에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지만, 가치관 교육이 국가가 개입하여 이루어질 수 없기에 간접적인 접근으로 가치관의 변화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적극적인 국가의 지원, 예를 들어 미혼 여성의 고용안정 대책, 기혼여성을 위한 주거안정정책과 일가정 양립정책의 보완, 강화가 필요하다.

Abstract

We examined if the values women have of marriage, childbirth, and gender role affect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to have children. For our analysi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estim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n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of 2015 and 2018.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unmarried women’s intention to marry and married women’s intention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has declin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nt since 2015. Second, in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both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Among married women with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have another child. Having a home of one’s ow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ntion to have a child. Third, the more positive unmarried women were about family valu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get married. Married women, however, appeared to have inconsistent and mixed value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give birth. Fourth, an increasing proportion of unmarried or married women were found to think that promoting marriage and childbirth should require the increas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effective policies for job security are needed for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For married women with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on-going housing policies.

keyword
Intention to MarryIntention to Give BirthFamily ValuesLogistic Regress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 기혼여성의 출산, 추가출산의향에 결혼, 자녀, 성역할 가치관이 미치는 효과를 2015년과 2018년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15년 이후 3년 동안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과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미혼 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은 취업한 경우 결혼, 출산의향에 긍정적이고,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은 결혼 당시 자가에 거주할 경우 추가출산의향이 더 높았다. 이는 첫 자녀출산 결정에는 취업여부, 첫 자녀 이후 추가출산 결정에는 주거상황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미혼 여성은 전통적 가족 가치관에 긍정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았지만,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가치관이 주는 방향은 일관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다. 넷째, 국가의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미혼 여성과 기혼여성이 증가하였고, 더 나아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결혼의향과 추가 출산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미혼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에게는 고용안정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에게는 현재의 주거안정정책을 보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주요 용어
결혼의향출산의향가족가치관로지스틱 회귀분석

Ⅰ. 서론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르게 하락하여 2018년 합계출산율이 OECD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1명 이하(0.977명)로 떨어졌다. 2015년 이전에는 그나마 1명 초반대의 합계출산율을 보이면서 등락을 반복하였지만, 현재는 더이상 해결 기미가 안 보인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저출산 현상은 기혼 가구의 출산율 하락과 미혼 남녀의 결혼지연 또는 결혼 기피에 기인한다. 혼인연령이 상승하거나 미혼으로 지내는 남녀가 많아지게 되면 유배우 비율이 감소하게 되고, 이 경우 유배우 출산율이 유지되어도 합계출산율은 감소하게 된다(이철희, 2012, p.118). 특히, 혼외자녀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혼인 건수 감소가 저출산의 중요한 원인이다(은선경, 박효진, 2020, p.211). 혼인율이 감소하고 결혼 연령이 상승하는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라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전 세계적인 경향으로 제도 또는 당위적 규범으로서의 결혼의 의미가 퇴색하는 것을 뜻한다(Cherlin, 2004, p.853). 따라서 저출산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선 기혼여성의 출산과 더불어 미혼 여성의 결혼에 대한 태도나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저출산에 대해 접근하는 관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와 가족의 구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으로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우리나라는 2005년 합계출산율 ‘1.08’ 충격에 직면하여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을 제정한 후, 2006년을 시작으로 5년 단위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왔다. 현재 제4차 기본계획(’21-’25)이 진행 중인데 반해, 앞선 세 차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상의 예산을 합산하면 15년간 189조원에 이르나 실효성 여부에 대한 평가는 회의적이다.

둘째, 경제학의 효용이론에 따르면, 결혼과 출산을 통해 얻는 만족감과 그에 따르는 비용을 고려하여 효용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결혼과 출산이 결정된다는 관점이 있다. Becker(1973, p.822)는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여성이 활발하게 사회로 진출하게 되면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제고되어 여성들이 결혼을 필수적으로 생각하지 않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출산에 대한 의사결정에서도 자녀에 대한 직접적인 양육비용 외에도 양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성의 경력단절과 자녀 양육 시 신체적, 정신적 노동의 간접적인 비용 등 다양한 요인이 있다. 실제로 산업화와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는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소득을 증가시켰지만 혼인건수와 출산율을 감소시켰다. 즉, 가정 내의 가사 노동이 여성에게 편중되어있는 상황에서 노동시장에서의 소득기회 상실 즉, 결혼, 출산의 기회비용이 커질수록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셋째, 결혼과 출산의 필요성과 가치가 점점 더 약화되고 있다는 문화적 설명이다(정성호, 2009, pp.9-10). 결혼과 출산에 대한 당위적 가치가 약화되고 있다는 문화적 설명은 규범으로서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전통적인 가족 가치가 약화되고 그와 함께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남는 것, 출산하지 않는 가구에 대한 사회적 제재가 미흡하여 결혼과 출산이 점차 당위적인 규범이 아닌 개인적인 선택의 영역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문화적 설명은 전술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과도 배타적일 수 없다. 사회적 규범과 가치관의 변화는 결혼, 출산에 대한 비용-편익 구조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결국 경제학적 시각에서 볼 때 결혼 기피와 출산 기피 현상이 현재의 미혼여성과 기혼여성들에게 주어진 조건 하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기 때문이다(진미정, 정혜은, 2010, p.32). 이런 관점에서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결혼, 가족, 출산에 대한 가치관이 많이 변화하였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인 상황 변화 등을 고려할 때, 결혼하지 않거나 결혼을 늦추는 것, 결혼했지만 출산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려면 경제적인 측면과 가치관의 변화를 동시에 감안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시사점에 기반하여 저출산의 원인을 경제적인 접근뿐만이 아닌 문화 사회학적인 요인에 대해 동시에 고려하여 결혼, 자녀, 성 역할 인식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가 미혼여성의 결혼기피 현상과 기혼여성의 출산기피 현상에 미친 영향을 합계출산율이 1.2명였던 2015년과 1명 이하로 떨어진 2018년(0.977명)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 자료로써 실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추가로 통계청 『장래가구추특별추계 시도편: 2017~2047년』에 따르면, 2017년 대비 2047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부부가구의 비중은 증가하고, 부부와 자녀가구의 비중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자녀를 낳지 않고 부부만으로 가족을 구성하는 형태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기혼여성을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으로 나누어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향과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대해 분리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미혼여성, 기혼여성의 가치관과 결혼, 출산에 대한 태도는 2015년과 2018년 사이에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연구문제 2: 가치관이 미혼여성의 결혼기피 현상과 기혼여성의 출산, 추가출산기피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결혼의향, 출산의향에 대한 가치관 연구로 구분하여 상술한다. 3장에서는 연구방법과 변수에 대하여 상술한다. 4장에서는 분석결과를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 관련 추정결과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분석한다. 5장에서는 분석결과들을 요약한 뒤, 그에 근거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언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가족가치관

가치관이란 사람들이 어떠한 행동을 하게하는 심리적 요인으로서(김태길, 1996), 개인의 행동을 구속하는 이념 또는 신념이다(정원식, 1969). 가치관은 가치가 적용되는 범위보다 훨씬 넓으며 더 일반적인 행동장면을 포함한다(유영주 외, 2000). 가치관은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고, 나아가서 만족감 또는 행・불행의 판단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공동체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그 사회의 각종 활동을 영위해 나가는데 필수 불가결의 규율을 제공하게 된다(김경신, 1998, p.146). 궁극적으로 한 사회공동체와 한 국가집단의 가치관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가치관의 집약체라고 볼 수 있다. 한 사회의 가치관은 한 시점의 평면적인 총화로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사회집단의 역사적 경험들의 축적과 구성원들이 이루는 사회적 관련 및 구조 여하에도 크게 관계되어 있다(유영주 외, 2000). 한 세대(cohort)는 출생 시기가 비슷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생애주기의 단계에서 역사적인 사건들을 비슷한 방식으로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세대만의 의식을 형성하고, 행위 양식을 특징짓게 되는 등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김기연・신수진・최혜경, 2003, pp.88-89).

본 연구는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가치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족 가치관은 결혼 가치관, 자녀 가치관, 성 역할 가치관으로 구분된다 (김경신, 1998, p.147; 박주희, 2016, p.23). 이하에서는 각 가치관에 대하여 상술해본다.

가. 결혼가치관

결혼 가치관이란 결혼과 배우자를 선택할 때의 관점이나 태도를 말한다(김경신・이선미, 1998, p.29).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도, 가족 중심적 가치관과 결혼에 대한 전통적 당위규범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왔으나 최근에는 결혼을 선택으로 받아들여 여건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결혼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김경신・이선미, 1998, p.30; 이삼식, 2006, p.100; 김경숙, 2018, p.290). 특히, 전통적으로 여성에게 결혼은 인생에서의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졌으나(김경신・이선미, 1998, p.30), 오늘날 여성의 절반 이상이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 회의적이며 남성에 비해서도 매우 부정적인 것이 현실이다. 박민자(2004, p.121)에 따르면, 결혼 가치관은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첫째, 결혼은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개인과 사회 전반에 공유된 것, 둘째, 개인의 욕구나 필요에 의해 결혼이 선택되며 이는 합리적(비용-편익) 결정에 의한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나. 자녀가치관

자녀가치란 ‘자녀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과 대가’이다(Arnold et al., 1975). 이러한 만족감과 대가라는 것은 자녀를 출산하려고 하는 하나의 동기이며, 이러한 가치가 출산, 양육상황에서의 장애 또는 편의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가족의 규모와 자녀 출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자녀가치를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긍정적 가치는 도구적 가치,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분하고 부정적 가치는 부모 자신의 개인 내적인 측면과 자녀양육 관련 측면으로 구분하였다(김은설, 최혜선, 2008, p.15). 긍정적 가치 중 도구적 가치는 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자녀에게 기대하는 보상을 의미하며 가문승계, 자녀로부터의 보상 등을 포함한다. 사회적 가치는 부모가 됨으로써 기대되는 개인적인 성숙과 사회적인 역할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에 대한 기여 등을 포함한다. 정서적・관계적 가치는 자녀로 인한 정서적 또는 심리적 동기이며, 자녀 양육의 기쁨, 정서적 만족감, 가족의 의미 등이 포함된다. 부정적 가치 중 개인적 측면은 자녀 양육 시, 부모가 경험하는 제약, 부담 등을 의미하며, 부모 개인의 자유시간 제한, 사회활동에 대한 제약 등을 포함한다. 자녀양육 측면은 자녀 양육 자체의 어려움을 의미하며, 경제적 측면에서의 양육비 부담, 부모 역할 수행의 어려움 등을 말한다.

다. 성역할가치관

성 역할 가치관이란 여성과 남성의 역할과 기준을 의미한다(김은정, 2018, p.1295). 이와 비슷하게 성 역할 고정관념은 아시아 문화권과 같은 특정 문화권 내에서 성별에 따른 특성을 뚜렷한 실체로 생각하여 일반적인 여성과 남성의 태도나 특성, 행동 양식에 대해 획일적으로 규정해버리는 일련의 생각을 의미한다(김경숙, 2018, p.291). 성 역할 가치관은 성 역할 분배에 대한 생각에 따라 전통적 가치관과 성 평등주의적 가치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교 문화로 인한 남성 중심의 성차별주의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유지되어 왔으나(김경신・이선미, 1998, p.41), 근대화・산업화의 과정 속에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이 수반됨에 따라 양성 평등사상이 확산되면서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 평등적 가치관이 마찰을 이루고 있다. 또한, 대학 진학 과정이나 노동시장 내에서는 강한 경쟁 속에 성별에 따른 구분이 없어지는 한편 가정 내에서는 여전히 가사와 양육의 부담이 여성의 몫이라는 유교 문화에 따른 전통적 성 역할 규범이 강조되면서 가치관 변화와 맞물려 집단 간 혹은 영역 간 괴리와 이중부담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오민지, 2021, pp.58-59).

2. 가족가치관과 결혼 및 출산의향

가. 가족가치관과 결혼의향

먼저 결혼의향과 가치관 관련 선행연구로는 이삼식(2006), 진미정・정혜은(2010), 문선희(2012), 김중백(2013), 임선영, 박주희(2014), 박주희(2016), 김은정(2018), 이지나・황명진(2019)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연구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해본다.

이삼식(2006)은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로써 인구사회학적 현상뿐만 아니라 가치관 변화도 미혼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제 향후 결혼생활과 상충될 수 있는 가치관들도 결혼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진미정・정혜은(2010)은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방식으로 『2005년과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로써 추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추정결과,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과 부양 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았음을 보였다.

문선희(2012)는 『여성가족패널자료』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여성의 연령, 가구소득, 취업 여부뿐만 아니라 결혼 가치관, 부부 가치관이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여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보다 가치관의 변화, 사회・문화적 발전으로 인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이 출산율 저하에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김중백(2013)은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남녀의 결혼이행 의향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남녀의 결혼의향을 비교했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결혼의향이 낮으나, 자녀에 대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여성 집단과 가정 내의 전통적 성역할 관념에 동의하는 여성 집단은 남성과의 결혼의향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실증하였다.

임선영・박주희(2014)는 30대 이상의 서울 및 수도권 거주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혼자의 결혼관, 성역할관이 전통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으며, 부모로부터 경제적 자원 제공이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박주희(2016)은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남자 대학생은 자녀의 필요성에 공감할수록 결혼의향이 높았으며, 여자 대학생은 결혼에 대한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정(2018)은 『여성 가족 패널 조사(KLoWF)』 6차년도 자료로써 미혼여성의 일반적인 특성과 결혼 가치관, 가족 내 성 역할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지나・황명진(2019)는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미혼남성과 여성의 결혼의향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미혼여성의 경우 자녀의 심리적 가치에 찬성할수록, 출산의지가 높을수록 결혼의향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연구결과에서 파악된 가치관을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 <표 1>이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가족가치관과 결혼의향 관련 선행연구
구분 연구자 연도 사용자료 연구결과
결혼, 성역할가치관 이삼식 2006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결혼필요성이 약하거나 성분업적 역할에 대해 부정적일수록 결혼시기 늦추는 경향
결혼, 자녀 가치관 진미정, 정혜은 2010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미혼남녀 모두 결혼과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사람이 결혼하고자 하는 의향이 더 높음.
성역할가치관 문선희 2012 여성가족패널자료 2차년도 부부관계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부부관계에서의 평등한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결혼의향의 여부에 부정적.
자녀, 성역할 가치관 김중백 2013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자료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결혼의향. 그러나 자녀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여성과 가정에서 전통적 남녀역할 배분에 긍정적인 여성은 결혼의향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음.
성역할가치관 임선영, 박주희 2014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30대 이상의 미혼남녀 대상 설문조사 미혼자의 결혼관,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음. 또한, 부모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이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 필요.
결혼 가치관 박주희 2016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여자 대학생의 경우, 결혼에 대한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음
성역할가치관 김은정 2018 여성 가족 패널 조사 6차년도 부부간 평등한 성역할 가치관을 지닌 미혼 여성일수록 결혼의향에 대해 긍정 반응
결혼, 자녀 가치관 이지나, 황명진 2019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동거관과 이혼관에 찬성하지 않을수록, 자녀의 심리적・사회적 가치에 찬성할수록 출산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출산의지가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음.

나. 출산의향과 가치관

출산의향과 가치관 관련 국내 연구로는 마미정(2008), 이완・채재은(2017), 최효미(2017), 최지훈, 안선희(2018), 은선경・박효진(2020), 홍성희(2020), 오민지(2021) 등이 있다. 이하에서 이들 연구의 주요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마미정(2008)이 맞벌이 부부에게 둘째 자녀 출산의향을 설문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향 요인은 자녀의 정서적 가치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출산 기피 요인은 자녀 양육지원 요인이 가장 중요한 기피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완・채재은(2017)은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출산의향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와 도구적 가치관, 정서적 가치관이 추가출산의향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료 지원만이 도구적, 정서적 가치관과 추가 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최효미(2017)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된 『청년층의 결혼 및 가족에 관한 인식조사』를 사용하여 자녀 필요성이 높을수록 출산의향을 높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미혼 청년들은 저출산 정책 중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이 출산율 반등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하여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 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최지훈・안선희(2018)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며, 자녀를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보내고 있는 40세 이하의 맞벌이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의 표집하여 추가출산의향에 가족 친화 제도, 남편의 자녀 돌봄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가족 친화적인 직장 문화 제도와 남편의 자녀 돌봄 참여가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선경・박효진(2020)은 기혼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로써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가사노동을 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았다. 배우자가 가사노동 시간이 많을수록 출산의향이 높다는 것은 가사 공평성이 높을수록 출산의향이 높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데, 이 결과는 McDonald(2000)의 “가족제도 내에서 여성이 가사와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을 부여받는 불평등을 감수할수록 저출산 현상이 나타난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또한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수록 출산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홍성희(2020)는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자료로써 동거에 수용적인 결혼가치관을 가질수록 출산의향 확률이 높았으며, 출산 희망연령이 낮아짐을 보였다. 또한 가부장제 가치는 출산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하여 가치관 요인이 전반적으로 출산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민지(2021)는 여성가족패널 1~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기혼여성이 결혼 필요적 가치관을 가질수록, 그리고 남편의 가사분담에 만족할수록 출산의향 가능성이 높음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가치관을 기준으로 분류한 뒤,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한 것이 <표 2>이다.

새창으로 보기
표 2.
가족가치관과 출산의향 관련 선행연구
구분 연구자 연도 사용자료 연구결과
자녀가치관 마미정 2008 한 자녀 맞벌이 아내와 두 자녀 맞벌이 아내 1200명, 맞벌이 남편 600명에게 설문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출산 의도 요인은 정서적 자녀 가치관 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임
자녀가치관 이완, 채재은 2017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이상적 자녀수, 자녀의 도구적 가치관과 자녀의 정 서적 가치관의 순서대로 추가출산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자녀가치관 최효미 2017 『청년층의 결혼 및 가족에 관한 인식 조사』 자녀 필요성에 동조할수록 출산의향을 높임
성역할 가치관 최지훈, 안선희 2018 서울, 경기지역 자녀를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보내고 있는 40세 이하의 맞벌이 어머니 대상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남편의 자녀 돌봄 참 여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자녀, 성역할 가치관 은선경, 박효진 2020 기혼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음. 배우자가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의 향이 높음
결혼, 성역할 가치관 홍성희 2020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 동거에 수용적인 결혼 가치관을 가질수록, 가부장 제 가치관을 수용할수록 출산의향을 가질 확률이 높음.
결혼, 성역할가치관 오민지 2021 『여성가족패널』 1~6차년도 자료 결혼 가치관 요인과 가사공평성 요인은 기혼여성 의 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침

다.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

이상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와의 차이점은 첫째, 미혼여성의 결혼의향과 기혼여성의 출산, 추가출산의향까지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결혼기피, 출산기피 현상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특히 기혼여성의 자녀유무에 따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과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을 구분하여 가치관의 효과를 추정한 뒤, 미혼여성에 대한 추정결과와 연계하여 맞춤형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Ⅲ. 연구방법 및 변수

1. 연구방법 및 사용자료

본 연구에서는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의 가치관이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5년과 2018년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에 로지스틱(Logistic)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추정한다. 2015년까지 합계출산율은 1명 초반대에서 등락을 반복하였으나, 2015년 이후 해마다 감소하여 2018년 OECD 국가 중 최초로 합계출산율 1명대의 벽이 깨졌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1명대를 넘었던 2015년과 1명 이하로 떨어진 2018년의 자료를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또 어떠한 요인이 저출산 현상을 심화시켰는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첫째,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실증은 2015년 및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에 포함된 20~44세 미혼여성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동 자료에 포함된 미혼여성은 2015년 1,287명, 2018년 1,325명이다. 둘째, 기혼여성의 출산 및 추가출산에 대한 실증분석은 동 자료의 20~44세의 기혼여성이 대상으로 했으며, 2015년 8,502명, 2018년 8,002명이 해당된다.

한편,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을 종속변수로 이용하는데 그 변수가 결혼이행과 불이행의 이분법적인 속성을 가지므로 로지스틱 모형을 적용한다(이삼식, 2006, p.112). 또한, 가치관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분석을 적용한다. 기혼여성에 대한 모형은 자녀 유무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자녀가 없는 경우와 자녀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먼저 2015년과 2018년 자료를 결합하고 조사년도를 가변수로 투입하였는데, 이는 2015년과 비교했을 때 결혼의향과 출산의향이 낮아져 저출산에 영향을 끼친 집단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이고, 의향이 변한 집단에 대한 맞춤형 정책 개발의 필요성 때문이다. 그 후 가치관들이 포함되기 전과 포함된 후의 두 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가치관 변수로는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및 성역할관을 분석모형에 포함한다. 가족가치관 관련 문항인 동거, 혼외 자식, 이혼, 재혼, 입양에 대한 태도는 “결혼과 무관하게 함께 살 수 있다”,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 “부부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면 이혼하는 게 낫다”, “사별이나 이혼 후에는 재혼을 통해 새 삶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입양한 아이도 내가 낳은 자식과 같이 애정을 갖고 잘 키울 수 있다”라는 문항으로 각각 설문하였으며, 응답은 ‘전적으로 찬성(1점)’에서 ‘전혀 찬성하지 않음(4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점수가 높을수록 전통적 결혼관에 동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응답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이라는 가치에 대해 더 크게 동조하며 사회적 규범에 반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녀관을 대표하는 변수로서 자녀 필요성과 부모 가치에 대한 태도, 자녀의 정서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부모가 되는 것은 인생에서 가치가 있는 일이다”, “자녀는 부부간의 관계를 더 굳건하게 해준다”, 라는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모두 ‘전혀 찬성하지 않음(1점)’에서 ‘전적으로 찬성(4점)’으로 역코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 필요성과 자녀의 가치에 대해 높게 동조하는 것이다.

성 역할관 관련 문항은 성분업적 역할 인식의 경우 “아내는 자신의 경력을 쌓기보다는 남편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양육책임의 경우 “아이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잘 키울 수 있다”이며, ‘전혀 찬성하지 않음(1점)’에서 ‘전적으로 찬성(4점)’으로 역코딩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보수적 성역할관에 대해 동조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기혼여성에 해당되는 가사 공평성 인지에 대한 설문 문항은 McDonald(2000)의 가사가 공평하게 분배되어 있지 않으면 저출산이 심화된다는 이론이 한국에 적용되는지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사 공평성을 파악하기 위해 “귀하께서는 평소 남편과 가사를 서로 공평하게 나눠서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설문에 동의하는 답변을 ‘1’로, 동의하지 않는 답변을 ‘0’으로 코딩하였다.

추가로 정책변수에 대하여 논의한다. 미혼 여성에 대해서는 국가의 결혼 지원정책 필요성에 관해서는 “결혼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의 문항으로 질문하였다. 점수는 ‘전혀 필요없음(1점)’에서 ‘매우 필요함(4점)’으로 역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정책의 필요성에 동감하는 것으로 역코딩하였다. 기혼여성에 대한 정책변수로는 국가의 출산, 양육 지원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국가의 출산, 양육 지원정책의 필요성은 “국가가 자녀의 출산 및 양육을 어느 정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으로 설문하였다. 점수는 ‘전혀 지원할 필요가 없다(1점)’에서 ‘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4점)’으로 역코딩하여 응답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국가가 출산과 양육에 대해 더 적극적임을 의미한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결혼의향에 관한 모형의 경우, 연령, 지역, 교육수준, 취업여부 등을 포함하며, 출산의향에 관한 모형의 경우에는 연령, 지역, 교육수준, 취업여부, 결혼 시 주거형태 등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모형에 포함되는 변수들은 정리하여 제시한 것이 <표 3>이다.

새창으로 보기
표 3.
다변량 분석에 포함된 변수
구분 미혼여성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종속변수
  • 결혼의향(있다=1)

  • 출산의향(있다=1)

  • 추가출산의향(있다=1)

독립 변수 시간변수
  • ・ 조사년도(2018=1)

인구사회학적 변수
  • ・ 연령

  • ・ 지역(대도시=1)

  • ・ 교육수준(고등학교 이하, 대학 이상, 대학원 이상 각 dummy화)

  • ・ 취업 여부(취업=1)(dummy변수)

  • ・ 연령

  • ・ 지역(대도시=1)

  • ・ 교육수준(고등학교 이하, 대학 이상, 대학원 이상 각 dummy화)

  • ・ 취업 여부(취업=1) (dummy변수)

  • ・ 결혼 시 주거형태 (자가=1) (dummy변수)

가치변수1) 결혼관
  • ・ 동거에 대한 태도

  • ・ 혼외임신에 대한 태도

  • ・ 이혼에 대한 태도

  • ・ 동거에 대한 태도

  • ・ 재혼에 대한 태도

  • ・ 혼외임신에 대한 태도

  • ・ 입양관련 태도

자녀관
  • ・ 자녀의 필요성

  • ・ 부모가치에 대한 태도

  • ・ 자녀의 정서적 가치 관련 태도

  • ・ 자녀의 필요성

  • ・ 부모가치에 대한 태도

  • ・ 자녀의 필요성

  • ・ 부모가치에 대한 태도

성역할관
  • ・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태도

  • ・ 양육책임관련 태도

  • ・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태도

  • ・ 양육책임관련 태도

  • ・ 가사공평성에 대한 인지2)

  • ・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태도

  • ・ 양육책임관련 태도

  • ・ 가사공평성에 대한 인지

정책변수3)
  • ・ 결혼정책 필요성

  • ・ 출산, 육아정책 필요성

주: 1) 가치변수들은 보수적 가치관에 동조할수록 높은 점수로 코딩(결혼관 : 전혀 찬성안함 =4, 별로 찬성 안함=3, 대체로 찬성=2, 매우 찬성=1, 자녀관, 성역할관 : 매우 찬성=4, 대체로 찬성=3, 별로 찬성 안함=2, 전혀 찬성안함=1.)

   2) 가사공평성에 대한 인지는 1= 가사가 공평하게 분배돼있음 0= 가사가 불공평하게 분배돼있음으로 코딩

   3) 정책변수는 정책의 필요성에 동조할수록 높은 점수로 코딩 : 매우 찬성=4, 대체로 찬성=3, 별로 찬성 안함 = 2, 전혀 찬성안함=1.

Ⅳ. 분석결과

1. 일반 사항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에 참여한 미혼여성, 기혼여성의 가치관과 결혼, 출산에 대한 태도가 2015년과 2018년 사이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미혼 여성의 분석에 포함된 변수들의 2015년과 2018년 값을 비교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새창으로 보기
표 4.
미혼 여성의 기술통계량과 카이제곱 검정결과
구분 2015(N=1,287) 2018(N=1,325) χ2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종속변수
결혼의향 있다 0.63(0.5) 0.46(0.5) 84.25***
없다
인구사회학 변수
연령 20-29세 27.03(6.1) 26.7(6.3) 45.8***
30-39세
40-44세
교육수준 고등학교 이하 0.93(0.4) 0.92(0.4) 0.07
대학교(전문대, 4년제)
대학원 이상
지역 대도시 0.44(0.5) 0.43(0.5) 0.07
중소도시
취업여부 취업 0.62(0.5) 0.63(0.5) 0.43
비취업
가치관 변수
결혼관 동거 2.89(0.8) 2.53(0.9) 150.36***
혼외임신 3.16(0.7) 3.05(0.9) 34.22***
이혼 2.14(0.8) 1.94(0.8) 55.09***
자녀관 자녀 필요성 1.98(0.8) 1.68(0.8) 110.05***
부모가치 3.32(0.6) 3.13(0.8) 69.13***
자녀의 정서적 가치 (부부관계) 3.17(0.6) 2.88(0.8) 135.93***
성역할관 성 분업적 역할 1.93(0.7) 1.80(0.8) 43.17***
양육책임 2.47(0.7) 2.03(0.9) 216.86***
정책변수
결혼정책 필요성 3.2(0.7) 3.32(0.7) 28.02***

주: *: p<0.1 **: p<0.05 ***: p<0.1(이하 표에 모두 동일)

미혼여성의 연도별 차이를 살펴보면, 결혼의향이 있는 경우는 2015년 63.4%에서 2018년 45.5%로 비율이 낮아져, 3년 사이에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이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보여주었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은 2018년도 미혼여성(26.7세)이 2015년도 응답자(27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나머지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교육수준, 지역, 취업 여부는 2015년과 2018년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관 변수를 살펴보면, 동거에 대한 태도는 2015년도에는 평균 2.89점, 2018년에는 2.53점으로 나타나 2018년도 미혼여성이 혼전 동거에 대해 수용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혼외임신에 대한 태도도 2015년 평균 3.16점, 2018년에는 3.05점으로 혼외임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혼에 대한 태도는 2015년 평균 2.14점, 2018년에는 1.94점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이혼에 대한 태도도 개방적으로 변모한 것을 알 수 있다.

자녀의 필요성 항목에는 2015년도 미혼여성은 평균 1.98점, 2018년에는 1.68점으로 나타나 자녀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더 낮아졌다. 부모의 가치에 대한 문항에 2015년 평균 3.32점, 2018년 3.13점으로 2018년도 미혼여성이 부모의 가치에 대해 부여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부부관계에서의 자녀의 정서적 가치에 대해서는 2015년 평균 3.17점, 2018년 2.88점으로 낮아졌으며, 노년에 자녀의 정서적 가치에 관해서는 2015년 평균 3.05점, 2018년 2.47점으로 나타나 3년 사이에 미혼여성이 자녀에게 정서적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문항에 2015년도 미혼여성은 평균 1.93점, 2018년도 미혼여성은 평균 1.8점으로 2018년도 미혼여성의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지지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양육책임에 대한 태도도 마찬가지로 2018년도 미혼여성이 평균 2.03점으로 2015년도 미혼여성(2.47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결혼정책 필요성에 대해서는 2015년 평균 3.2점, 2018년 3.32점으로 결혼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2018년 조사에서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가치관 측면에서는 결혼관, 자녀관, 성역할관 모두에서 가치관이 개방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정책에 대한 필요성에 동조하는 정도도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기혼여성의 분석에 포함된 변수들의 2015년과 2018년 값을 비교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기혼여성의 연도별 차이를 살펴보면, 출산의향이 있는 경우는 2015년 18.3%에서 2018년 14.9%로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은 2018년도 기혼여성의 연령(37.01세)이 2015년도 응답자(36.62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교육수준의 경우 2015년도 기혼여성의 대학졸업자 비율은 59.5%, 2018년도에는 65.7%로 2018년도의 기혼여성의 학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 기혼여성의 38.3%, 2018년도에는 기혼여성의 40.4%가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거주비율이 2018년도에 약간 더 높았다. 취업상태를 살펴보면 2015년 기혼여성의 51.6%, 2018년도에는 53.5%가 취업 중인 것으로 나타나 2018년도의 취업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1)

새창으로 보기
표 5.
기혼여성의 기술통계량과 카이제곱 검정결과
구분 2015(N=8,502) 2018(N=8,002) χ2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종속변수
출산의향 있다 0.18(0.4) 0.15(0.4) 33.8***
없다
자녀수 0명 1.65(0.8) 1.65(0.8) 34.68***
1명 이상
인구사회학 변수
연령 20-29세 36.62(5.0) 37.01(4.7) 89.3***
30-39세
40-44세
교육수준 고등학교 이하 0.69(0.6) 0.77(0.5) 108.28***
대학교 (전문대, 4년제)
대학원 이상
지역 대도시 0.38(0.5) 0.4(0.5) 7.14***
중소도시
취업 여부 취업 0.52(0.5) 0.54(0.5) 5.9**
비취업
결혼 시 주거형태 자가 0.22(0.4) 0.26(0.4) 42.14***
비자가
가치관 변수
결혼관 동거 2.9(0.8) 2.73(0.9) 202.55***
혼외임신 3.14(0.8) 3.08(0.8) 45.38***
재혼 2.27(0.7) 2.3(0.8) 12.49***
입양 2.48(0.8) 2.52(0.8) 19.05***
자녀관 자녀 필요성 3.51(0.7) 3.32(0.8) 268.83***
부모가치 3.54(0.5) 3.6(0.6) 91.15***
성역할관 성 분업적 역할 2.56(0.8) 2.43(0.8) 119.53***
양육책임 2.75(0.7) 2.58(0.8) 270.75***
가사공평성 0.51(0.5) 0.52(0.5) 1.236
정책변수
출산, 육아정책 필요성 3.36(0.5) 3.4(0.5) 25.21***

가치관 변수를 살펴보면, 동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2015년도에는 평균 2.9점, 2018년에는 2.73점으로 나타나 2018년도 기혼여성의 혼전 동거에 대한 수용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혼외임신에 대한 태도도 2015년 평균 3.14점, 2018년에는 3.08점으로 혼외임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재혼에 대한 태도는 2015년 평균 2.27점, 2018년에는 2.3점으로 유의하게 높아져, 재혼에 대한 태도는 3년 사이에 미약하게 보수적으로 변하였다. 입양에 대한 태도 또한, 2015년 평균 2.48점, 2018년 2.52점으로 2018년에 더욱 보수적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필요성 항목에는 2015년도 평균 3.51점, 2018년에는 3.32점으로 나타나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동조하는 정도가 더 낮아졌으며, 부모의 가치에 대한 문항은 2015년 평균 3.54점, 2018년 3.6점으로 2018년도 기혼여성이 부모의 가치에 대해 부여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문항에 2015년도 기혼여성은 평균 2.56점, 2018년도 2.43점으로 2018년도 기혼여성의 성분업적 역할규범에 대한 지지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양육책임에 대한 태도도 마찬가지로 2018년도 기혼여성이 평균 2.58점으로 2015년도 기혼여성(2.75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출산, 육아정책 필요성에 대해서는 2015년 평균 3.36점, 2018년 3.40점으로 출산,육아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2018년 조사에서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가치관의 측면에서는 가치관의 혼재가 나타났다. 결혼관 중 동거, 혼외임신에 대한 태도는 개방적으로 변하였으나, 재혼, 입양에 대한 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하였고, 자녀관 중 자녀 필요성에 대해 지지하는 정도는 낮아졌으나, 부모가치에 대해 지지하는 정도는 높아졌다. 성역할관은 성분업적 역할과 양육책임에 대한 태도 모두 개방적으로 변하였다. 이로써 기혼여성의 가치관 변화는 모든 가치관에서 뚜렷한 변화를 나타낸 미혼 여성에 비해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2. 가치관이 미혼여성의 결혼행태에 미치는 영향

가.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결과는 가치관 변수의 포함 여부에 따라 모형 1과 모형 2로 구분하여 <표 6>에 제시한다. 가치관 변수를 제외한 모형 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이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새창으로 보기
표 6.
미혼여성(20~44세)의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n=2,612)
구분 모형1 모형2
계수 S.E 승산비 계수 S.E 승산비
상수 1.772*** 0.239 5.883 -4.666*** 0.483 0.009
시간변수
조사년도(2018=1) -0.793*** 0.082 0.452 -0.384*** 0.099 0.681
인구사회학 변수
연령 -0.072*** 0.008 0.930 -0.080*** 0.009 0.923
교육수준(기준=고졸 이하)
대학교 0.446*** 0.129 1.561 0.530*** 0.148 1.700
대학원 0.950*** 0.226 2.586 0.893*** 0.261 2.443
지역(대도시=1) 0.091 0.083 1.095 0.203** 0.095 1.225
취업 여부(취업=1) 0.478*** 0.092 1.614 0.462*** 0.105 1.588
가치관 변수
결혼관 동거 0.131** 0.064 1.141
혼외임신 0.112* 0.066 1.119
이혼 0.237*** 0.066 1.267
자녀관 자녀 필요성 0.970*** 0.069 2.639
부모가치 0.416*** 0.084 1.516
자녀의 정서적 가치 0.254*** 0.082 1.290
성역할관 성 분업적 역할 0.149** 0.073 1.161
양육책임 0.128** 0.063 1.137
정책변수
결혼정책 필요성 0.234*** 0.068 1.264
-2Log Likelihood 3,390.857 2,744.360
Chi-Square 210.565*** 857.062***

각 모형의 Log Likelihood값을 살펴보면, 모형 2의 값이 2,744.360으로 모형 1과 비교하여 더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카이제곱 검정 결과, 두 모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의 설명력이 모형 1보다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뿐만 아니라 가치관 변수들도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준다. 모형 2에 제시된 회귀계수를 보면, 시간 더미 변수를 포함하여 인구 사회학 변수, 가치관 변수, 정책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에서는 모형 2의 추정결과를 승산비와 연계하여 상세하게 논의한다.

시간 더미에 대한 승산비가 0.681이므로 결혼의향은 2015년도에 비해 2018년도에 약 32% 더 낮다고 말할 수 있다. 3년 사이에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이 크게 줄었다는 것은 눈여겨볼 추정결과이다.

사회인구학적 통제변수들의 추정결과, 첫째, 연령 승산비는 0.923이므로 연령이 1세 증가할수록 결혼 의향이 약 8% 감소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결혼에서 연령이 여전히 여성들에게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진미정・정혜은(2010, p.41) 결과와 유사하다. 둘째, 교육수준의 경우, 고졸 이하와 비교하여 대졸의 결혼의향이 1.7배, 대학원 이상 졸업자의 결혼의향이 2.443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노동시장 진입이 수월해지며 그 결과로 결혼을 지연시켜 저출산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교육수준 상승에 의한 결혼지연 가설”이 우리나라 여성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셋째, 거주지는 대도시에 대한 승산비가 1.225로 중소도시와 비교했을 때, 대도시에 거주하는 여성들의 결혼의향이 더 높다. 이는 대도시에 20~44세의 미혼 인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거주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취업한 경우의 승산비가 1.588로 추정되어 미취업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취업한 여성들의 결혼의향이 1.588배 높게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여성 취업이 경제적인 능력을 높이면 기회비용이 큰 결혼을 지연시킬 것이라는 ‘경제 자립 가설’과는 상반되며, 오히려 여성 취업이 경제적 능력을 높여 배우자로서의 매력을 증가시켜 결혼을 더 많이 하게 한다는 ‘경력 진입 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김은정(2018, p.1301)문선희(2012, p.17)의 결과와 일치한다.

다음은 가치관 변수의 추정결과를 논의해본다. 첫째, 결혼관 변수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혼전 동거와 혼외 자식, 이혼에 부정적일수록, 즉, 전통적 결혼관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삼식(2006, p.121), 진미정, 정혜은(2010, p.41)과 유사하다. 둘째, 자녀관은 자녀 필요성, 부모에 대한 가치, 자녀의 정서적 가치에 긍정적으로 동조할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았다. 셋째, 성 역할관에 있어서는 보수적 성역할규범과 보수적 양육책임에 동조할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결혼, 자녀, 보수적 성 역할관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미혼 여성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미혼여성들은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치에 순응적이지 않을수록 결혼을 기피하는 경향이 강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로지스틱 추정결과에서 가치관이 개방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낮아진 것과 <표 4>에서 보인 미혼 여성의 가치관이 개방적으로 변한 것이 사실상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의 혼인 건수 감소이유가 확인된다고 말할 수 있다. 결혼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동조할수록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미혼 여성들을 위한 결혼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3. 가치관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가치관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결과는 <표 7>에 제시되어 있다. 가치관 변수를 제외한 모형 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이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각 모형의 Log Likelihood값을 살펴보면 모형 2의 값이 1482.975로, 모형 1과 비교하여 더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으며, 카이제곱(Chi-Square) 검정결과, 두 모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의 설명력이 모형 1보다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새창으로 보기
표 7.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20~44세)가치관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n=1,513)
구분 모델1 모델2
계수 S.E 승산비 계수 S.E 승산비
상수 5.081*** 0.455 160.862 -0.746 0.817 0.474
시간변수
조사년도(2018=1) -0.395*** 0.118 0.673 -0.161 0.134 0.851
인구사회학 변수
연령 -0.130*** 0.012 0.878 -0.100*** 0.014 0.905
교육수준(기준=고졸 이하)
대학교 0.325** 0.137 1.384 0.377** 0.153 1.457
대학원 0.290 0.239 1.337 0.250 0.269 1.284
지역(대도시=1) -0.139 0.120 0.871 -0.206 0.132 0.814
취업 여부(취업=1) 0.141 0.121 1.151 0.312** 0.136 1.366
결혼 시 주거형태 (자가=1) 0.165 0.129 1.180 0.139 0.142 1.149
가치관 변수
결혼관 동거 -0.049 0.076 0.952
재혼 -0.042 0.093 0.959
자녀관 자녀 필요성 0.972*** 0.091 2.644
부모가치 0.492*** 0.110 1.636
성역할관 성 분업적 역할 0.207** 0.094 1.230
양육책임 -0.157* 0.093 0.855
가사공평성 -0.026 0.148 0.975
정책변수
출산, 육아정책 필요성 0.089 0.117 1.093
-2Log Likelihood 1,717.230 1,482.975
Chi-Square 164.045*** 398.301***

따라서 이하에서는 모형 2의 추정결과를 승산비와 연계하여 상세하게 논의한다. 시간 더미에 대한 계수는 유의하지 않아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은 2015년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중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만이 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인구학적 통제변수들의 추정결과, 첫째, 연령 승산비 0.905는 연령이 1살 증가할수록 출산의향이 약 10% 감소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이 결과는 이완・채재은(2017, p.70)과 유사하다. 이는 결혼과 마찬가지로 출산에서도 연령이 여전히 여성들에게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육수준의 경우, 고졸 이하와 비교했을 때 대졸의 결혼의향이 1.4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이완・채재은(2017, p.71)과 반대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취업한 경우의 승산비가 1.366으로 추정되어 미취업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취업한 여성들의 출산의향이 1.366배 높게 추정되었다.

다음은 가치관 변수의 추정결과를 논의해본다. 첫째, 결혼관 변수는 출산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자녀관은 자녀 필요성, 부모에 대한 가치에 긍정적으로 동조할수록 출산의향이 더 높았다. 셋째, 보수적 성역할규범에 동조할수록 출산의향이 더 높았고, 양육책임에 대해서는 개방적인 사고에 동조할수록 출산의향이 높아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의 방향이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출산과 육아정책의 필요성은 자녀 없는 기혼여성의 출산의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가치관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결과는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가치관 변수를 제외한 모형 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이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각 모형의 Log Likelihood값을 살펴보면, 모형 2의 값이 8,838.538로 모형 1과 비교하여 더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고, 카이제곱(Chi-Square) 검정결과 모형 1,2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치관 변수를 포함한 모형 2의 설명력이 모형 1보다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새창으로 보기
표 8.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20~44세) 가치관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n=14,991)
구분 모델1 모델2
계수 S.E 승산비 계수 S.E 승산비
상수 5.228*** 0.207 186.446 2.196*** 0.403 8.990
시간변수
조사년도(2018=1) -0.157*** 0.055 0.855 -0.116** 0.057 0.891
인구사회학 변수
연령 -0.212*** 0.006 0.809 -0.209*** 0.006 0.811
교육수준(기준=고졸 이하)
대학교 0.287*** 0.064 1.333 0.292*** 0.066 1.340
대학원 0.628*** 0.125 1.874 0.589*** 0.128 1.802
지역(대도시=1) 0.111* 0.057 1.117 0.118** 0.057 1.125
취업 여부(취업=1) -0.042 0.056 0.959 -0.072 0.057 0.930
결혼 시 주거형태 (자가=1) 0.218*** 0.062 1.244 0.213*** 0.063 1.237
가치관 변수
결혼관 혼외임신 -0.117*** 0.035 0.890
입양 -0.096*** 0.035 0.909
자녀관 자녀 필요성 0.439*** 0.047 1.551
부모가치 0.332*** 0.059 1.393
성역할관 성 분업적 역할 0.002 0.038 1.002
양육책임 0.023 0.038 1.023
가사공평성 0.195*** 0.057 1.215
정책변수
출산, 육아정책 필요성 0.168*** 0.053 1.183
-2Log Likelihood 9,051.38 8,838.538
Chi-Square 1565.742*** 1778.584***

이하에서는 모형 2의 추정결과를 승산비와 연계하여 상세하게 논의한다. 2015년과 비교했을 때 2018년의 출산의향은 10.9% 감소한 모습을 보인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 연령, 교육수준, 지역, 결혼 당시 주거형태가 추가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인구학적 통제변수들의 추정결과, 첫째, 연령 승산비는 0.811이므로 연령이 1세 증가할수록 출산의향이 약 20%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완.채재은(2017, p.70) 결과와 유사하다. 둘째, 교육수준의 경우, 고졸 이하와 비교했을 때 대졸의 결혼의향이 1.34배, 대학원 이상의 경우 1.802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완.채재은(2017, p.71)의 분석결과와는 다르다. 셋째, 거주지의 경우 대도시에 사는 경우가 중소도시에 사는 경우보다 추가출산의향이 1.12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당시 주거형태가 자가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추가출산의향이 1.237배 더 높게 추정되었다.

다음은 가치관 변수의 추정결과를 논의해본다. 가치관에서는 결혼가치관과 자녀가치관이 추가출산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결혼 가치관은 혼외임신과 입양에 대한 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추가출산의향이 더 높으며, 둘째, 자녀 가치관은 자녀 필요성, 부모에 대한 가치에 긍정적으로 동조할수록 추가출산의향이 더 높았다. 이는 은선경・박효신(2020, p.215)과 유사한 결과이다. 앞서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또한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의 방향이 개방적 또는 보수적으로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성역할가치관에서는 가사가 공평하게 분배되어 있다고 생각할수록 추가출산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McDonald (2000)의 이론이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역시 은선경・박효신(2020, pp.214-215)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정책변수인 출산, 육아정책에 대해서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완・채재은(2017, p.74)과 맥락이 같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들을 가치관변수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표 9>와 같다. 미혼여성의 경우,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된 모습을 보인다. 전통적 가족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결혼의향이 높다. 기혼여성의 경우는 가치관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돼있다.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경우는 전통적 자녀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출산의향이 높았으며,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는 개방적 결혼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전통적 자녀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추가출산의향이 높았다.

새창으로 보기
표 9.
분석결과 요약
구분 미혼여성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종속변수 결혼의향 출산의향 추가출산의향
가치관 변수 결혼관 + 유의하지않음 -
자녀관 + + +
성역할관 + 혼재 유의하지않음

Ⅴ.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 여성의 결혼 가치관과 자녀 가치관, 성 역할 가치관 변화가 문화사회학적 변수와 경제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과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에 미치는 효과를 로지스틱 추정기법과 2015년과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로써 실증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뿐만 아니라 가치관 또한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의 결혼, 출산의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 여성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혼여성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의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서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수준 증가와 저출산간에는 관계가 밀접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미혼 여성은 취업했을 경우 결혼의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경제활동이 결혼 결정에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혼여성도 자녀가 없는 경우는 취업 여부가 출산의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의향과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 변수들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미혼 여성은 모두 전통적 결혼관, 자녀관, 성 역할관에 긍정적일수록 결혼의향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에 반해 기혼여성의 가치관은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가치관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하여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미혼 여성과 기혼여성이 증가하였고,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결혼의향과 추가출산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에서 도출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여성 결혼 기피 현상의 가속화와 자녀가 있는 유배우 여성의 낮아진 출산의향이 저출산 현상을 심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혼여성은 결혼, 자녀, 성역할 가치관이 일관되게 보수적인 가치관에 동조할수록 결혼의향이 높았지만, 2015년과 비교해 2018년 가족 관련 가치관은 모두 개방적인 방향으로 이행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치관의 변화가 미혼여성의 결혼의향이 낮아진 것에 작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문제는 가치관 변화를 되돌리는 것이 원천적으로 어려우므로 장기적인 관점의 간접적인 접근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조심스럽지만, 가치관 형성기라고 볼 수 있는 유소년기에 결혼 및 가족 친화적 환경의 의미와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제안해본다. 또한, 미혼 여성의 경우, 취업한 경우가 결혼의향이 더 높았다는 점에 근거하여 미혼 남녀의 취업장려 정책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출산율이 2015년과 비교해 약 11% 가까이 떨어졌는데, 이는 미혼여성과 사뭇 다른 양상이다. 다시 말하면, 미혼 여성은 결혼의향이 낮아진 것에 가치관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가치관이 혼재되어 가치관이 일관되게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볼 수 없다. 여기서 눈여겨볼 추정결과는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취업 여부보다는 결혼 시 주거형태와 성역할관 중 가사공평성 인지에 대한 부분이 추가출산에 영향을 준다는 점,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경우 주거형태보다는 취업 여부가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이는 첫 자녀 출산결정에 소득이 영향을 끼치나, 첫 자녀 출산 이후 추가출산 결정은 주거상황이 더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에 대해서는 주거 안정 정책의 적극적인 시행이 적절한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현재의 신혼부부 전세 또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 등과 같은 정책들을 보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가사공평성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추가출산의향이 높아지는 결과는 McDonald (2000)의 “가족제도 내에서 여성이 가사와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을 부여받는 불평등을 감수할수록 저출산 현상이 나타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임에 틀림없지만, 가사 공평성은 가정 내에서 해결할 성격의 문제이므로 남성 배우자 출산휴가, 남성 육아휴직 등을 현 수준보다 확대하여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은 2015년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도 출산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할 때, 이들을 위한 정책방안 수립은 쉽지 않으므로 미혼 여성들의 고용 증진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추정결과와 시사점을 종합하면, 가치관의 변화라는 개개인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고, 동시에 결혼율 증가와 추가출산 제고를 위해 가능한 정책들을 대상집단별로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정책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Notes

1)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2015년 맞벌이비율은 44.1%, 2018년 46.3%로 나타나 본 자료의 수치와 추세가 동일하였다.

References

1 

김경숙. (2018). 예비 결혼세대인 미혼 남녀의 성역할태도,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결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289-299.

2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3 

김경신, 이선미. (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과학회지, 1(1), 27-43.

4 

김기연, 신수진, 최혜경. (2003).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87-99.

5 

김은설, 최혜선. (2008).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6 

김은정. (2018). 미혼 여성의 일반적 특성, 결혼 가치관과 성역할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4), 1291-1306.

7 

김중백. (2013).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39(1), 1-24.

8 

김태길. (1996). 한국윤리의 재정립. 서울: 철학과 현실사.

9 

마미정. (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10 

문선희. (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11 

박민자. (2004). 혼인의미의 시대적 변화. 가족과 문화, 16(1), 109-135.

12 

박주희. (2016). 가족가치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기대가 남녀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4), 21-35.

13 

오민지. (2021).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통합모형의 검토,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4 

유영주, 김경신, 김순옥. (2000).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15 

은선경, 박효진. (2020).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4), 210-217.

16 

이삼식. (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17 

이완, 채재은. (2017). 기혼 여성의 자녀 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65-78.

18 

이지나, 황명진. (2019). 미혼남녀의 결혼에 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논총, 71, 117-151.

19 

이철희. (2012).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한국인구학, 35(3), 117-144.

20 

임선영, 박주희. (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21 

정성호. (2009). 저출산의 사회적 요인과 향후과제. 사회과학연구, 48(2), 1-22.

22 

정원식. (1969). 정의의 교육. 서울: 배영사.

23 

진미정, 정혜은. (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한국인구학, 33(3), 31-51.

24 

최지훈, 안선희. (2018). 가족 친화 제도와 남편의 자녀돌봄 참여가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75-85.

25 

최효미. (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가정관리학회. 49-55.

26 

홍성희. (2020). 남녀의 출산의향, 출산희망연령과 계획 자녀수의 영향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2), 69-87.

27 

Arnold F., Bulatao R. A., Buripakdi C., Chung B. J., Fawcett J. T., Iritani T., Lee S. J., and Wu T. S.. (1975). The value of children: Vol. 1. Introduc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Honolulu, HI: East-West Population Institute.

28 

Becker G. S.. (1973). A theory of marriage: Part 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4), 813-846.

29 

Carmichael G. A., Whittaker A.. (2007). Choice and circumstance: Qualitative insight into contemporary childlessness in Australia.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3(2), 111-143.

30 

Cherlin A. J.. (2004).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America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4), 848-861.

31 

Kahn S.. (2007).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to marry: A comparison of Americans and Australians. UW-L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 10, 1-7.

32 

McDonald P.. (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3), 427-439.

33 

Newman L. (2008). How parenthood experiences influence desire for more children in Australia: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5(1), 1-27.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1-31
수정일Revised Date
2021-06-0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6-07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