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4권 제4호

컬렉티브 임팩트 내 지향성 변화와 역동: 지역사회 활동 범위를 중심으로
Changes and Dynamics in Directivity within Collective Impact: Focusing on the Scope of Community Activities
오영삼(국립부경대학교) ; 허원빈(국립부경대학교) ; 김은정(국립부경대학교)
Oh, Youngsam(Pukyong National University) ; Her, Wonbin(Pukyong National University) ; Kim, Eunjeong(Pukyong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4, pp.54-76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4.54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nges and dynamics of collective impact(CI). For the analysis, we utilized the scope of activities targeted by eight collective impact initiatives in Busan. The analysis employed the concepts of breadth and redundancy from niche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scope within CI continuously changed over time and with the activities undertaken. Initially, the scope targeted by CI was at the metropolitan level, but it narrowed as the activities progressed. The niche breadth within CI decreased for half of the initiatives over time, while it increased for the other half. Niche overlap tended to decrease more than it increased over time. This study overcomes the empirical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clearly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I. It also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I formed in Busan. The findings should serve as empirical data for future studies on changes in CI.

초록

본 연구는 컬렉티브 임팩트가 가지는 변화와 역동을 실증 분석하는 목적을 가진다. 분석을 위해 부산에서 발생한 8개 컬렉티브 임팩트가 지향한 활동 범위를 활용하였고, 분석은 적소이론에서 제공하는 폭과 중복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CI 내 지향 범위에 대한 인식은 시간과 활동에 따라 지속해서 변했다. 초기 CI가 지향하는 범위는 광역지자체 수준이었으나, 활동에 따라 지향하는 범위는 감소하였다. CI 내 적소 폭은 시간 흐름에 따라 절반은 감소했고, 절반은 증가하였다. 적소 중복은 시간에 따라 증가보다는 감소가 많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가졌던 실증성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CI가 가지는 특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동시에 부산에서 형성한 CI가 가지는 특성과 구조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CI에 대한 실증 분석과 변화에 관한 실증 자료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초록보기
Abstract

Many discussions have been held about urban regeneration programs aiming the redevelopment of declining urban areas in terms of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However, much less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gions that were not selected as target areas, although they still need investments in urban regen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implements a case study by taking a region that experiences difficulties in dwelling environments such as safety, social welfare,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finds that residents living in the studied area have suffered from an unsafe and deteriorated dwelling environment and noise pollution. Moreover, the interviewees reveal that this area does not provide any social welfare service to its residents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faces lacks of budget for vulnerable social classes and this area has higher rent prices than other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of residents living in the disadvantaged area.

초록

최근 쇠퇴하는 도심지역을 경제, 사회, 물리, 환경의 차원에서 활성화를 목표하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논의와 전략이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한 도시 문제로 인해 재생사업이 필요하지만 사업에 탈락하거나 선정 외 지역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들의 안전, 복지, 환경의 문제를 지니면서도 도시재생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지 않아, 주거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번화가에 위치하지만 주거상태가 열악한 해운대 우동의 지내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 및 문헌조사 분석 결과 사례 지역 내 주민들은 범죄로부터의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의 폐가로 인해 환경오염 및 소음공해에 시달리고 있었다. 또한, 지역의 높은 지대와 지자체의 부족한 건설예산으로 문화 및 복지시설이 존재하지 않아, 관련 서비스를 거의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으로부터 소외된 쇠퇴 지역 내 주민들의 삶의 질과 복지수준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내집단의 구성원들이 속해있는 다양한 집단들의 특성과 다문화 수용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1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29,5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집단 갈등이론이 제시하는 집단 간 갈등 원인(현실적 갈등, 상징적 갈등, 집단 간 불안, 부정적 고정관념)을 적용하여 내집단 구성원들을 고용형태, 연령, 그리고 외국인거주비율의 3가지 준거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의 경우, 상용직, 일용직, 그리고 무직집단에 속해있는 구성원들이 고용주집단에 속한 구성원에 비해 다문화집단에 높은 다문화 수용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의 경우, 노년층과 중장년층에 속한 구성원들은 청년층에 속한 구성원에 비해 낮은 다문화 수용태도를 보였다. 셋째, 외국인 거주비율이 고밀도인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들은 평균이하의 밀도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에 비하여 낮은 다문화 수용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문화와 관련된 문제가 다양한 갈등의 구조로 인해 혼재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시도한 통합적 갈등이라는 분석의 틀은 다양한 관점이 내재되어 있는 다문화관련 이슈와 갈등의 양상을 해석하는 틀로써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ertain features of intergroup dynamic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Seoul citizen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lected 29,509 Seoul citizens as the research sample from the seventh wave(2011) of Seoul Survey Study. Based on the integrated threat theory,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citizens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type of employment, age, and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the neighborhood. These categories are dependent upon the theory’s three postulations: Realistic threat; Symbolic threat; and Intergroup anxiety. From the research finding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people who are full time, part time, and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employers do. Second, compared to younger populations(18-39), older generations (aged 40-64)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people living in areas with a high density of foreigners living there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compared to people living in areas with a below average number living there. Regarding multi-cultural issues with various and complicated structures and interests, the analytic framework(i.e., integrated threats) applied in this research can be a proper way to interpret various causes and phases of multi-cultural problems with heterogeneous interes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