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fear of cancer recurrence (FCR), canc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and to explore the associated risk factors for FC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3 adult cancer survivors aged 19 or over who had completed active cancer treatment and were on follow-up c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22 to September 2022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es. Some of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CR was 18.96 out of 36 and more than a quarter of study participants (26.9%) reported moderate symptoms of depression. Secon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nal model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23%, and it showed that diagnosis of multiple cancers (β=0.21, p<0.05) and depressive symptoms (β=0.25, p<0.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CR. In other words, being diagnosed with more than two cancers or having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fear of cancer recurrence.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for reducing FCR, canc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among cancer survivors with complex issu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암 관련 건강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고 암 재발 두려움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암 치료를 마치고 사후관리 중인 만 19세 이상 성인 암 생존자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t-test, ANOVA,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 재발 두려움 평균은 36점 중 18.96점이었고, 전체 연구 참여자의 4분의 1 이상(26.9%)이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보고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의 최종모형의 설명력은 23%였고, 중복 암 진단(β=0.21, p<0.05)과 우울 증상(β=0.25, p<0.05)이 암 재발 두려움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다시 말하면, 2가지 이상의 암 진단이나 우울 증상이 높은 암 재발 두려움 수준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지닌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과 암 관련 건강 특성 그리고 심리사회적 어려움 감소를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글은 30~40대 중장년층에게 홀로 살아간다는 것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한다. 대다수가 비혼 상태인 이 집단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있다. 먼저 결혼이 삶의 만족도에 주는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주관적 웰빙 및 건강상태 그리고 사회참여 수준은 낮을 것이란 입장이다. 반대로 최근에 나온 국내외 대중매체나 학술연구는 이들의 자존감과 삶에 대한 만족감은 높으며 활발한 사회참여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의견은 결혼이 예전만큼 효용을 가져다주지 않는 실정에서 일견 설득력을 가지지만, 표본의 대표성 문제와 더불어 다인 가구와의 비교가 결여된 방법론적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실상을 밝히기 위해 가구 유형에 따른 사회참여도의 차이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2010년 인구총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30~49세 1인 가구원 13,548명을 포함하는 151,494명을 대상으로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혼지위, 학력, 경제활동 등의 변수들을 모두 통제했음에도 1인 가구의 1년간 참여했던 단체수는 다인 가구에 비해 대략 8%정도 낮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동일한 사회·인구학적 속성을 가진 집단들을 고려할 때도 1인 가구원의 사회활동 빈도는 다인 가구와 비교할 경우 예외 없이 낮았다. 이는 나홀로 가구라는 생태환경 그 자체가 사회참여도와는 부정적 상관관계를 가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1인 가구 안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을 얻는 일을 한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유배우자인 경우 사회참여도가 높았다.;This paper explores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alone’ at mid-life in Korea. There can be two opposing arguments on this population comprising predominantly single peopl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i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engagement are relatively lower, considering a positive effect of marriage on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By contrast, many recent studies have asserted that they are not only high i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ut they also actively engage in social activities. Given that the utility of marriage has gradually declined, this perspective is seemingly valid. However, it entails several methodological shortcomings especially failing to compare with those who ‘living together.’ Hence this study, which tests the validity of these two hypotheses, aims to identify an empirical reality of living alone through analyzing the most recent 2010 Korean census individual-level microdata. It employs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sample of 151,494 individuals aged 30 to 49 including 13,548 cases who are living alone. It finds that the average number of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that participated at least once during the last year for people living alone is around 8 percent lower than for people living together,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trolling for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activity status. This efficacy of being one-person household is very robust as it appears all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for instance, divorced people who live together tend to engage more social activities than those who live alone. Thus, one-person household per se ha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ocial engagement level. Meanwhile, this level also differs among people who live alone: those who have a spouse, are more educated, and spend longer time for income-related work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n elderly suicide rates at 250 local governments,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ocial structural factors. The social capitals were defined as four attributes including trust, reciprocity, network, and participation which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measured at local government level.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care access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capital had a stronger effect on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than on the suicide rate of the general population.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suicide rate of both male and female older adults. While network factors such as number of workers in civic groups and welfare facilities were associated with low suicide rate among male older adults, divorce rate contributed to lower suicide rate for female older adults. In addition, the government’s ability to support social welfare can reduce the suicide rate, and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poor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icide rate of elderly women,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for elderly suicide. Also,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strengthen the social capitals as well as welfare policies.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은 OECD 국가의 평균 노인자살률 대비 약 2.9배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성별 격차도 크다. 이 연구는 노인자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구조적 요인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사회자본과 노인자살률의 관계를 250개 시군구 단위에서 분석하였다. 사회자본의 네 가지 속성을 신뢰, 호혜성, 네트워크, 참여로 구분하여 각 속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구성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의료이용 접근성 요인을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자표를 확보하였으며, 사회자본과 노인자살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자본은 전체 연령 자살률에 비해 노인자살률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참여 속성을 나타내는 투표율은 남성과 여성 노인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자살률과 (-)의 관계를 보였다. 한편, 남성 노인에서는 네트워크 변수인 시민단체 종사자 수, 문화여가복지시설 수가 자살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여성 노인의 경우는 이혼율이 자살률과 (-)의 관계를 나타내 성별로 중요한 사회자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부의 사회복지 지원역량은 자살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안전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층에 대한 공식적인 정부의 지원과 함께 사회적 관계를 지지할 수 있는 사회자본의 확충이 노인자살 방지에 중요하고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marketing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furth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ese purposes, we performed the survey with social welfare workers employed in 3 kin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survey findings, we present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kinds of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내부마케팅, 조직몰입,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내부마케팅과 조직성과 간에 작용하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 및 경북 지역의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 조직성과, 조직몰입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조직의 내부마케팅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직몰입은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내부마케팅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효과적인 사회복지조직 관리를 위한 다양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pite the growing social demand for fairness, social inequality has been widening and resulting in youth’s relative deprivation and depression. Previous studies have not addressed the impact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on mental health, especially depression among youth. In addition, few studies have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soci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depression. Thu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on depression mediated by social capital.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3,018 youth aged 19 – 34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Youths sponsor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Bootstrapping method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to test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ncome inequality,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mpact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levels of trust. Social relationship did not have a indirect effect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depression, but 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increase levels of trust and to decrease depression through addressing perceived income inequality in addition to income and employment support policy for youth.
사회적 공정성에 대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불평등은 더욱 확산되어 가고 있고 이는 청년의 상대적 박탈감과 우울을 유발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청년이 인식하는 소득불평등이 정신건강, 특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신뢰와 사회적 관계와 같은 사회자본이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이 인식하는 소득불평등이 사회자본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에 응답한 19-34세 청년 3,018명이다.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 사회자본, 그리고 우울 사이의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신뢰수준을 매개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는 소득불평등 인식과 우울사이에서 매개효과는 없었지만 우울에는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을 위한 소득 및 취업 지원정책과 더불어 청년이 인식하는 소득불평등의 개선을 통해서 신뢰수준을 높이고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Based on a sample of 30 OECD countries, we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gender inequality as measured by SIGI (Social Institution and Gender Index), a measure of gender inequality in social institutions, and female-to-male smoking prevalence ratio (GSR) as measured by age-adjusted current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We find that two dimensions of the 2019 SIGI such as restricted physical integrity and restricted civil liberty ar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GSR in 2020 wherea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GSR in 2020 and the other two dimensions of the 2019 SIGI, discrimination in the family and restricted access to productive and financial resour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bserved associations remain robust when sex ratios in development outcomes in economic, educational, and political spheres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for, and when alternative measures of smoking prevalence are u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within the high-income countries, there exist substantial variations in gender inequality in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GSR, and some advanced countries currently having relatively high gender inequality in social institutions may observe higher GSR in the coming days as gender equality advances further.
이 연구는 30개 OECD 회원국에 대한 최근 횡단면 자료를 활용하여 성 불평등도와 흡연율 성비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사회 제도적 성 불평등의 척도인 SIGI(Social Institution and Gender Index)의 네 영역 가운데 신체적 자결권과 시민적 자유 영역의 제도적 성 불평등도가 높을수록 연령 조정된 궐련 흡연율로 측정한 남성 대비 여성 흡연율(GS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내 차별과 경제적 자원 영역의 사회 제도적 성 불평등도는 GSR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적 자결권 또는 시민적 자유의 성 불평등도와 GSR 간 관계는 Gender Gap Index로 측정한 경제, 교육, 정치 영역에서의 성 불평등한 결과를 통제한 모형 그리고 흡연의 대안적인 정의를 활용한 모형에서도 강건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고소득 국가 집단 내에서도 사회 제도적 성 불평등과 GSR에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며, 성 평등도가 낮은 국가에서는 향후 여권이 신장됨에 따라 남녀 흡연율이 더 수렴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on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trust. Using data from the 2022 "Survey on the Lives of Young Adult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a sample of 14,931 young adults was analyzed. Several key findings emerged.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s with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Second, higher levels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a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ocial trust. Third, soci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conflict and depression. This indicates that as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conflict rises, social trust decreases, which in turn exacerbates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implement policies to alleviate social conflict and enhance social trust in order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young adults. Specifically, creating spaces for communi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and ensuring employment stability for young adults are cruci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s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on young adults’ mental health within the uniqu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offers policy recommendations to promote their well-being and social integration.
본 연구는 한국 청년들의 사회 갈등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 신뢰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4,931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년의 사회 갈등 인식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 갈등 인식이 증가할수록 사회 신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사회 신뢰는 사회 갈등 인식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정신건강 보호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소통의 장 조성, 사회단체 활동 기회 확대, 청년 고용 안정성 강화에 대해 적극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청년의 사회 갈등 인식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청년층의 정신건강 보호와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로서, 문화적응을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의 두 차원으로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내적변인, 가족변인 및 사회적 변인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로, 복지관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의 사회적 서비스기관을 통해 표집되었다. 총 556명의 여성결혼이민자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한국거주기간, 거주지역, 한국국적유무, 자아효능감, 가족관계, 사회적지지 및 지각된 차별감이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적응 수준은 연령이 어릴수록, 거주 기간이 길수록, 도시에 거주할수록, 한국국적이 있는 경우, 그리고 자아효능감이 높고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와 자아효능감이 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국문화유지 수준은 한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주변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그리고 주변사람들로부터 받는 차별감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변인의 문화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한국문화적응이 36.2%, 모국문화유지가 16.2%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대한 지원에서 자아효능감 및 가족관계 증진의 중요성, 다양한 근원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및 사회적 차원에서의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level, which is measured by a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a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556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Seoul, Keonggi, and Chungcheong area recruited from various community service agencies to complete a seri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ge, the length of stay in Korea, residence area, Korean nationality,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ffected the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 Among these variable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s were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Als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ocial discrimination influenced on the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atmosphere respec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mother culture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among the determinants in Eisenberg’s pro-social reasoning development; self- assertiveness, making-decision, and empathy;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satisfaction, community's harmful environment, and mass media; and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policies on the role of peer bullying defenders. In addition, it intend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the pro-sociality in the relationship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peer bullying defenders.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19 students in primary schools in Chungcheong-Bukdo with the surveyed dat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empathy, community satisfaction, and positive media would affect children’s defender role. Second, it show the positive influence of children’ self-assertiveness, decision-making, empathy and community satisfaction and mass media, and the awareness about the school violence policy on pro-sociality. Finally, the child’s pro-socialit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empathy and the role of defender, and complete mediating role on the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mass media.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children’s pro-socialit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Eisenberg의 친사회적 추론 발달의 결정요인 중 개인요인인 자기주장성, 의사결정능력, 공감능력과 환경요인인 지역사회환경만족도, 지역사회유해환경, 대중매체, 학교폭력정책이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아동의 친사회성이 개인 및 환경요인과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위치한 초등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의 공감능력과 지역사회환경만족도, 대중매체의 긍정적 영향이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주장성, 의사결정능력, 공감능력과 지역사회환경만족도, 대중매체의 긍정적 영향, 학교폭력정책인지가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친사회성은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며, 지역사회환경만족도 및 대중매체의 긍정적 영향과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 간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또래괴롭힘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Post-traumatic stress in disaster victims negatively affects their social adaptation, and adequate psychological support can mitigate this effect. However, studies specifically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re limi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disaster victim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in this relationship. Perception of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5-point scale assessing the sufficiency of support receiv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2,300 disaster victims aged 19 years or older, obtained from the 4th Disaster Victims’ Life Change Tracking Survey (20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ocial adaptation, and that the perception of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moderated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sufficient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is crucial for promoting social adaptation, especially for individual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support and enhancing social adaptation for disaster victims.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충분한 재난심리회복지원 제공이 이를 완화할 수 있으나, 이들 간의 구체적 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4차 재난 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2019)’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재난 피해자 2,300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은 제공받은 재난심리회복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5점 척도 응답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아졌으며,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이 이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충분한 재난심리회복지원이 제공되는 것이 이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재난심리회복지원 정책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