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fertility rates in advanced countries rebound in the 21st century, theories studying this phenomenon st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rates and gender equality has a U-shaped relationship.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rate and gender equality is closer to inversely J-shaped than U-shaped, based on research showing that factors affecting fertility rates differ depending on the stag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4 developed countries in the post-industrial stage and 111 developing countries in the industrial stage, an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on the two groups to find variables that affect fertility rates, and then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s. The study found that women’s education level exhibited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ertility rate in the industrial stage and a weak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post-industrial stage.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dustrial stage, and there wa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ertility rate in the post-industrial stage.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among women in the industrial stage and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in the post-industrial stage were the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the fertility rate was inversely J-shaped.
21세기 선진국들의 출산율이 반등하면서 이 현상을 연구하는 이론들은 출산율과 성평등의 관계가 U자형 관계를 가진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사회경제적 발전 단계에 따라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율과 성평등의 관계가 U자형보다는 역J자형에 가깝다는 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후기산업화 단계의 34개 선진국, 산업화 단계의 111개 개발도상국이고, 두 그룹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구한 다음, 두 그룹에 대해 출산율의 결정요인을 찾아낸다. 연구 결과, 여성의 교육 수준이 산업화 단계에서 출산율에 강한 부적인 관계를 보이다가, 후기산업화 단계에서 출산율에 약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성평등 수준은 산업화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후기산업화 단계에서 출산율에 강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 산업화 단계에서 여성의 교육 수준이, 후기산업화단계에서 성평등 수준이 출산율의 결정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율과 성평등 수준과의 관계가 U자형이 아닌 역J자형임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educational priorities for enhancing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u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and refin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378 social service agents and 1,861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those social service agents were deployed. Gap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are perceived levels of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were derived from the combin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desired and current levels of mos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urvey of representatives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service agents. For each respondent group, competencies with above-average levels of both need and discrepancies were identified as high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were then integrated based on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competencies. The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client orientation’, ‘understanding of the client’, ‘client engagement’, ‘communication’, and ‘complaint response’. Secondary job competencies included ‘respect for human rights’, ‘identification of client needs’, ‘empathy’, and ‘care skil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both social service agents and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educational priorities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 체계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서 복무하는 사회복무요원 378명과 사회복무요원이 배치되어 있는 근무기관 담당자 1,8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교육요구도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역량별 요구 수준과 현재 수준 불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갭 분석과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교육요구도 종합 결과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기관 담당자와 사회복무요원 조사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역량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의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응답자 집단별로 요구 수준과 불일치 정도가 모두 평균 이상인 역량을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으로 도출한 후, 공통적으로 제시된 역량을 중심으로 결과를 종합하였다.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으로 ‘이용자지향’, ‘대상자이해’, 관계형성’, ‘커뮤니케이션’, ‘민원응대’ 역량이 선정되었으며, 차순위 역량으로 ‘인권존중’, 이용자욕구파악’, ‘공감’, ‘케어기술(돌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과 근무기관 담당자 양측의 교육요구와 인식을 함께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회복무요원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으로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2007~2019년 한국복지패널 자료 및 성향점수매칭(PSM)과 사건 연구(event study) 디자인을 포함한 일반화이중차이모형(GDD)을 이용해 노인의 기초연금 수급이 성인 자녀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세대 간(inter-generational) 영향을 추정하였다. 이중차이모형 분석 결과, 자녀의 교육 수준이 대학교 이상인 집단에서 부모의 기초연금 수급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개선했으나 그 외 다른 집단에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인 세대 간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점은 기초연금 급여가 연구 기간 내 1인당 약 10만~20만 원 내외로 비교적 적고, 가구 내 소득 공유(income pooling) 또는 자원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따른 결과로 추측할 수 있다. 가구 수준에서 기초연금의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기초연금 소득의 가구 내 배분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노인 부모와 거주하는 성인 자녀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초연금 정책의 세대 간 영향을 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차이모형 등 준실험설계모형을 이용해 최초로 밝힌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inter-generational effect of Basic Pension on adult children’s overall life satisfaction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generalized difference-in-differences (GDD) design with an event study framework and 2007~2019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though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the adult children was relatively improved following their parents’ receipt of Basic Pension among those whose education level was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effect was not generally found in the sample. The absenc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dult children in the entire sample was presumably due to the low level of Basic Pension benefits and the absence of household income pooling and resource allocation to the adult children.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within-household distribution of Basic Pension income in Korea is needed to understand the true effect of the policy on household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inter-generational effect of Basic Pension policies in Korea on adult children’s well-being by benefit duration, using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