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56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기획 일본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Japan'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공영종(붓쿄대학 사회복지학부 준교수)
Kong, Youngjong(Bukkyo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56-72 https://doi.org/10.23063/2025.03.4
초록보기
Abstract

Japan’s system of support for disabled persons, similar to Korea’s, consists of services provided at various administrative levels, each governed by its respective legal framework. However, a key difference is that while Korea’s system, pursuant to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rimarily targets individuals registered as disabled, within the Japanese system,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disability support ar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each support scheme and the legal framework that underpins it. The variation in selection criteria within Japan’s disability support system underscores the need for discussions that incorporate diverse viewpoints, including those of disabled persons themselves, on whether these criteria are appropriate, and, if so, by what standards, in determining recipients for a given policy or program.

초록

일본에서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이 각각의 법률에 따라 제공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는 한국의 장애인 지원체계와도 유사하다. 반면 기본적으로 「장애인복지법」에 기반을 둔 장애인등록제에 따른 등록 장애인을 장애인 정책의 대상으로 하는 한국과는 달리, 일본의 경우 각 지원에 관한 법률 및 제도의 목적에 따라 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와 대상기준이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장애인 지원체계에서 볼 수 있는 대상기준의 차이는, 정책이나 제도의 대상을 규정함에 있어서 과연 어느 것이 적절한 것인지, 그것이 어떠한 기준에서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 장애인 당사자를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확인하고 검토하여 논의해 가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2 기획 스웨덴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Sweden'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홍세영(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조교수)
Hong, SaeYoung(Anyang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39-55 https://doi.org/10.23063/2025.03.3
초록보기
Abstract

In Swede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btain social security entitlements based on their employment and residential status. The Swedish disability support system consists mainly of social insurance, employmentrelated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s. Disability determination is carried out in a comprehensive manner from the bio-psycho-social perspective, in line with the WHO’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Sweden, where no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is in place, individuals who wish to receive disability support have to first go through a needs assessment or an eligibility evaluation for the applied service. Social insurance benefits and employment-related disability benefits are determined based on insurance and medical assessments. Anyone medically determined as disabled should go through an additional evaluation to become eligible for such benefits. The decisive factor here is a “reduced work capability.” Social services for disabled persons, including law-regulated support and services (LSS), ar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which may, to a point, exercise autonomy in delivering these services. Far from being monolithic and rigidly standardized, Swedish disability policies and the disability determination system, committed instead to the principle of tailored services, focus on providing support to each disabled person, with their needs evaluated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nd professionalized approach involving various experts and stakeholders.

초록

스웨덴에서 장애인은 근로와 거주를 근거로 사회보장 수급권자가 될 수 있다. 스웨덴의 장애인 지원은 크게 사회보험, 고용, 사회서비스로 구분된다. 판정체계는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생심리사회적 관점(bio-psychosocio perspective)에 입각하여 통합적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장애인 등록제가 없는 스웨덴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지원별 판정이나 욕구 조사를 받아야 한다. 사회보험 급여와 고용의 경우 보험의학적 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개인이 의학적 장애로 판정을 받으면 추가적인 평가를 통해 지원 여부가 결정된다. 판정 기준은 “감소된 근로 능력”이다. 전문장애인서비스(LSS)를 포함한 사회서비스는 지방정부인 코뮨(Kommun)의 책임으로 서비스 제공을 평가하는 데 다소 자율성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스웨덴에서 장애인 정책과 판정체계는 획일적이고 표준적인 체계에서 벗어나 욕구 중심의 개별화 원칙이 강하고 한 명의 장애인에게 필요한 지원을 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다학제적이면서도 전문적 조사의 성격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3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 노인의 지속 거주(Aging in Place) 사례와 과제Cases and Challenges of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in Japan
최희정(㈜웰에이징연구소 대표)
Choi, Hee-jeoung(WELL-AGING LAB Co., Ltd.)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131-136 https://doi.org/10.23063/2025.03.10
4 국제사회보장동향 핀란드의 하우징 퍼스트(Housing First)에 기반한 노숙인 지원 정책Finnish Housing First and Homelessness Policy
박영선(헬싱키대학교 사회정책학 박사과정)
Park, Youngsun(Doctoral researcher, Facult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Helsinki)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30-136 https://doi.org/10.23063/2024.12.11
5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임신갈등 상담 제도Germany’s System for Pregnancy Conflict Counseling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24-129 https://doi.org/10.23063/2024.12.10
6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의 장애인 및 노인 서비스 정책 통합 현황Integrating Policies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강성혜(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Kang, Sarah Sung Hye(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17-123 https://doi.org/10.23063/2024.12.9
7 이슈분석 미국의 건강보장제도 확대에 대한 논의Recent Trends and Issues in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the US Can Medicare for All Become a Reality?
정소윤(뉴욕주립대학교 정책학과 박사과정)
Jeong, Soyun(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72-84 https://doi.org/10.23063/2024.12.6
초록보기
Abstract

The US Medicare program, managed by the federal government, was introduced in 1965 for older adults. Medicare is considered a general program, as it is available to anyone aged 65 or older, regardless of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or health status. However, Medicare has a rather complicated structure, with private insurers involved and coverage divided into Parts A, B, C, and D. Recently, as health service use has grown with the aging population, leading to a rise in health care spending, concerns have arisen about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Medicare. Adding to these concerns, Medicare enrollees are facing growing difficulties in accessing health services due to rising claim denials and increasing pre-authorization requirements. The current situation warrants an examination of Medicare’s status and the options underway to improve its sustainability and expand its benefit coverage. “Medicare for All” is one of the reform directions aimed at transforming the health insurance program from the current multi-insurer system to a single-insurer model, with a view to providing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health services to all. Numerous attempts to make Medicare a single-insurer scheme have been unsuccessful. Achieving this goal requires, above all,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political consensus. Such a shift seems unlikely to occur any time soon at the federal level, though state-based reforms may be more feasible. The US government is likely to pursue gradual reforms, instead of enacting drastic changes, to expand Medicare benefits.

초록

미국의 메디케어는 1965년에 처음 제정된 노령 인구를 위한 건강보험 제도로, 연방정부에서 운영을 맡고 있다. 메디케어는 만 65세 이상이 되는 시점에 소득과 직업, 건강 상태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성격의 사회보장제도로 여겨진다. 그러나 민간 보험사도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고, 메디케어 혜택이 파트 A, B, C, D로 나뉘어 구성되는 등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률 및 의료비 증가를 이유로 정책의 재정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메디케어 보험 청구 거절 및 의료서비스 사전 승인 절차가 늘어나면서 수혜자들이 의료서비스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메디케어의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 지속성과 보장 혜택 확대를 위한 개혁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모두를 위한 메디케어(Medicare for All)는 메디케어 개혁 방안 중 하나로, 기존의 파편화된 메디케어 시스템을 단일 보험자 체계로 전환하여 모든 국민에게 보다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단일 보험자 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무엇보다 지속 가능한 재원 확보와 정치적 합의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방정부 차원의 단일 보험자 체계 전환은 단기간 내에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주정부 중심의 개편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으로 여겨진다. 미국 정부는 급진적인 정책 변화보다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메디케어 혜택을 확장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8 이슈분석 미국 메디케어의 치매 환자 및 가족 지원 사업 사례: GUIDE 모델을 중심으로US Medicare’s Dementia Support Program for Patient and Caregivers
김수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Kim, Su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49-60 https://doi.org/10.23063/2024.12.4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continues to rise, the absence of a long-term care system and support scheme has long added considerably to the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burdens not only on patients themselves but also on their families and caregivers. Medicare, a public health insurance program for people aged 65 and older, as well as people with disabilities, launched its 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GUIDE) model in July 2024, aiming to reduce the care burden on families and help people with dementia continue living in their communities. The GUIDE model offers coordinated care, care management services, and ad-hoc nursing care for patients, along with support and education for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ng entities must have physicians and care navigators capable of managing dementia patients. Whether the GUIDE model will continu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assessments following its 8-year pilot phase.

초록

치매 환자의 증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 장기요양서비스 및 포괄적 관리와 지원 체계의 부재는 치매 환자뿐 아니라 가족과 돌봄제공자에게 상당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야기해 왔다. 미국의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대상 공보험인 메디케어는 치치매 환자의 지역사회 거주 기간을 늘리고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4년 7월 GUIDE(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은 케어 조정 및 관리, 가족돌봄자 지원 및 교육, 치매 환자에 대한 임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며 참여기관은 이를 위해 치매 관리 역량이 있는 의사와 케어 내비게이터(care navigator)를 필수적으로 두어야 한다. 8년 시행 후 평가를 통해 사업의 지속성이 결정될 예정으로 향후 관찰이 필요하다.

초록보기
Abstract

I review the current state of Japan’s independence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Japan’s child protection system, once centered on facility-based residential care, has become more comprehensive in recent years, following changes in independent-living support policies and supplemented by enhanced family-based care. Through the 2016 amendment to the Child Welfare Act, independence support services, which had previously been delivered in a fragmented manner, were incorporated into an integrated system. The 2022 amendment eased age restrictions and introduced the support-hub project, making it possible to support young people transitioning out of out-of-home care more effectively and for a longer duration. One key implication of Japan’s system is that Korea should seek further integration of its independent-living support system and enhance the public aspects, such as administration and oversight.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의 보호아동 자립지원 정책의 현황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일본의 아동보호체계는 시설보호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자립지원 정책의 변화와 함께 가정보호와 연계한 통합적 지원체계가 강화되었다. 2016년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자립지원사업이 통합되고, 2022년 법 개정을 통해 연령 요건 완화와 자립지원 거점 사업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보호종료 후에도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다. 한국도 자립지원 체계의 통합성과 공공성 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10 기획 독일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이주화(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Lee, Ju Hwa(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20-38 https://doi.org/10.23063/2025.03.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s disability support can be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ypes based on recipient selection criteria. The first type targets individuals registered as disabled. The second type, also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extends support to individuals at risk of developing a disability. For the third category, beneficiaries are selected based on the objectives each service aims to achieve. Such flexibility in the selection criteria has helped close gaps in support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system. The German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underpinned by an inclusive disability determination approach,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that those in need of disability benefits are not left unsupported. The German case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o put into practice a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with a balanc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social inclusiveness, and fairness. In this study, I examine how 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is administered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and in accordance with recipients’ needs for income support, employment benefits, and care. I also discuss i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초록

독일의 장애인 지원제도는 수급자 선정 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장애인등록제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 둘째, 등록제를 기본으로 하되 장애 위험이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방식, 셋째, 개별 급여의 목적에 따라 수급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유연한 수급자 선정 구조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지원체계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장애인등록제는 포괄적인 장애 인정 방식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급여가 필요한 사람이 배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장애인등록제 운영에 있어 행정적 효율성, 복지의 포괄성, 공정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제도 설계가 가능함을 보여 준다. 이 글에서는 독일의 장애인등록기준과 소득, 고용, 돌봄제도의 대상자 선정 기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체계가 한국의 장애인등록제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