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job insecurity on married women. As of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4),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women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were continuously married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until the 17th panel (2021). In addition, the study categorized subjects into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to analyze mental health by age group. Unemployment and unstable employment of elderly married women (56 to 65 years old) negatively affected mental health, but the employment status of younger and middle- aged married women (25 to 55 years ol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Even if both groups were employed at the present time,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unemployment had a higher risk of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out. Also, in the case of unemployment, the group with job search experience reported a lower mental health status than the group without. This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employment when understanding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elderly married wome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the healthy life and aging of married women.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와 고용불안 경험이 우울, 자아존중감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0차(2014년) 기준 만 19세 이상이고, 지속적으로 유배우자(기혼) 상태이며, 17차(2021년)까지 조사에 참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연령이 정신건강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해 청년층(만 26세 이상~만 35세 이하), 중년층(만 36세 이상~만 45세 이하, 만 46세 이상~만 55세 이하), 장년층(만 56세 이상~만 65세 이하)으로 연구 대상을 구분하여 연령군별로 정신건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장년층 기혼여성의 실업과 불안정한 취업은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청중년층 기혼여성의 취업 상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년층 여성은 현재 취업 상태라 하더라도 실업을 경험한 집단, 미취업 상태인 집단이 실업을 경험하지 않은 취업자 집단보다 부정적인 우울 수준을 보였다.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집단이기는 하나 여전히 장년층 기혼여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되었는데, 구직 경험이 없는 미취업자가 실업 경험이 없는 취업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년층 기혼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접근 시 취업과 관련한 부정적 경험의 고려 필요성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혼여성의 건강한 삶과 노화를 위한 정책 개발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2,000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Events and Trauma Experience Survey" of Chae et al. (2021)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rauma experiences on depression in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s and depression. Trauma in childhood, an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from two aspects: whether they experienced it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experienced it (unexperienced group, 1 to 3 experiences group, 4 or more experiences group). In addition to trauma and resilienc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which can affect depression, were controlled for in th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group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had a higher risk of depression in adulthood compared to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trauma. It was also found that the accumulation of trauma experiences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In addition,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past trauma experiences on depression in adulthood. However, when trauma experience exceeded a certain level,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became insignificant. Therefore, while efforts to increase resilience are important for managing depression in adulthoo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pproaches that prevent and protect children from exposure to trauma experiences.
본 연구는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트라우마 경험과 우울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채수미 외(2021)의 ‘생활사건 및 트라우마 경험 조사’에 참여한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아동기 트라우마는 경험 여부(미경험, 경험)와 경험 수준(미경험, 1~3개 경험, 4개 이상 경험)을 구분하였고, 트라우마와 회복탄력성 외에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건강 수준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경험한 집단이 트라우마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성인기 우울 위험이 더 높았으며, 트라우마 경험이 누적적일수록 우울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트라우마 경험이 특정 수준 이상이 되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인기 우울을 관리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트라우마 경험 노출로부터 아동을 차단하고 보호하는 접근을 우선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role of community members in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Jeongeup City, Jeollabuk-do, one of the depopulated cities in South Korea. Sixteen community volunteers were selected as "Village Care Managers" and assigned to various towns and villages. Their activities included identifying health and welfare needs of older adults, coordinating AI-based care calls and follow-up actions, organiz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linking community resources. Three joint case conferences with local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were held during the intervention,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ree cases where resource linkage was attemp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sident-led case management effectively addressed care needs by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and communic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while also improving proximity and continuity of care. These outcomes were comparabl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expert-led case management. Furthermore, trust restoration among neighbors and the initiation of voluntary mutual care were notable achievements. However, challenges included limited access to health-related services, a lack of information on welfare resources, and the passive involvement of local resources in addressing complex needs, which hindere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community members to lead integrated ca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ongoing support and research.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이 노인 통합돌봄 사례관리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 실천연구이다. 초고령화가 진행된 대표적 인구감소지역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16명의 주민자원자를 선발해 “마을돌봄매니저”로 명명하고 각 읍면에 배치했다. 이들은 보건·복지 수요 확인, AI 안부전화 연결과 사후조치, 경로당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개별 돌봄 요구 지원, 자원연계 등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 기간 중 시청, 보건소, 복지관 등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과 3회의 합동 사례회의를 진행했고, 자원연계를 시도한 노인 중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주민주도의 사례관리는 주민 간 사회적 관계망 강화, 의사소통 증진, 근접성과 지속성을 높임으로써 효과적으로 노인의 돌봄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가 중심 사례관리와 양적·질적으로 유사한 성과를 보였으며, 주민 간 신뢰 회복과 자발적 상호돌봄이 촉진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건강문제 접근의 어려움과 복지자원 정보 부족으로 복합적 요구를 가진 사례는 자원연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참여했던 지역사회 자원의 소극적 대응으로 실효성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이 통합돌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 장치와 실행 방안에 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South Korea, which had previously discussed its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has now become one. Since the mid-2000s,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consistently accounted for around 10% of all marriages annually, and female marriage migrants have become a significant demographic group within Korean society. However, academic and policy interest in these women has not adequately reflected this societal shift. This study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academic research on the health of female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starting from 2004.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e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research on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aiming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levant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policies for women. The analysis revealed a concentration of published studies during the early phas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Basic Plan (1st and 2nd phases). There was an imbalance between studies assessing basic health status and those exploring health determinants. Moreover, there was a lack of intervention studies and nationwide surveys that could serve as evidence for health policy. To identify the wide range of health issues facing female marriage migrants and to accumulate reliable research finding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and the quantity of related studies but also to enhance their quality.
다문화사회 이행을 논했던 한국은 이제 다문화사회로 완전하게 진입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 증가한 국제결혼의 규모는 매해 전체 결혼의 10%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결혼이주여성은 우리 사회의 주요 인구 집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학술·정책적 관심은 이 같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지 못 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부터 지난 2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결혼이주여성 건강 관련 학술연구에 대해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주제 및 방법에 대한 심층분석을 토대로 국내 결혼이주여성 건강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관련 연구 촉진과 근거 기반 여성정책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초기(1·2차)에 연구가 집중된 경향을 보였고, 건강 현황을 파악하는 연구보다 건강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건강정책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중재연구, 전국 단위 조사 연구도 적은 수준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을 둘러싼 다양한 건강 쟁점을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연구 결과가 축적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의 양적 확대와 함께 건강 결과와 원인을 다층적으로 파악하는 질적 제고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