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4권 제3호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에 대한 환자의 선호: 이산선택실험
Patient Preferences for the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구본미(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 도영경(서울대학교)
Koo, Bon Mi(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Do, Young Kyung(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451-469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451
초록보기
Abstract

The growing social cost burden of chronic diseases in South Korea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s. However, patient preferences for these programs have remained largely unexplored. We conducted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DCE) to systematically evaluate patient preferences for the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atient interviews, we identified 5 attributes and 14 levels to develop a DC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7 choice sets. Our study population comprised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in their 40s and 50s. A conditional logit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and willingness to pay for each attribute.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sonalized in-person consultation, personalized remote consultation, monetary incentives, and out-of-pocket costs significantly influence patient preferences, while the length of consultation time does not. Patients with both hypertension and diabetes placed higher values on personalized in-person and remote services compared to the two groups with hypertension only or diabetes only.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monetary incentive was substantial, even greater than that for in-person and remote service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nform policies aimed at better designing the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초록

본 연구는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에 대한 환자의 선호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이산선택실험 연구이다. 선행연구 고찰과 환자 인터뷰를 기반으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의 주요 속성 5개와 수준 14개를 도출하고, 17개의 선택조합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40~50대 고혈압, 당뇨병 환자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건부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각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고 지불의사금액을 산출하였다. 추정된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속성은 대면 서비스 제공, 비대면 서비스 제공, 건강생활실천지원금, 본인부담금이었다. 전반적으로 대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이 비대면 서비스보다 더 높았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둘 다 있는 환자군은 각각 한 질환만 있는 환자군에 비해 대면과 비대면 서비스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였다. 건강생활실천지원금의 지불의사금액은 상당한 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체적으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의 설계에 중요한 고려 사항을 제공한다.

2

제45권 제3호

환자경험 평가 개선과 의료체계의 환자중심성 강화를 위한 과제: 환자 대상 질적 연구 결과
Tasks for Improving the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and Strengthening Patient-Centeredness in the Healthcare System: Results of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윤은실(전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 송영채(서울대학교) ; 안기종(한국환자단체연합회) ; 도영경(서울대학교)
Yoon, Eunsil(Formerl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Song, Yeongchae(Seoul National University) ; An, Gijong(Korea Alliance of Patient Organizations) ; Do, Young Kyung(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3, pp.218-240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3.218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selection pathway―a causal mechanism through which patient experience measurement and public reporting promote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care systems by influencing patients' choice of healthcare providers―and to identify key areas for improving the patient-centeredness in the healthcare system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patients, followed by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yielded twelve subthemes categorized under three main themes: i)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ii) comprehensive improvement for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survey systems, and iii) tasks for improving patient-centeredness in the healthcare system. Patients expressed strong support for the necessity and value of the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while also identifying areas of improvement to better activate the selection pathway. Furthermore, participants proposed long-term strategies for promoting a more patient-centered healthcare system, including comprehensive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and systemic changes in the healthcare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rectly involved patients during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ing the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and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how effectively the selection pathway operates and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초록

이 연구는 환자경험 평가와 의료체계의 환자중심성 향상을 연결하는 이론적 인과 기전 중 하나인 선택 경로의 현황과 개선 과제를 규명하고, 환자의 관점에서 의료체계의 환자중심성 향상을 위한 과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환자 대상 초점집단토의와 일대일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환자경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자경험 평가의 포괄적 개선방안', '보건의료체계의 환자중심성 향상을 위한 과제'의 세 가지 주제로 포괄되는 12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환자들은 환자경험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에 공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선택 경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다양한 개선 과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향후 의료체계의 환자중심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장기적인 과제로서 포괄적인 의료의 질 향상, 의학교육 개선, 전반적 의료체계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환자경험 평가 시행 초기 단계에서 직접 환자를 대상으로 선택 경로의 작동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