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organize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s that were designed to improve children’s self-esteem an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Relevant literatures were searched through academic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RISS, DBpia, KISS, and Korean Google Scholar. From 271 studies searched, 52 programs out of 47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data extraction. A meta-analysis resulted in that the programs were generally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with an effect size of 0.89. Subsequent meta-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effect size depending on moderators. As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and study methods differenti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Based on our findings, we ma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children.
아동기는 자아존중감 형성의 결정적 시기이다. 따라서 수많은 아동복지 실천 현장에서 아동의 건전한 성격 발달과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 정보를 체계화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RISS, DBpia, KISS의 학술정보시스템과 Google 학술검색을 통해 총 271개의 관련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이 가운데 47개 논문으로부터 52개 프로그램이 자료 추출과 분석에 포함되었다. 변량효과모형에 기반한 메타분석 결과,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종합적인 효과 크기는 0.89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단일 목적 프로그램, 프로그램 유형(예능 활동), 프로그램 회기, 대상 아동의 특성(가정외 보호), 연구 설계에 따라 자아존중감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that are distinguished by the dream characteristics among adolescents and to identif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ach class. For this study, we utilized data on a total of 2,5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urvey on 2017 Korea Future Generation’s Dream.” which was jointly organized by World Vision and The Circle Foundation.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adolescent dream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we performe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Our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classes of dreams among adolescents, named as ‘active’, ‘exploratory’ and ‘passive’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three latent classe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self-esteem, motivation for achievement,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research implications and practice suggestions of the latent classes of dreams among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꿈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월드비전과 동그라미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여 실시된 ‘2017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 자료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총 2,538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꿈 잠재계층 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적극형’, ‘탐색형’, ‘소극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각 유형을 예측하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주관적 경제수준, 학교생활적응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꿈 유형에 관한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 in Korea spent their daily live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how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 poverty or their daily life balance. The ‘2020 Children’s Life Time Use Survey Data’ administered by ChildFund Korea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 in happiness was examined depending on the daily life balance and the presence of poor household groups. In addition, the daily differences of children in each group were confirmed with a graph visualized by representative sequenc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s happin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oor households and whether they were in daily life balance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particular, within the same household income group (non-poor or poor), the happiness of children with a balanced daily life was higher. In the case of children having a balanced daily life from non-poor families, it was found that after school life was positively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after-school lifestyle of children from poor families with unbalanced daily life appeared monotonous in contrast, and the disadvantages of children from poor families continued even during the COVID-19 era.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guarantee of daily balance is the most important for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poverty status, to promote their happiness. In particular, in order to guarantee children's right to develop healthily and live happily, it is suggested that daily happiness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through efforts to ensure daily balance even during the disaster of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권리와 발달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시기에 아이들은 어떤 일상을 보냈으며 빈곤가구 여부와 일상균형에 따라 아동의 행복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의 ‘2020 아동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 일상균형과 빈곤가구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해 행복감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표배열분석으로 시각화한 그래프로 집단별 아동의 일상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시기, 아동의 행복감은 빈곤가구 여부와 일상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동일한 가구소득 집단(비빈곤, 빈곤) 내에서는 일상이 균형적인 아이들의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균형을 갖춘 비빈곤 가정 아동의 방과 후 생활모습은 다채로운 모습이나, 이와 대조적으로 일상이 불균형하며 빈곤가정 아동의 방과 후 생활은 단조로운 모습으로 확인되어 코로나19 시기에 취약한 빈곤가정 아동은 더 불리한 생활을 이어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행복증진을 위해서는 빈곤지위에 관계없이 아동 모두에게 각자의 삶에서 일상균형의 보장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아동이 건강하게 발달할 권리, 행복하게 살아갈 권리 측면에서 바라볼 때, 코로나19라는 재난 시기에도 일상균형을 보장하는 노력을 통해 아동들에게 행복한 일상을 되돌려 주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a use on body ima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this relationship.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412 participants in the 12th survey (2019) and 1,397 participants in the 13th survey (2020).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formation-oriented, entertainment-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media use types,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body image, analyzed separately by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in 2019, before the outbreak, children who consumed more relationship-oriented media were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body image, while those who consumed more entertainment-oriented media we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body image. However, in 2020, after the pandemic emerged, only relationship-oriented media use had an impact on body image, suggesting a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media use and negative body image. When comparing the results by gend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media use and body image was found among girls in 2019, but this association was found among boys in 2020.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body image, and gender, showing that different types of media have different effects on gender in contactless and face-to-face societies. In particular, the findings suggest that relationship-oriented media work differently for different genders, providing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to inform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ost COVID-19 era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causes of gender differ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로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생의 신체 자아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2차(2019년) 조사에는 1,412명, 13차(2020년) 조사에는 1,39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정보추구형, 오락추구형, 관계추구형 미디어 이용을, 종속변수로는 신체 자아상을 활용하였고,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에는 관계형 미디어를 많이 접한 아동이 부정적인 신체 자아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았고, 오락형 미디어를 소비한 아동은 긍정적인 신체 자아상을 가질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관계형 미디어 사용만이 신체 자아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미디어 사용 증가와 부정적인 신체 자아상과의 관련성을 나타낸다. 성별 비교 결과, 2019년에는 여학생에서 관계형 미디어 사용과 신체 자아상 사이의 부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으나, 2020년에는 남학생에서 이러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디어 사용, 신체 이미지, 성별 간의 복잡한 관계를 조명하여 비대면·대면 사회에 따라 성별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의 종류가 상이함을 보여준다. 특히, 관계형 미디어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함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이후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과 성차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연구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latent profiles of smartphone dependency among parents and children and to identify patterns of transition in smartphone dependency between them. The study used 3rd-year child-parent paired data on 2,229 parents and their 2,229 children who participated as 4th graders in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KCYPS). This study focused on 6th-grade children at risk of smartphone dependency, a critical stage preceding the expansion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Main conclusion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identified three optimal profiles: ‘low-dependency type’, ‘average-type’, and ‘high-dependency type‘. Second, the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dependen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a high probability of children adopting the same type of smartphone dependency as their paren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efforts to reduce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should also address the reduction of smartphone usage among parents. Third, better parenting attitudes and more time spent with and talking to parents were associated with smartphone dependency in children. In contrast to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which focuses on individual factors causing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this study used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examine the dependency of parents and children on smartphones, considering the influence received from parents since an early age.
초 록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부모로부터 전이된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8 초4 패널 자료 중 3차년도 부모(N=2,229)와 자녀(N=2,229) 쌍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에 취약한 초등학생 중에서도 사회적 관계가 확대되기 전 단계인 초등학교 6학년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론은 첫째,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각각 3개가 최적의 잠재프로파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이 유사하였으며,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 유형과 동일한 형태로 자녀에게 전이될 확률이 높게 나타나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감소를 위해서는 부모 역시 스마트폰 사용을 줄여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감소를 위해서는 부모의 강제력에 의한 통제보다 긍정적 양육태도, 부모와 함께 있는 시간 및 대화 시간 등 부모와의 질적인 관계 증진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개인적 문제로 초점화하였던 변수 중심적 접근과 달리 대상 중심적 접근을 통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받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스마트폰 의존도의 횡단적 전이관계를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적 가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cessary preparations for adapting to changes in residential childcare facilities,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caregivers participating in the “Small-Scale Home-Style Childcare Pilot Project” in Seou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in a residential child facility and small-scale family-style child care settings.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mprehensive thematic analysis, revealing 30 subcategories and 8 major themes: 'Expectations of environmental changes', ‘Adaptation needed by all’,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brought about by the space’, ‘Better than a facility, but not like a home’, ‘Increased workload’, ‘Balancing roles as caregivers’, ‘The pitfalls of a career in a facility’, and ‘Caring differently from facility methods’.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time and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hildren needs to be review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that administrative support, education, and institutional cultures need to be improved.
이 연구는 서울의 한 기초지자체와 양육시설에서 실시한 <소규모 가정형 시범사업> 과정에 참여한 보육사들이 시설전환 과정에서 경험한 것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아동양육시설의 변화에 대비하여 준비할 것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시범사업에 참여한 보육사 중 아동양육시설과 소규모 가정형 보호 둘 다 경험한 참여자 4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중반기에 개별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중심주제분석을 참고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27개의 하위범주와 ‘환경변화에 대한 기대’, ‘모두에게 필요한 적응’, ‘공간이 불러온 아동들의 긍정적 변화’, ‘시설보다 낫지만 가정 같진 않음’, ‘늘어난 업무’, ‘대리양육자로서 중심 잡기’, ‘시설경력의 굴레’, ‘시설과 다르게 양육하기’ 등 8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양육시설의 기능전환에 있어 보육사와 아동이 함께 보내는 시간과 관계의 양적, 질적 수준, 행정적 지원과 교육, 시설화문화 등에서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class types of job preparation among college-graduate unemployed youth and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Data from the 14th year of the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A total of 592 college-graduate unemployed youth aged 19 to 34, excluding current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in metropolitan areas: 'Skill Preparation Type (5.1%),' 'Exam Preparation Type (19.9%),' and 'Stagnation Type (75.0%)'. In metropolitan areas, the types identified were 'Employment-Exam Mixed Type (3.7%)' and 'Stagnation Type (96.3%)'. Factors predicting each type included age, household incom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metropolitan areas, while age and self-efficacy were factors in non-metropolitan areas. Notably, individual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older youth in particular,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tagnation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and customized support measures for job preparation typ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본 연구는 대졸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대졸 미취업 청년 총 592명을 연구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LCA)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미취업 청년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은 수도권은 3개, 비수도권은 2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수도권은 ‘스펙준비형(5.1%)’, ‘고시준비형(19.9%)’, ‘정체형(75.0%)’, 비수도권은 ‘스펙·고시 혼합형(3.7%)’, ‘정체형(96.3%)’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수도권의 경우 연령, 가구소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비수도권은 연령,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함의와 거주지역별 취업준비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같은 인생의 특정 시점에서 타인의 소비로부터 영향을 받는 소비자를 습관형성효용(habit formation)을 이용하여 모형화한다. 이를 통하여 제약조건 하에서 습관형성효용을 극대화하려는 소비자가 중독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이론적인 분석을 하였다. 또한 균형 하에서의 정태분석을 통하여 중독의 의미를 습관형성의 관점에서 해석하였으며, 습관형성효용 모수()의 추정을 통하여 담배소비가 알코올 소비와 일반소비에 비하여 그 중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중독행위에 관한 이전의 임상적이고 실증적인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그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We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dolescent addictive behavior by employing a habit formation utility function where others’ consumption matters. By carrying out a comparative static analysis, we reinterpreted the relation between habit strength () and optimal consumption. Also we found how a habit-forming consumer reached addictive consumption under dynamic equilibrium. Our estimation of habit formation parameters () revealed tobacco consumption to be more addictive than alcohol consumption and general consumption. We believe that academic contribution of our work would be extending previous clin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addiction in a theoretical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