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ording to population projections by Statistics Korea, Korea is expected to undergo a rapid population decline, and population in most regions is likewise projected to decline. However, the health-care needs–weighted population is projected to increase at least until 2050. Therefore, the supply of the regional health care workforce should be adjusted to meet the increase in this needs-weighted population. Relative to other OECD countries, Korea ranks low in the number of practicing physicians and nurses per 1,000 popul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racticing physicians per 1,000 population was below the OECD average in all regions except Seoul. Moreover, there were substantial regional disparities in the total number of physicians, hospital-based physicians, and essential medical specialists. Policies to resolve the regional imbalance of the physician workforce, which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health workforce market, have been either abandoned or implemented only in a limited form. Amid the continuing and worsening regional health workforce imbalance, past workforce policies have relied on a centralized approach. In addition, in the absence of regional health systems, both financial and management mechanisms have been fragmented. To address health care workforce challenges in the era of regional population decline, a regional health system must first be properly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decentralization of health care, based on the integration of management and financing mechanisms, should be implemented. Local problems are best known and solved by local communities themselves.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 감소를 보일 것이며, 지역별 인구 역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할 전망이다. 하지만, 성과 연령 인구구조를 고려한 보건의료 업무량 지수를 적용한 보건의료 필요도 가중인구는 최소 2050년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건의료 필요 가중 인구의 증가에 따른 지역보건의료인력 수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천 명당 활동의사수와 활동간호사는 OECD 회원국과 비교할 때, 모두 부족한 국가에 속한다. 특히 인구 천 명당 활동의사수는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구 천 명당 전체의사수, 병원근무 의사수, 필수의료분야 전문의 수 역시 지역 간 격차가 상당하였다. 특히, 보건의료인력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사인력의 지역 불균형 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들은 그간 좌초되거나, 제한적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다. 지역보건의료 인력의 불균형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보건의료인력 정책은 중앙집권적 방식에 의존하였다. 또한, 지역보건의료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건강보험을 중심으로 하는 재정 기전과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중심으로 하는 관리 기전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실제 지역보건의료인력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지역 인구감소시대의 보건의료인력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보건의료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리와 재정의 통합에 기반한 보건의료의 지방분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병원 중심의 치료에 의존해서는 지속가능한 대응이 어려우며,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의 보건의료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의 문제는 지역에서 가장 잘 알고,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다.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address the issues of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However, the infrastructure for childbirth is deteriorating due to a decline in delivery medical institutions and a shortage of medical personnel.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acute in rural areas, where the gap in medical accessibility is widening, making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based on medical service zones an urgent matter. This study analyzes the accessibility of healthcare for pregnant women and newborns by establishing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service area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delivery infrastructure based on this analysis. The service areas were identified using a modified Dartmouth Atlas methodology based on Hierarchical Clustering. A total of 31 service areas were identified. Additionally, maternal and child health indicators by service area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ravel distance to maternal healthcare centers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areas where the travel distance was above-average, both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indicators had higher mortality rates. However,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 except in the case of maternal mortality rates.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to address regional disparities in medical accessibility and to strengthen delivery infrastructure. The findings can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maternal and child healthcare policy development.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부의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분만 의료기관의 감소와 의료 인력 부족으로 분만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다. 특히 지방에서는 의료 접근성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진료권 기반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모자의료 진료권 설정을 통해 임산부와 신생아의 의료 접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만 인프라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자의료 진료권은 Hierarchical Clustering을 기반으로 한 Dartmouth Atlas 수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총 31개 진료권이 도출되었다. 또한, 진료권별 모자보건의료 지표를 분석하고, 모자의료센터까지 이동거리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동 거리가 평균을 초과하는 지역에서 모든 모자보건의료 지표의 사망비와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검정과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모성사망비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들 간 유의미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 간 의료 접근성 격차 해소와 분만 인프라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모자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