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e of social cognitive factors on these change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The analysis was based on data from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focusing on 3,962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life satisfac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The rate of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had lower initial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Higher levels of disability perception and acceptanc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life satisfaction, but the rate of increase was attenuated.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as linked to lower initial life satisfaction, whereas effort due to disabi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levels. Household income,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convenience of residential area, and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all contributed to higher initial life satisfaction. However,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was also found to moderate the rate of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Greater social isola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improvements in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삶 패널조사 자료의 성인장애인 3,96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일정하게 증가했다. 남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증가율은 여성장애인보다 높았다. 경증보다 중증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초기치가 낮았다. 장애에 대한 인지와 장애수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치가 높았으나, 삶의 만족도 증가율은 완화되었다. 감정표출 억제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치는 감소했으나, 장애로 인한 노력은 삶의 만족도 초기치를 증가시켰다. 가구소득, 가족의 정서적 지지, 거주지역 편리, 주변 사람의 정서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 초기치를 높였으나, 주변 사람의 정서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 증가율을 완화시켰다. 사회적 분리가 심할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치는 감소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및 환경 개선 등을 통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We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predicting anxiety in adolescents by sex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3,9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2021 Survey on the Mental Health of Teenager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data analysis, the CHAID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or) algorithm was employed as the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the highest anxiety among male adolescents consisted of those with low self-esteem and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In contrast, the group with the lowest anxiety among male adolescents had high self-esteem,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and strong community support. Among female adolescents, those with the highest anxiety exhibited low self-esteem and poor family relationships. Conversely, the group with the lowest anxiety among female adolescents showed high self-esteem, low stress levels,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effective and targeted action plans to alleviate symptoms in adolescents with high anxiety and prevent anxiety according to sex-specific factors.

초록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하여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불안 예측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21)의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청소년 3,9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 알고리즘인 CHAID(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or)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청소년의 불안이 가장 높은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낮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비일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 청소년의 불안이 가장 낮은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가족관계가 좋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관적이고 지역사회 지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불안이 가장 높은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낮고 가족관계가 좋지 않은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 청소년의 불안이 가장 낮은 집단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스트레스가 적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관적이고 교사와의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성별에 따라 불안이 높은 청소년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청소년의 불안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효율적인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