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개인이 지닌 주관적 계층의식과 사회자본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부는 친사회적 동기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이며,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 못지않게 자신의 지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자신의 계층지위를 높게 인식할수록 기부행위에 적극적일 것이라는 가설의 검증이 이루어졌다. 또한, 사회자본의 하위개념으로 연결망의 크기와 유형을 도입하고, 이들을 변수화하여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청의 『2011년 사회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신의 사회경제적 계층지위를 높게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활동단체에 가입한 사람일수록, 그리고 이타적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단체에 가입한 사람일수록 기부행위의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객관적 계층지표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논문은 그 동안 개인이 지닌 특성과 동기의 차원에서만 논의되던 기부행위의 분석에서 설명변수의 영역을 사회적 맥락과 환경의 차원으로 확대하고, 그 인과구조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on donation behavior. Donation is a typical pro-social behavior and affected by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status of donor as much as that of objective socioeconomic one. It is assumed in this paper that the level of class status a person perceives is likely to influenc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giving behavior. In addition, a concept of social network with its size and type is introduced as subordinate concept of social capital.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donation behavior. Micro-data from Social Survey 2011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is analyzed.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level of individual perception on his or her socioeconomic status, the relative number of organizational membership and the degree of altruism that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 pursu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requency of donation. This relationship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 indicators of socioeconomic status. This paper has a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at it tries to expand the extent of explanatory variables from individual feature and motivation to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 and thus verify with empirical evidence its causal structure.
Donation is a prosocial behavior of giving one’s income and asset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serving as an important measure of a society’s social integr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This paper explores how objective social status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influence donation behavior, categorizing donation behavior into four groups: (1) the indifferent group, which is not interested in donating, (2) the simple intention group, which has the intention to donate but has not taken action, (3) the temporary participation group, which donates but has no future plans to continue, and (4) the active participation group, which actively plans and participates in donations. For the analysis, the 2023 “Social Survey”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active participation group was highest when income level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ere at their peak. Additionally, even among low-income households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USD 750), the likelihood of expressing interest in or participating in donations increased a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rose. The study’s findings, which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socioeconomic statu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ng in donation behavior, differ from some western studies like Piff et al. (2010). Furthermore, the analysis found that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donation intention and participation, and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had higher donation participation and intention compared to the MZ generation. These results remained robust even after introducing various demographic and social control variables.
기부는 대가를 바라지 않고 나의 소득과 재화를 내어주는 친사회적 행위로 한 사회의 사회적 통합과 문화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다. 본 논문은 기부행동을 크게 기부에 관심이 없는 (1) 무관심 집단, 기부를 행동으로 옮기진 않지만 참여의사는 있는 (2) 단순 의향 집단, 기부를 하고 있으나 앞으로의 계획은 없는 (3) 일시적 참여집단, 적극적으로 기부를 계획하고 참여하는 (4) 적극적 참여집단으로 나누어 객관적 사회적 지위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기부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의 2023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다항로짓 분석 결과, 소득 수준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가장 높을 때 적극적 참여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가구소득이 월 1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임에도 주관적 계층의식이 상승함에 따라 기부에 관심을 가지거나 참여할 확률이 높아졌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기부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진 본 연구의 결과는 Piff et al.(2010)과 같은 일부 국외 연구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기부의사와 기부참여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이비 붐 세대의 기부참여와 기부의사가 MZ 세대에 비해 높았다. 위의 결과는 다양한 인구·사회 통제변인을 투입한 이후에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급구조의 양극화가 심화되어가는 현 상황에서 한국 가구원들이 지닌 불평등 의식을 다음과 같은 절차로 규명하였다. 우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패널 7차년도 자료의 “1년 후 가구생활의 영역별 전망”에 잠재집단분석과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적용해 “청년-희망상류층”, “중년-하향중상층”, “장년-상향중상층” 및 “중노년-절망하류층”이라는 네 개 잠재집단을 추출하였다. 이어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끼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해 생활 전망의 격차나 유형에 대해 객관적-물질적 요소보다 주관적 의식 요소가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주관적 예측요인들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끼치는 주관적 의식 변인에는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희망 불평등”이라고 통칭할 수 있는 가구생활에 대한 전망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은 객관적 불평등이 아니라 그에 대한 주관적 해석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데, 그로부터 객관적 불평등의 내면화와 주관적 불평등의 표상화라는 교호작용의 산물인 가구생활에 관한 희망 격차가 한국사회의 계급적 골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진단이 가능하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s, pattern and factors of life prospect of Korean household member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and one-way ANOVA on “Outlook of 10 Areas of Household Life One Year Later” in the 7th 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ence and patterns of latent class in terms of life outlook. Next, multinominal logit analysis was followed to analyz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class membership.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ubjective predictive factors only in order to infer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inequality and subjective inequal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s and types of the outlook of household lif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econdly, regarding positive and negative levels of life outlook, residence place and subjective-conscious factor give more influence than objective-physical resources, and regarding types of life outlook, subjective factor,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and satisfaction with leisure culture gave strong influence. However, the subjective variables affecting a latent class were greatly influenced by objective,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u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urns out to play a significant interpretive role of objective social in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