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5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community infrastructure (e.g., availability of health care facilities and centers for leisure activities) on older adults’ suicidal ideation (SI). Further, it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SI differed by the availability of community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Data from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nd 2020 administrative data were used.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74,492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ver, residing in 229 reg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health dimensions such as pain and discomfort, functional health leve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well as mental health dimensions such as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 among older adults. Second, community infrastructure for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I among older adults. Third, functional health level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infrastructure for leisure activities to affect SI among older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suicide among older adults were discusse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의 2021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와 시군구 단위의 2020년 국가승인통계자료를 이용했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74,492명과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건강 차원의 통증 및 불편감, 기능적 건강 수준, 주관적 건강 상태, 정신적 건강 차원의 우울 임상적 진단군 여부, 인지장애 경험 여부 모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건강 차원의 기능적 건강 수준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지역사회의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와 상호작용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Community participation is a core principle of primary health care and health promotion, yet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remains challenging.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project in Busan began with the Healthy Bansong Project in 2007, expanded into the Healthy Local Community Project in 2010, and further developed into the Local Community Health Center Project in 2016.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Busan’s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projects and provide insights to enhance such initiatives in South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15 year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ke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Busan’s community participation health project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adherence to the principle of community participatio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local residents,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policy support by regional government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the enactment of supportive ordinances. Nonetheless, challenges remain to be addressed, such as limitations in securing local government budgets, instability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health workers, and the perception of redundancy with local social care services.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experience of the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projects in Busan over the past 15 years serves as a valuable asset for the expansion and enhancement of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initiatives in South Korea.

초록

주민참여는 일차보건의료와 건강증진의 핵심 운영원리이지만, 현실 보건사업에서는 구현이 어려운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부산시 소지역 주민참여 건강사업은 2007년 건강반송사업으로 시작하여, 2010년 건강마을사업, 2016년 마을건강센터사업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주민참여 건강사업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주민참여 건강사업을 활성화하는 데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지난 15년간 사업수행의 경험과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살펴본 부산시 주민참여 건강사업의 지속적 발전 요인은, 보건사업에서 주민참여의 원칙 견지, 소통과 공감을 통한 주민참여, 지역의 특성에 기반, 지자체의 정책적 일관성과 전문적 지원조직의 존재, 사업의 근거가 되는 조례의 제정 등이었다. 한편, 해결 과제는 지자체 예산 확보의 한계, 활동 인력 고용구조의 불안전성, 지역복지사업과의 중복성 인식 등이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지난 15년간 소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수행‧발전해 온 부산시 주민참여 건강사업의 경험은 주민참여에 기반한 지역보건사업을 확산하고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3

제44권 제3호

핀란드 복지서비스 자치주의 노인 재가 돌봄 현황 및 시사점: 시운 소테를 중심으로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Finland’s Wellbeing Services County in Elderly Home Care: Focusing on the Home Care System of Siun Sote
이연호(인천대학교) ; 김수현(경북대학교) ; 전용호(인천대학교)
Lee, Youn Ho(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im, Su Hyu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hon, Yongho(Incheon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137-162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137
초록보기
Abstract

The elderly in Korea face difficulties in accessing quality home care services due to fragmented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segmented healthcare delivery systems, among other factor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lderly home care system of Finland's Siun sote, which has extensive experience in operating within a local government framework and integrating medical and care services, is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and current status of elderly home care in Siun sote, Finland, focusing on beneficiaries, services, delivery systems, and funding. Several findings emerged. First, Siun sote aimed to provide universal welfare service coverage by allowing anyone over the age of 65 to apply for services. The system offered both home care services and supportive care services tailored to users’ needs, aiming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through home care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livery, local government service provision personnel and services were structurally integrated, enabling users to receiv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medical and social care. Financially, the system primarily operates on local income taxes, supplemented by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for any deficiencies. To ensure financial stability and prevent moral hazard, a self-payment fee for home services was set, with a limit not to exceed a certain amount. I suggested that this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 home care system designed in Finlan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local government care reforms that are being attempted,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improvement.

초록

우리나라는 파편화된 서비스 공급체계, 의료-간호-요양 전달체계의 분절성 등으로 노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양질의 재가 돌봄 서비스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중심의 제도 운영 경험이 축적되어 있고 의료, 간호, 요양 연계를 실천하고 있는 핀란드의 시운 소테(Siun sote)의 노인 재가 돌봄 운영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시운 소테의 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정의 측면에서 핀란드 시운 소테의 재가 돌봄 운영 방식과 현황,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핀란드는 우선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복지서비스 접근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급여의 경우, 이용자의 욕구에 맞게 재가 돌봄 서비스와 재가 돌봄 보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돌봄 기술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전달체계 측면에서는 지자체 중심의 서비스 직접 제공 인력, 서비스 등이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있어 이용자가 연속적인 의료-간호-요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재정은 주로 지방소득세로 조달되며, 부족한 부분은 중앙정부의 보조금으로 지원된다. 재정안정성 확보 및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가서비스의 본인부담금을 설정하고, 일정 금액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지역사회 통합돌봄법의 시행을 전국적으로 추진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본 연구가 지자체 중심의 노인 재가 돌봄 제도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

제44권 제2호

지역약국 신규 도입 서비스에 대한 재정 분석
Financial Analysis of New Specialty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Pharmacy Pharmacists
최한실(성균관대학교) ; 권순홍(셰필드대학교) ; 황태원(텍사스 A&M 대학교) ; 이진형(성균관대학교)
Choi, Hansil(SungKyunKwan University) ; Kwon, Sun-Hong(University of Sheffield) ; Hwang, Taewon(Texas A&M University) ; Lee, Jinhyung(SungKyunKwa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2, pp.108-128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2.108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Korea is experiencing rapid population aging, and as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comprehensive healthcare services. However, in local areas, the shortag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ealthcare workforces makes it difficult to adequately provide medical and caregiving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harmacists to be involved in caring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such as patient medication manage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is study selected seven specialized services that local pharmacies can offer. Information on the expected time commitment for each service was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pharmacis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pected 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 and fee were estimated, and the expected total cost for each service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xpected fee by the estimated number of cases. Our financial estimation finds that, if all seven services are introduced simultaneously, the total costs required amount to anywhere between KRW 26.3 billion and KRW 68.5 billion. The proportion of total medical insurance costs in 2020 ranged from 0.15% to 0.39% and the proportion of total service fee costs ranged from 0.66% to 1.72%. The service expected to have the lowest cost among the seven services was medication safety education, while the service anticipated to have the highest cost was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counseling.

초록

초 록 한국은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복합적인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의료기관 및 의료인력의 부족으로 의료와 돌봄 관련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지역약국의 참여를 통해 환자들의 약물복용을 관리하는 등 약사들도 지역의 노인 인구를 케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국내외 관련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약국에서 제공할 수 있는 7가지 신규서비스를 선정하였으며, 약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별 예상 활동시간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가상의 상대가치 점수와 수가를 추정하였고, 예상 수가와 추정 건수를 곱하여 서비스별 예상 총비용을 산출하였다. 재정 분석 결과 7가지 신규서비스를 동시에 도입할 경우 소요되 는 재정은 총 263억~685억 원으로 2020년 총 요양급여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15~0.39%, 총 행위료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66~1.72%로 나타났다. 7가지 서비스 중 가장 적은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는 약물사용 안전교육이었으며, 가장 많은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는 복약지속을 위한 모니터링 상담으로 나타났다.

5

제44권 제2호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from Parents to Children
안선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익중(이화여자대학교) ; 강진아(이화여자대학교) ; 김소연(이화여자대학교)
Ahn, Seon Kyeong(Ewha Womans University) ; Chung, Ick-Joong(Ewha Womans University) ; Kang, Jina(Ewha Womans University) ; Kim, Soyoun(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2, pp.311-335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2.311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latent profiles of smartphone dependency among parents and children and to identify patterns of transition in smartphone dependency between them. The study used 3rd-year child-parent paired data on 2,229 parents and their 2,229 children who participated as 4th graders in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KCYPS). This study focused on 6th-grade children at risk of smartphone dependency, a critical stage preceding the expansion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Main conclusion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identified three optimal profiles: ‘low-dependency type’, ‘average-type’, and ‘high-dependency type‘. Second, the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dependen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a high probability of children adopting the same type of smartphone dependency as their paren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efforts to reduce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should also address the reduction of smartphone usage among parents. Third, better parenting attitudes and more time spent with and talking to parents were associated with smartphone dependency in children. In contrast to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which focuses on individual factors causing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this study used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examine the dependency of parents and children on smartphones, considering the influence received from parents since an early age.

초록

초 록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부모로부터 전이된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8 초4 패널 자료 중 3차년도 부모(N=2,229)와 자녀(N=2,229) 쌍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에 취약한 초등학생 중에서도 사회적 관계가 확대되기 전 단계인 초등학교 6학년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론은 첫째,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각각 3개가 최적의 잠재프로파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이 유사하였으며,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 유형과 동일한 형태로 자녀에게 전이될 확률이 높게 나타나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감소를 위해서는 부모 역시 스마트폰 사용을 줄여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감소를 위해서는 부모의 강제력에 의한 통제보다 긍정적 양육태도, 부모와 함께 있는 시간 및 대화 시간 등 부모와의 질적인 관계 증진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개인적 문제로 초점화하였던 변수 중심적 접근과 달리 대상 중심적 접근을 통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받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스마트폰 의존도의 횡단적 전이관계를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적 가치를 갖는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