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은 1983년부터 국민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사업으로서 암 검진을 지속적으로 장려한 까닭에 암으로 인한 5년 생존율은 증가해, 암 검진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가 암 보도를 얼마만큼 많이 하는지에 따라 암 검진자 수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총 9년간 미디어의 암 보도량과 대중의 암 검진자 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다섯 가지 암종(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별 상관관계를 확인했을 때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더불어 경제적 수준이 높은 검진자(상위 50%)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검진자(하위 50%)보다 높은 수준의 미디어와의 상관관계를 보여, 암 검진 실천 시 암 보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의 경제적 요인에 맞는 암 검진 캠페인 전략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With the increasing necessity of cancer screenings,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online media’s role in promoting public cancer screenings in South Korea where cancer screenings are conducted as a part of an organized, population-based program. Agenda-setting theory, which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the public as well as in monitoring fluctuation of media coverage and people’s health behavior,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a) the trends of public cancer screenings (the number of cancer screenings) and cancer coverage (the amount of cancer coverage), and (b)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verage and cancer screening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oth in general cancer issues and with the five main types of cancer issues: gastric, colorectal, liver, breast and cervical cancers. Furthermore,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aminees’ economic status; the correlations for the upper 50% of the examinees were stronger than for the lower 50%. The difference in the public’s decisions regarding health behavior based on media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trategies tailored to individual economic conditions.
Media coverage tends to influence public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media can influence policy decisions by representing stakeholders’ positions or forming public opinion favorable to them. This study classified newspaper media by ideological tendency and analyzed the patterns and frames of reporting of the 2020 doctors strike.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une 28, 2020, whe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first mentioned the strike, to September 4, 2020, when an agreement was signed with the government. The subject of analysis consisted of 493 articles from the Chosun-Ilbo, Donga-Ilbo, Hankyoreh, and Kyunghyang-Shinmun that were searched through BigKind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during the period. The analysis method is content and frame analysis according to article type, coverage type, information source type and ideological tendency. The finding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case-focused and direct coverage was high in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in the article type and the coverage type (P<0.001).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used in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the media (P<0.001), and the frames used in the editorials were also different (P<0.05). The qualitative analysis suggests that conservative media mainly emphasized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in policy promotion through the cause attribution frame, but progressive media criticized the act of of the Medical Association as unethical through the public and moral evaluation frame. The framing methods of the media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tendency. However, if it is expanded and reproduced, it may cause public confusion about health care policies and may ultimately hinde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y attention to agenda setting and conflict management surrounding public health policy.
언론보도는 대중의 정보 수용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이때 매체의 이념적 성격은 이해당사자의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여 정 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문 매체를 이념 성향별로 분류하여 2020년 의사파업에 대한 보도 양상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기간은 대한의사협회가 파업을 최초로 언급한 2020년 6월 28일부터 정부와 합의를 체결한 2020년 9월 4일까 지이다. 분석 대상은 해당 기간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를 통해 의사 파업으로 검색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기사 493건이다. 분석 방법은 기사 유 형, 취재 유형, 정보원 유형과 이념 성향에 따른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다. 정량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사 유형과 취재 유형에서는 보수 매체와 진보 매체 모두 사건 중심 보도와 직접 취재의 비율이 높았다(P<0.001). 그러나 매체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기사에 활용한 정보원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사설에서 이용한 프레임 역시 달랐다(P<0.05). 정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수 매체는 주로 원인 제공 프레임을 통해 정책 추진에서 정부의 책임을 부각시켰으나 진보 매체에서는 공공성과 도덕성 평가 프레임을 통해 의사협회의 비윤리적 행위를 비판하였다. 이념 성향에 따라 매체의 프레이밍 방식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확대ㆍ재생산될 경우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공중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체계의 개선과 발전을 저해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공의료 정책을 둘러싼 의제 설정과 갈등 관리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