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coupled with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and social vulnerabilities, has emerged as a critical social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and examine whether housing instability moderates this relationship. Using data from the “2022 Survey on Youth Living,” the analysis focused on 3,710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mporary and daily worker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Second, young adults experiencing housing instability repor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eir counterparts without such experiences. Third,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among young adults facing housing insecur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s that ensure employment stability and address housing welfare from a mental health perspectiv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우리나라에서 1인 가구 청년층의 급격한 증가와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 사회적 취약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주거 불안정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체 응답자 중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 3,710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우울 수준이 상용직 근로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 불안정을 경험한 청년은 그렇지 않은 청년에 비해 우울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주거 불안정을 경험한 청년의 경우,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위해 고용 안정성 확보와 함께 주거복지 관점에서의 정책적 지원 및 개입 필요성을 시사한다.
Post-traumatic stress in disaster victims negatively affects their social adaptation, and adequate psychological support can mitigate this effect. However, studies specifically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re limi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disaster victim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in this relationship. Perception of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5-point scale assessing the sufficiency of support receiv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2,300 disaster victims aged 19 years or older, obtained from the 4th Disaster Victims’ Life Change Tracking Survey (20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ocial adaptation, and that the perception of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moderated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sufficient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is crucial for promoting social adaptation, especially for individual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support and enhancing social adaptation for disaster victims.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충분한 재난심리회복지원 제공이 이를 완화할 수 있으나, 이들 간의 구체적 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4차 재난 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2019)’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재난 피해자 2,300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은 제공받은 재난심리회복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5점 척도 응답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이 낮아졌으며, 재난심리회복지원에 대한 인식이 이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충분한 재난심리회복지원이 제공되는 것이 이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재난심리회복지원 정책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child planning. We hypothesized young adults' subjective class perception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f fairness and trust, would influence their child planning. We also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irness and trust perceptions by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young adults were less likely to have planned for childre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y also reported lower levels of perceived social fairness and trust.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ubjective class perceptions. For both men and women, the absence of child planning was associated with lower perceptions of subjective class, social fairness, and trust. A key finding wa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fairness and trust perceptions on the effect of subjective class perceptions on child planning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young adults. Also, the direct effect of fairness and trust on child planning remained significant only for female young adults, confirming that perceptions of fairness and trust in society are important factors in child planning,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 adults. This study confirms that subjective perceptions of class, fairness, and trust are key factors in young adults' child planning, suggesting the need for gender-sensitive policies and awareness raising efforts.
본 연구는 청년의 성별에 따른 자녀계획의 차이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주관적 계층 인식과 공정성, 신뢰도 인식이 자녀계획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 신뢰도 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청년이 남성 청년보다 자녀계획을 가진 비율이 낮았고, 사회 공정성과 신뢰도 인식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모두 자녀계획이 없는 경우 주관적 계층 인식과 사회 공정성, 신뢰도 인식이 더 낮았다. 주목할 만한 점은 주관적 계층 인식이 자녀계획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 신뢰도 인식의 조절효과가 여성 청년에게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여성 청년의 자녀계획에서 사회에 대한 공정성과 신뢰도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 공정성, 신뢰도 인식이 청년의 자녀계획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고, 젠더 친화적 정책 마련과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