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3개 논문이 있습니다
11

제41권 제4호

항공사 해고노동자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저비용항공사 운항승무원의 해고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Focused on the Dismissal Experience of Low-cost Carrier Cockpit Crew
김현숙(성균관대학교) ; 강준혁(을지대학교) ; 이혁구(성균관대학교)
Kim, Hyun Sook(Sungkyunkwan University) ; Kang, Jun Hyeok(Eulji University) ; Lee, Hyuk Koo(Sungkyunkwa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313-333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313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lives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For this, a total of 4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Creswell’s (2013) case study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the context of the lives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was individually revealed through ‘within-case analysis’. Second, a total of 15 integration topics between cases were extracted through ‘cross-ca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y revealed their lives before dismissal as ‘the job they dreamed of’, ‘what they were proud of’, ‘satisfied with one’s job’, ‘sensing that something is wrong’. After the dismissal, the participants suffered from ‘concerns becoming a reality’, ‘thrown away in the open sea’. ‘relative deprivation’, ‘sadness from criticism’, ‘fury on unfairness’, ‘over-the-counter struggles’, ‘out into the part-time job battlefront’, ‘appreciation for family’, ‘struggles to keep one’s place’, ‘avoiding extreme choices’, ‘broken rice bowl’, and ‘change of perspective on labor’.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suggest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dismissed airline workers, support self-help groups, and provide jobs as well as education to dismissed airline crews. In addition, they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lfar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cessity of the aviation crew (airline workers) mutual aid associ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viation indust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해고승무원들의 삶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4명의 운항승무원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시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에 따라 첫째, ‘사례 내 분석’을 통해 ‘항공사 해고승무원의 삶의 맥락’을 개별적으로 드러냈다. 둘째,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15개의 사례 간 통합 주제를 추출했다. 분석 결과 ‘꿈꿔왔던 일’, ‘자부심 가득했던 일’, ‘새 직장에 만족함’, ‘무언가 이상이 있음을 감지함’이라는 해고 이전의 삶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해고 이후 참여자들은 ‘우려가 현실이 됨’, ‘망망대해에 내던져짐’, ‘상대적 박탈감’, ‘비난에 대한 서글픔’, ‘억울함’, ‘내 자리를 지키려는 투쟁’, ‘아르바이트 전선으로’, ‘가족에 대한 고마움’, ‘극단적 선택을 회피함’, ‘깨진 철밥통’, ‘노동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해고노동자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서비스 제공, 자조모임 지원, 해고승무원 일자리 제공 및 교육 등이 가능한 통합기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항공승무원(항공종사자) 공제회 필요성 제시 및 항공업계의 특성이 반영된 복지정책 개발과 적용을 제안했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Human rights-based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The online program with nine sessions was provided to 36 social workers working at senior welfare centers.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ere employ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pre-post tests) and the control group (only pos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an diffe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24.0. The results of paired samples t-test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uppor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participation(p<.001), non-discrimination(p<.01), strengths perspective(p<.001), micro-macro integration(p<.001), capacity building (p<.001), community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p<.05), activism(p<.01), and accountability(p<.001). In addition, the degrees of participation(p<.001), non-discrimination(p<.001), strengths perspective(p<.001), micro/macro integration(p<.01), capacity building(p<.01), community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p<.001), activism(p<.05), and accountability(p<.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human rights practice that could promote human rights-based social welfare practice by social workers at senior welfare center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에게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관 2개소에 종사하는 3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회기 온라인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유사실험설계로 실험집단은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통제집단은 사후조사를 하였다. SPSS 24.0을 사용해서 기술통계와 t-test를 수행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결과에서 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는 사전조사에 비교해서 사후조사에서 참여(p<.001), 비차별(p<.01), 강점관점(p<.001), 미시・거시 통합(p<.001), 역량 강화(p<.001), 지역사회・다학제 협력(p<.05), 행동주의(p<.01), 책임성(p<.001) 등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방법 활용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사후조사와 비교에서도 실험집단의 참여(p<.001), 비차별(p<.001), 강점관점(p<.001), 미시・거시 통합(p<.01), 역량 강화(p<.01), 지역사회・다학제 협력(p<.001), 행동주의(p<.05), 책임성(p<.001) 등 인권관점 사회복지실천 8개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인권 기반 사회복지실천 방법 활용을 증진할 수 있는 인권 교육과 실천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13

제41권 제4호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종단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ing
이진선(군산대학교) ; 오종철(군산대학교) ; 강영숙(군산대학교)
Lee, Jin-seon(Kunsan National University) ; Oh, Jong-chul(Kunsan National University) ; Kang, Young-sook(Kunsan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243-26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243
초록보기
Abstrac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ife satisfact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level among those adolescents was particularly low in their middle school years. This study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using a latent growth model, The data used here are from the the fourth to sixth waves (which cover middle-school years) of a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first year in middle scho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other words, as the school years advance,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subsequently,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decrease. However,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first year in middle schoo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s the school years advanc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crease.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had a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Even i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re high, it is judged that having high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will increas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Since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at school,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chool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services to increase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o improve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rough project classes. In addition to counseling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support at home and school and helps psychological adaptation, support or community should be linked to various activities and programs.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 that increased support is provided under the current policy on at-risk youth, so as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m a positive self-concept in their school years.

초록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청소년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다문화학생들의 학업중단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들의 학업중단의 문제가 아닌, 그 이면 배경의 삶의 만족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패널 데이터 중 중학교 시기의 4~6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종단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1학년 다문화청소년들의 우울, 사회적 위축은 자아존중감,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때 갖는 우울과 사회적 위축은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쳐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낮추었다. 더불어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울과 사회적 위축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가 떨어졌다. 하지만 중학교 1학년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성장하면서 갖는 삶의 만족도도 높아졌다. 중학교 1학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져오는 변인으로 나타나 중학교 1학년의 우울과 사회적 위축이 높더라도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높게 가진다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다문화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만족이 높아지는 교육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과 학교에서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적응을 돕는 상담과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연계해야 한다. 셋째, 청소년 중심의 지원 정책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