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34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혼자 생활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여가유형이 1인가구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50세에서 만 69세까지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현황을 조사한 자료 중 1인가구 중고령자 168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여가활동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여가활동 내용, 여가 동반자 여부, 여가의 일상성 여부를 기준으로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유형은 일상적 홀로 운동형(26.8%), 관계적 운동・오락형(28.0%), 일상적 취미활동형(23.3%), 여가소홀형(21.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소홀형에 비해 일상적 취미활동형의 우울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 밖에 여성에 비해 남성이, 미혼자에 비해 이혼・별거 또는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 또는 자녀배우자와의 만남빈도가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중고령자의 건강한 여가활동 영위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isure activity types in which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engag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Latent clas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68 people age 50-69 living alone. We identified fou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e subjects engaged in: individual-oriented routine physical exercise (26.8%), socially-oriented/recreational activities (28.0%), hobby-oriented activities (23.3%), and leisure-neglect (21.4%). Hobby-oriented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lso, men were more depressed than women,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ivorce or bereavement than among unmarried people.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for reducing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12

제45권 제1호

자립준비청년 주거빈곤 유형과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 검증
Validation of the Influence of Housing Poverty Types on Suicidal Thoughts Among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천화진(성남시의회) ; 김지민(한국노인인력개발원) ; 신자현(연세대학교)
Chun, Hwajin(Seongnam City Council) ; Kim, Jimin(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 Shin, Ja Hyu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1, pp.382-406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1.382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housing poverty among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its impact on suicidal though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first-wave 2023 panel survey on children receiving support and care, and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conducted by the Child Rights Guarantee Agency. A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performed on 490 youths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fied housing poverty types and assess their impact on suicidal thoughts, Chi-square tests, Kruskal-Wallis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he latent class analysis classified the housing poverty types among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to four groups: Type1, the ‘Borderline’ group (18.7%); Type2, the ‘Below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Lacking Essential Facilities’ group (5.51%); Type3, the ‘Unstable Occupancy and Cost-Burdened’ group (64.08%); and Type4, the ‘Subpar Housing Performance’ group (11.63%).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Subpar Housing Performance’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uicidal thoughts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the ‘Borderlin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housing poverty types among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nd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alleviate suicidal thoughts in this population were discusse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주거빈곤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아동권리보장원이 실시한 제 1차 지원·보호 아동 및 자립준비청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립준비청년 490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주거빈곤 유형별 특성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Chi-square 검정, Kruskal-Wallis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준비청년의 주거빈곤 유형은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경계형’ 집단으로 18.78%를 차지하였고, 유형 2는 ‘최저주거기준 미달형’으로 5.51%로 확인되었다. 유형 3은 ‘불안정 점유 및 주거비용 과부담형’으로 64.08%, 유형4는 ‘주택구조성능 미달형’으로 11.63%로 나타났다. 유형별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주택구조성능 미달형’ 집단이 참조집단인 경계형에 비해 자살생각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립준비청년의 주거빈곤 유형에 따라 자살생각 완화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13

제38권 제2호

배우자와의 지원교환 유형이 전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Mutual Spousal Support on Depression in Young-Old Age
남석인(연세대학교) ; 김세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호정(연세대학교)
Nam, Seok In(Yonsei University) ; Kim, Se 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Kim, Ho Jeong(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38, No.2, pp.257-289 https://dx.doi.org/10.15709/hswr.2018.38.2.257
초록보기
Abstract

Recently, spousal reciprocity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s a key component for improved marital relationships in old age.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support exchanges by older couples and examines the effect of each type of support on depression. We used latent group analysis (LCA) to derive support types for spouses by gender. In addition, basi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The older mal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receipt status: (1)interchange, (2)emotional support exchange / 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3)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4)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5)g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The older femal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ir provision status: (1)interchange, (2)instrumental support, (3)unilateral support, (4)emotional support exchange, and (5)emotional support exchange/receiving instrumental support and care. Compared to the interchange type, The older males had more depression when they receive unilateral support. However, The older females were more depression when they provided unilateral support. We suggest that a positive marital relationship depends on appropriate role allocation and reciprocal support by older couples and propose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psychological stability.

초록

최근 노년기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연구에서 부부 간 상호호혜적 관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노년기 배우자와 갖는 지원의 흐름과 그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가정 내에서 배우자와 어떠한 형태로 지원교환을 하고 있는지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지원형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LCA)으로 전기노인의 성별에 따른 배우자와의 지원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기초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별 특성 및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성노인은 수혜를 중심으로 상호교환, 정서교환도구수혜, 도구수발수혜, 도구수혜, 도구수발지원의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여성노인은 제공을 중심으로 상호교환, 도구지원, 일방적지원, 정서도구교환, 정서교환도구수발수혜의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은 상호교환에 비해 어느 형태의 지원이든 일방적으로 지원을 받는 유형일수록, 여성은 일방적으로 지원을 제공하는 유형일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 간 적절한 역할분담 및 상호지원을 통한 긍정적 부부관계와 이에 따른 노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14

제44권 제4호

청년 가구주의 주거불안정의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Housing Instability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
이은정(연세대학교) ; 이은영(동국대학교) ; 김혜진(서울대학교)
Lee, Eun Jung(Yonsei University) ; Lee, Eunyoung(Dongguk University) ; Kim, Hyejin(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4, pp.443-468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4.443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housing instability among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 in Korea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plore differences in depression levels across groups within each type of housing instabilit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which targeted a sample of 5,374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ypes of housing instabil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ose with higher levels of housing instability and those with lower leve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se groups in terms of age, average monthly income, or housing typ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region, and perceived health with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s of housing instability. Second, depress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ypes of housing instability,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mong those with higher housing instability compared to those with low housing ins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housing quality standards, supporting the remodeling of older houses,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vulnerable groups to alleviate housing instability and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국내 청년 가구주의 주거불안정의 유형을 도출하고, 주거불안정의 유형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Youth Life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임차 중인 청년 가구주 5,37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가구주의 주거불안정의 유형은 크게 고수준 복합 주거불안정 유형과 저수준 주거불안정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두 집단 간에 연령, 월평균소득, 가구 형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수준 복합 주거불안정 집단은 교육 수준, 취업 상태, 지역, 주관적 건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거불안정 유형이 청년 가구주의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수준 주거불안정 유형에 비해 고수준 복합 주거불안정 유형에서 우울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 가구주의 주거불안정 완화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주거품질 기준 강화, 노후 주택 리모델링 지원, 취약계층 맞춤형 통합 지원 체계 구축 등의 정책적 함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5

제41권 제2호

청소년의 꿈 잠재계층 유형과 영향요인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Latent Classes of Dreams among Adolescents
이승진(이화여자대학교) ; 황아리영(이화여자대학교) ; 정익중(이화여자대학교)
Lee, Seung Jin(Ewha Womans University) ; Hwang, Ari Young(Ewha Womans University) ; Chung, Ick-Joong(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2, pp.64-82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2.64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that are distinguished by the dream characteristics among adolescents and to identif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ach class. For this study, we utilized data on a total of 2,5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urvey on 2017 Korea Future Generation’s Dream.” which was jointly organized by World Vision and The Circle Foundation.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adolescent dream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we performe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Our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classes of dreams among adolescents, named as ‘active’, ‘exploratory’ and ‘passive’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three latent classe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self-esteem, motivation for achievement,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research implications and practice suggestions of the latent classes of dreams among adolescents.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꿈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월드비전과 동그라미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여 실시된 ‘2017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 자료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총 2,538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꿈 잠재계층 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적극형’, ‘탐색형’, ‘소극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각 유형을 예측하는 정도를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주관적 경제수준, 학교생활적응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꿈 유형에 관한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구성개념을 밝히고, 유형화한 후,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Q모집단은 심층면접, 문헌조사를 통해 285개의 표본을 도출한 후, 최종 35개의 Q진술문을 확정하였다. P표본은 정신장애인, 가족, 전문가를 포함한 30명이며, 강제 정상분포방식에 따라 P표본에게 Q진술문을 척도상에 분류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C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구성개념 유형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강한 긍정과 강한 부정을 보이는 항목, 다른 유형과 차이가 두드러지는 항목, 면접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제 1유형은 ‘사회적 관계형-세상 속으로 나아가는 삶’, 제 2유형은 ‘정상 추구-잃어버린 건강을 되찾은 삶’, 제 3유형은 ‘자기만족형-자족하는 편안한 삶’, 제 4유형은 ‘자기관리형-자기 앞가림을 하는 삶’으로 명명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을 위한 임상현장에서, 정신보건 전문가의 양성과정에서 사정과 교육과 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e aim of study is identifying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analyzing the trait of each types in it. This research was used Q methodology. The 5 consensus items and 4 factors were identified while the investigation of the recovery factors. The contents of the whole consensus items were keeping their composure that enjoyed their life and considered the troubles of other people accepting the mental disorder as parts of their life and standing the pain based on rapports and cooperation with the experts. So those keywords of the consensus items were ‘collaboration with others’ and ‘peace in mind’. Four factors drawn from this analysis are as the following: The first factor named as ‘Social relationship’, the second factor named as ‘Enhancement of normality’, the third factor named as ‘Self- satisfaction’, the Final factor named as ‘Voluntary self- managemen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the policies and practical plans.

17

제42권 제2호

2020년 의사파업에 대한 언론보도와 미디어 프레임 분석
An Analysis of Media Coverage and Frame of the 2020 Doctors Strike
김나연(동덕여자대학교) ; 정민수(동덕여자대학교)
Kim, Nayeon(Dongduk Women's University) ; Jung, Minsoo(Dongduk Wome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2, pp.28-42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2.28
초록보기
Abstract

Media coverage tends to influence public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media can influence policy decisions by representing stakeholders’ positions or forming public opinion favorable to them. This study classified newspaper media by ideological tendency and analyzed the patterns and frames of reporting of the 2020 doctors strike.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une 28, 2020, whe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first mentioned the strike, to September 4, 2020, when an agreement was signed with the government. The subject of analysis consisted of 493 articles from the Chosun-Ilbo, Donga-Ilbo, Hankyoreh, and Kyunghyang-Shinmun that were searched through BigKind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during the period. The analysis method is content and frame analysis according to article type, coverage type, information source type and ideological tendency. The finding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case-focused and direct coverage was high in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in the article type and the coverage type (P<0.001).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used in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the media (P<0.001), and the frames used in the editorials were also different (P<0.05). The qualitative analysis suggests that conservative media mainly emphasized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in policy promotion through the cause attribution frame, but progressive media criticized the act of of the Medical Association as unethical through the public and moral evaluation frame. The framing methods of the media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tendency. However, if it is expanded and reproduced, it may cause public confusion about health care policies and may ultimately hinde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y attention to agenda setting and conflict management surrounding public health policy.

초록

언론보도는 대중의 정보 수용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이때 매체의 이념적 성격은 이해당사자의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여 정 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문 매체를 이념 성향별로 분류하여 2020년 의사파업에 대한 보도 양상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기간은 대한의사협회가 파업을 최초로 언급한 2020년 6월 28일부터 정부와 합의를 체결한 2020년 9월 4일까 지이다. 분석 대상은 해당 기간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를 통해 의사 파업으로 검색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기사 493건이다. 분석 방법은 기사 유 형, 취재 유형, 정보원 유형과 이념 성향에 따른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다. 정량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사 유형과 취재 유형에서는 보수 매체와 진보 매체 모두 사건 중심 보도와 직접 취재의 비율이 높았다(P<0.001). 그러나 매체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기사에 활용한 정보원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사설에서 이용한 프레임 역시 달랐다(P<0.05). 정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수 매체는 주로 원인 제공 프레임을 통해 정책 추진에서 정부의 책임을 부각시켰으나 진보 매체에서는 공공성과 도덕성 평가 프레임을 통해 의사협회의 비윤리적 행위를 비판하였다. 이념 성향에 따라 매체의 프레이밍 방식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확대ㆍ재생산될 경우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공중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체계의 개선과 발전을 저해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공의료 정책을 둘러싼 의제 설정과 갈등 관리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초록보기
Abstract

In Korea, the absolute number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e of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the elderly group signifies that the needs of the elderly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distinc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group type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assuming that usage patterns would differ. To achieve this, this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2015-2021). Group types based on socio- economic status among the elderly were derived through latent class model analysis, and medical, long-term care, and welfare services for seven years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type. The usage trend was analyzed using a multi-group growth mixtur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differences in the usag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mong different groups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findings, an evaluation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service system's effectiveness was conducted,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improvements was discussed.

초록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노인인구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노인 집단 내 다양성과 이질성이 나타나면서 노인의 욕구 또한 다양하고 상이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영역에 따른 집단 유형별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상이할 것이라고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15~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사회경제적 영역에 따른 집단 유형을 잠재계층모형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노인의 집단 유형별 7년 동안의 의료·돌봄·복지서비스의 이용 추이를 다집단성장혼합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노인의 집단 유형별 사회복지서비스별 이용량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현재 사회복지서비스 제도 체계에서의 서비스 이용을 평가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어떤 형태로 유형화되는지에 대한 건강증진행위 잠재 집단 유형을 규명하고, 각 집단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10,28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도출된 각 건강증진행위 유형별 특성과 유형화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χ2, ANOVA,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였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금연・금주형, 부정적 건강행위・의료이용 중심형, 긍정적 건강행위・비운동형, 적극적 건강행위 실천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제도적 요인, 경제적 요인 등에 따라 유형 간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예측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배우자 만족도, 사회참여, 사회서비스 이용, 경제활동 참여 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유형에 관한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실증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eneral typ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the elderly. Based on these types, we tried to classify latent group patterns. This research would establish an empirical guidelin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the elderly. For this, The National Survey on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2014 was used. This dataset contained total of 10,281 elderly sample selected from nationwide.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for identifying typ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Based on the Latent class analysis, chi-square () test,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in accordance with the extracted typ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n the results,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the elderly were turned out as four types: non-smoking and abstinence type, negative health behavior and medical service dependent one, positive health behavior and non-exercise one, and active health behavior practitioner. These four type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social demographic factors, social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economic factors. Moreov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status, spous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utilizing social service, and participating economic activities were playing a key role in predict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types. In addition, several feasibl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20

제44권 제3호

대졸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과 영향 요인: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Latent Cla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mong College-Graduated Unemployed Youth: Focusing on Differences by Residential Area
이승진(이화여자대학교) ; 박지혜(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김소현(고려대학교안암병원) ; 정익중(이화여자대학교)
Lee, Seung Jin(Ewha Womans University) ; Park, Ji Hye(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Kim, So Hyun(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 Chung, Ick-Joong(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359-382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359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class types of job preparation among college-graduate unemployed youth and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Data from the 14th year of the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A total of 592 college-graduate unemployed youth aged 19 to 34, excluding current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revealed three types in metropolitan areas: 'Skill Preparation Type (5.1%),' 'Exam Preparation Type (19.9%),' and 'Stagnation Type (75.0%)'. In metropolitan areas, the types identified were 'Employment-Exam Mixed Type (3.7%)' and 'Stagnation Type (96.3%)'. Factors predicting each type included age, household incom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metropolitan areas, while age and self-efficacy were factors in non-metropolitan areas. Notably, individual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older youth in particular,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tagnation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and customized support measures for job preparation typ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초록

본 연구는 대졸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대졸 미취업 청년 총 592명을 연구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LCA)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미취업 청년 취업준비 잠재계층 유형은 수도권은 3개, 비수도권은 2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수도권은 ‘스펙준비형(5.1%)’, ‘고시준비형(19.9%)’, ‘정체형(75.0%)’, 비수도권은 ‘스펙·고시 혼합형(3.7%)’, ‘정체형(96.3%)’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수도권의 경우 연령, 가구소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비수도권은 연령,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함의와 거주지역별 취업준비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