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39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인구의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가족 내 세대간부양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독거노인 증가와 노인자살 등 제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적 분석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자살생각(suicidal ideation) 유무이며, 독립변수는 인구학적요인(연령, 성, 교육, 거주지역, 배우자유무, 동거 가족 수), 경제적 요인(소득, 직업), 건강요인(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주관적 건강, 기능적 능력), 건강 행위적 요인(알코올, 흡연, 운동), 의료 이용요인(외래방문, 병원입원)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1기[1998년], 제2기[2001년], 제3기[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인구 중 지난 1년 간 자살생각을 경험한 비율은 2005년 30.5%, 2001년 26.2%, 1998년 33.6%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배우자가 없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정책당국자는 무엇보다도 노인들의 육체적 건강증진과 우울증 예방 및 스트레스 감소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을 제안한다.;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The subjects were national random samples who were 65 years or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1998, 2001, and 2005. Three Logit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healthcare utilizatio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had suicidal ideation within previous 1 year was 30.5% in 2005, and 26.2% in 2001, and 33.6% in 1998. The elderly who assessed themselves as healthier were less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and the elderly with a spouse were less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the elderly without a spouse. Those who suffered from hypochondria or stress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or policy makers should turn their attention to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preventing hypochondria or stress of the elderly in oder to decrease their suicide rate.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경제곤란과 문화도전으로 다문화부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우울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자가 인지하는 내외적 자원들, 즉 희망, 부부친밀성,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 이용경험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전국단위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을 이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부부표본 415쌍(n=830)의 자료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곤란과 문화도전 스트레스는 결혼이민자 부인의 우울과 한국인 남편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에 기여하였다. 자원변인들 중 심리자원인 희망의 효과는 양면성을 보였다. 한국인 남편들의 높은 희망은 우울을 낮추었으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과도 정적으로 연관되었다. 부인들 사이에서 희망은 우울과 무관했고 평균적으로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을 낮추었으며 경제곤란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함이 시사되었다. 관계자원인 부부친밀성은 남편과 부인의 우울과 남편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을 낮추는 긍정적인 주효과만 보였다. 사회자원인 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의 경우, 이용서비스 수는 예상과 달리 부부 각자의 우울에 기여했고, 남편의 서비스 이용은 공격적인 갈등반응행동과 정적으로 연관되었다. 부인집단에서 경제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서비스 이용기간에 의해 조절되어 이용 기간이 길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높은 문화도전으로 인한 남편의 우울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의 수준은 서비스 이용자들이 비이용자들보다 낮아 지원서비스와 같은 사회자원의 기여가 일부 확인되었다.;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economic hardship and cultural challenge that multicultural couples experience as stress on their mental health and conflict response behavior (CRB), and explored moderating effects on such stress factors of hope, couple intimacy, and utiliza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Data were drawn from a questionnaire study of 415 female marriage immigrant couples (n=830).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conomic hardship and cultural challenge contributed to depression among immigrant wives and to an aggressive CRB among Korean husbands, after controlling for age, health, and a length of marriage. For husbands, hop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was associated with both less depression and a more aggressive CRB. Among wives, it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on average, contributed to a less aggressive CRB. Couple intimacy as a relational resource showed overall positive direct effects among the couples. In contrast, the positive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depression was moderated by the duration of service utilization among wives. The longer the duration wa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became. However, levels of both depression and an aggressive CRB among husbands due to cultural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the users of support service, partially confirming the contribution of a social resource lik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한국은 전 세계에 유례없는 건강보험제도의 성공과 선진 의료기술을 갖췄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나쁘다고 생각하며, 건강보험제도를 신뢰하지 못해 추가 비용을 지불해 민간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영역에서 나타나는 국민의 불만족과 불안, 제도의 실효성 부족 현상을 총체적으로 건강 불안정성(precariousness)으로 일컫고 그 원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총 8그룹의 참여자들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참여자들의 건강불안정성 인식은 첫째, 자신과 가족의 미래 건강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불확실성에 기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때 필요한 건강정보, 경제적 혹은 시간적 자원, 그리고 통제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했으며, 국민건강보험제도나 신의료기술의 발달이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한 충분한 보호와 보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여 본인의 건강관련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경제활동 손실까지 보장하는 질병수당의 지급 등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보편적 건강보장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Health is one of the main areas in precarious life. Focus Group Interview (FGI)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precariousness in the health. FGI show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factors that cause precariousness in health. First, health is unpredictable and uncertain due to unclear external influences such as heredity, aging, environment which cause precariousness. Second, the perception of disempowerment dealing with health cause precariousness in health. Participants said they cannot control their health because of insufficient reliable health information and working conditions. Also, they said even if they try to effort for health, anybody can get sick. Finally, despit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ystem, people felt their health was precarious due to lack of health security such as several new services remain outside the coverage. In addition, because of economic hardship due to illness and loss of employment, health has precariousness in South Korea. This is fictional stability of health care system in South Korea. We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liable health information to improve empowerment related to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general people in health. An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NHI system which include not only treatment but also loss of income can be considered as a policy to help lower the precariousness in Korean health.

144

제40권 제4호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in Korea: Growth of Contradictory Coexistence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경험
최권호(경북대학교) ; 남석인(연세대학교)
Choi, Kwonho(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Nam, Seok I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0, No.4, pp.332-359 https://dx.doi.org/10.15709/hswr.2020.40.4.332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posttraumatic growth (PT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13 mothers of children under age 18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and whose treatment was complet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major finding was that PTG constituted finding meaning and reconstructing the worldview by means of rumination between contradictory domains: withdrawal and advancing. Withdrawal domains include intrusion by distressing thoughts and feeling isolated, and advancing domains refer to discovering gratitude in life, family togetherness, increased empathy, and spiritual chan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TG may be summarized by Lao-tzu’s aphorism: “A person who is advancing in Tao may appear to withdraw”.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PTG, which may b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contradictions, psychosoci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or all family members of children with cancer.

초록

삶을 뒤흔드는 사건인 소아암 진단과 치료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어머니에게도 심각한 외상 사건이다. 본 연구는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이 어떻게 경험되는 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Glaser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은 자녀의 소아암 치료가 종료된 뒤 트로피처럼 부산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밝음과 어두움 사이에서 끊임없이 의미를 발견하고 세계관을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이며, 이는 노자의 도덕경에서 말하는 “명도약매 진도약퇴(明道若昧 進道若退)”와 같이 대비적 속성의 공존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긍정적 요소(明)로는 ① 감사의 발견, ② 끈끈해진 가족, ③ 공감의 확장, ④ 영적 변화가 있었으며, 부정적 요소(昧)로는 ① 끊임없는 고통, ② 고립의 경험 등이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소아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One of the phenomena to be noticed in Korean society is that individual demographic behavior is gradually spreading in an unequal way. The transition and timing of the life-course events such as dating, marriage and childbirth is determined by family background, leading to inequality in demographic behavi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emographic behavior pattern of marriage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resources of the family, using data from the 1st to 19th year of the KLIP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marriage rat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economic resources such as household income and financial assets of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riage of un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family economic power is positive for the marriage in the marriageable age, and is greater in men than women. These results show that marriage in Korea society is becoming an inequality phenomenon determined b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family.

초록

최근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러 현상 중 주목해야 할 점은 개인의 인구학적 행위가 점차 불평등한 방식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연애와 결혼, 그리고 출산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생애과정 이행 및 속도가 귀속 자원에 따라 결정되고 있으며, 이는 인구학적 행위의 불평등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자원에 따라 결혼이라는 인구학적 행위가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 한국노동패널 1차년도부터 19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 미혼남녀의 결혼 가능성은 부모의 가구소득 및 금융자산과 같은 경제 자원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고,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경제력 효과는 결혼 적령기에 속한 미혼남녀의 결혼 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보다 남성에서 그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 사회 결혼 현상이 불평등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46

제41권 제2호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
Stakeholders’ Experiences Related to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After the Revision of Mental Health Welfare Act
신소연(서울대학교) ; 조윤민(건강보험연구원) ; 윤난희(원광대학교) ; 황서은(보라매병원) ; 황종남(원광대학교) ; 최정원(연세대학교) ; 김잔디(서울대학교) ; 허종호(국회미래연구원) ; 이선구(연세대학교)
Shin, Soyoun(Seoul National University) ; Cho, Yoon-Min(Health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 Yoon, Nan-He(Wonkwang University) ; Hwang, Seo Eun(SMG-SNU Boramae Medical Center) ; Hwang, Jongnam(Wonkwang University) ; Choi, Jung Won(Yonsei University) ; Kim, Jandi(Seoul National University) ; Heo, Jongho(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 Lee, Sun Goo(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2, pp.259-277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2.259
초록보기
Abstract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ct” into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led to the tightening of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ittee for Review as to Legitimacy of Admission” (hereinafter “Admission Review Committe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achieved its goal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experiences. The evaluation is based on interviews with a total of 27 subcommittee members from all the fiv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which have an Admission Review Committee in place. Those interviewed were psychiatrists, lawy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nvestigat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16 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ur study shows that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promoted human rights by functioning as a minimum safeguard to prevent unjus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forced transfer to psychiatric hospitals. However, insufficient procedural assistance has limi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committee heavily relied on paper review rather than the face-to-face investigation with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For a better supportive committee for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we suggest that the committee adopt the face-to-face review process,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and a governance system closely connecting medical facilities with local communities.

초록

2016년, 구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이하 입적심) 제도가 신설되고 비자의입원 절차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입적심의 목표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전국 5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적심과 관련된 총 27명의 전문의, 법조인,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당사자, 조사원, 정신질환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입적심 제도는 부당한 비자의입원 및 강압 이송행위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인권을 향상시켰지만, 대면조사보다 서류심사가 주를 이루고 의사결정지원이 미흡하여 자기결정권이 제한된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추후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면조사와 절차보조사업을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서비스를 연결하는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somatic symptoms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 total of 1,139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7th wav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KCYPS 201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moreover,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somatic symptoms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parenting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as significant.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and family-based intervention in reducing the effect of parental intrusiveness which increases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health check up in university and related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Last, this study concludes with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 자녀의 우울을 매개로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 중 1패널 의 7차년도 데이터에서 대학생 1,139명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 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변수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은 대학생 자녀의 신체화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우울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자녀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대한 부모 과잉간섭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하여 부모교육 및 가족체계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또, 대학 차원에서의 건강검진과 교내 우울 및 신체화 증상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개입 전략들을 논의하 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153 woman-related studies published in the years 1981–2020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The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based on keywords provided by authors: studies on pregnancy-childbirth and health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ose on employment-income, marriage-family, and miscellaneous issues including social policies have reflected social changes. Topics classified by ecological system showed that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micro/meso-level research; thus, macro-level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In comparative studies, there was a shift in focus from woman’s welfare to the gender perspective around the 2000’s. Most studies used secondary data produced by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 large majority of studies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ularly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using primary data has increased since 2011, the skewness toward quantitative researches has not changed.

초록

본 연구는 『보건사회연구』가 창간된 1981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여성 관련 연구 15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했다. 논문 저자가 제시한 연구 주제어를 토대로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보건의료적 차원의 임신・출산, 건강 관련 연구는 고르게 지속 된 반면, 사회과학적 차원의 고용・소득, 결혼・가족 및 사회정책 등을 포함한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다양한 주제어가 등장했다. 주제어를 생태체계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미시・중간체계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거시체계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었다. 연구 대 상, 정책, 성별 비교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로 여성복지의 관점에서 젠더 관점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2011년 이후 1차 자료를 사용한 질적연구 비중이 다소 증가하고 있으 나, 정부와 국제기구가 생산한 2차 자료를 사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으며 계량적 연구 방법 특히 회귀분석법에 편중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149

제43권 제1호

세월호 재난 지역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with Post-Disaster Community Recovery Programs Following the Sewol Ferry Disaster
홍혜미(한국사회복지윤리와 실천연구소) ; 한소정(안산환경재단)
Hong, Hyemi(Korea Institute of Social Work Ethics and Practices) ; Han, Sojeong(Ansan Evergreen Foundation) 보건사회연구 , Vol.43, No.1, pp.101-117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1.101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sidents’ experiences with community recovery programs in An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special disaster area following the Sewol ferry disaster.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ere employ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12 participants as part of this general qualitative study. The findings of our analysis were categorized into: the local context after the disast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nature of the healing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capacity building based on relationship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reveal that recovery from disasters was based on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cluding the dead and their neighbor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disaster areas to consider for local community recover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 이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던 안산시 주민의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 질적연구로, 개별심층면접과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참여자 12명의 경험을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참여자들이 인식한 재난 이후 지역의 상황적 맥락과 프로그램 참여 동기, 자신이 경험한 치유의 성격, 관계성 인식을 기반으로 한 역량 강화, 타인에 대한 이해와 관계 회복으로 범주화되었다. 참여자들의 이야기는 재난으로부터의 회복이 희생자와 그 가족, 이웃을 포함한 타자에 대한 이해 및 관계 맺음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또한 재난으로 인해 공동체 내에서 심리적・관계적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회복하는 과정과 기제가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지역 공동체 회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지향점들을 제시하였다.

150

제43권 제4호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Psychosocial Challenges Among Men Who Undergo Infertility Treatment
문은미(성균관대학교) ; 김민아(성균관대학교)
Moon, Eun Mi(Sungkyunkwan University) ; Kim, Min Ah(Sungkyunkwa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3, No.4, pp.138-157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4.138
초록보기
Abstract

Despit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infertile couples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there has been a dearth of attention to the psychosocial challenges encountered by men experiencing infertilit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sychosocial challenges of men diagnosed with male-factor infertility who underwent fertility treatment. Through purposive sampling, eight men who had undergone infertility procedures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case analysis revealed five overarching themes (complex emotions experienced following an infertility diagnosis, heightened stress in family dynamics, difficulties in spousal relationships during infertility treatment, stress and burden associated with disclosing infertility treatment in social relationships, and absence of social support systems during infertility treatment) and 16 subthemes related to challenges faced by infertile men.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personal, relational, and societal challenges experienced by men during infertility diagnosis and treatment.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interventions at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s to address the psychosocial challenges encountered by infertile men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s.

초록

난임으로 인해 난임 시술을 받는 부부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난임 남성이 겪는 독특한 어려움에 대한 논의는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남성 요인으로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의도적 표집을 통해 난임 시술을 경험한 남성 8명을 모집하였고,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5개의 대주제(난임 진단을 받은 이후 느낀 복합적인 감정, 가족들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난임 시술 중 배우자와의 관계 어려움, 사회적 관계에서 난임 시술 공개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 난임 시술 과정에서 마주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부족)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난임의 진단과 난임 시술 결정 및 치료 과정에서 난임 남성이 경험한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난임 시술을 받는 남성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개인적, 사회적 측면의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