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7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2권 제3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기간 중 소득에 따른 고혈압ㆍ당뇨병 환자의 미충족 의료
Unmet Need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Household Income
송은솔(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은자(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최슬기(서울시립대학교)
Song, Eunso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Park, Eunj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Choi, Seul Ki(University of Seoul) 보건사회연구 , Vol.42, No.3, pp.246-259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3.246
초록보기
Abstract

COVID-19 pandemic has continued in South Korea for over two years since 2020.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and household income. We examined the unmet needs of 382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aged 19 or older using a telephone survey conducted in August 2021. About 17.8% of patients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during the previous year. Moreover, 5.0 % answered that they did not use medical services due to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l service us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a low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unmet needs experience than those with high household income(OR: 4.95, 95% CI 1.91-12.87). Decreased household inc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lso influenced the unmet needs in healthcare(OR: 2.24, 95%CI 1.23-4.0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licy intervention considering various causes of unmet needs is required to decrease unmet healthcare nee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초록

2020년 1월 국내에서 첫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환자가 보고된 이후 2년 넘게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ㆍ당뇨병 환자의 코로나19 유행기간 중 미충족 의료 경험을 조사하고 미충족 의료 경험과 소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1년 8월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고혈압ㆍ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지난 1년간 미충족 의료 경험과 그 이유를 전화면접 방식으로 조사하고 미충족 의료 경험을 종속변수로, 소득 수준을 독립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고혈압ㆍ당뇨병 환자 중 최근 1년간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비율은 17.8%였다. 고혈압ㆍ당뇨병 환자의 5.0%는 경제적 부담으로 필요한 병의원 이용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가구 균등화 소득 수준이 ‘상’인 그룹에 비해 소득 수준이 ‘하’인 그룹은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4.95배(95% CI 1.91-12.87) 높았으며 지난 1년간 소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고혈압ㆍ당뇨병 환자들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소득 수준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환자들에 비해 2.24배(95% CI 1.23-4.07) 높았다. 연구 결과는 감염병 유행기간 동안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를 줄이기 위해 미충족 의료 발생의 원인을 고려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s well a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018 Childhood Life Experiences Survey, with a sample of 1,515 parent-child dyads. Descrip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arental stress and offspring abuse, parental stress itself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to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nd finally child’s current experience of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depression.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oderated by the offspring’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For the offspring with the low- and the medium-level of social support, the child abus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for those with the high-level of social suppor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Moreover, for children with low-level of social support, the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uch stronger than those with medium- or high-level of soci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ld abuse can transmit through generations and have an adverse influence on depression in offspring in Korea, as has been confirmed in many other countries, which informs the validity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and family systems theory too. There is a need for family-centered and social interventions to break the cycle of abuse and to reduce depression in abused children.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가 현재의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 내 학대의 세대 간 연속성을 약화시키고 학대피해아동의 심리정서적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도 ‘아동기 생애경험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측정모형ㆍ구조모형분석, 매개효과분석, 다중집단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부모의 절반 이상이 아동기에 학대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 자녀 학대피해, 자녀 우울 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위험요인으로 그 영향은 아동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의 학대피해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사회적 지지가 중간 이하인 집단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아동학대와 아동 우울의 위험요인을 완화하기 위한 가족 중심의 개입과 보호요인 강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등의 개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3

제42권 제1호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중 경험과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iences During Out-of-Home Care on Resilience of You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김지민(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Kim, Ji M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42, No.1, pp.183-199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1.183
초록보기
Abstract

For out-of-home care children who experience multiple and subsequent crises, resilience can be an important internal resource to appropriately cope with and overcome crises and difficulties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children.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model,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tection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support services and program experiences on resilience through self-efficacy as a medium to examine whether the support in the protection process can act as a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a protected child. The outcomes from the Hayes mediation analysis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 of obtaining certifica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improve services and programs to support protection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초록

회복탄력성은 가정외보호 아동이 보호종료와 이후 자립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주요 내적 자원이다. 성장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따라 회복탄력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호과정에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모델에 기초하여 보호 및 자립준비 지원 서비스와 프로그램 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보호과정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보호아동의 인생에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Hayes의 매개효과 검증 분석 결과, 학업 성취, 사회적 지지, 자격증 취득 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와 자립준비 지원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4

제42권 제4호

이・통장의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활동 지속에 관한 혼합연구
A Mixed Methods Study on the Persistency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ies of Ri/Tong Chiefs
김정유(숭실대학교) ; 이성규(숭실대학교)
Kim, Jung Yoo(Soongsil University) ; Lee, Sungkyu(Soongsi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4, pp.190-208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4.190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y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ies among ri/tong chiefs, and explore in depth their related experiences. To do this,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design. Namely,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survey with 187 ri/tong chiefs, who are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s, and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s with 5 study participants. Quantitative results found that the persistency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ies among ri/tong chiefs was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recognition and reward, relationships with clients at risk of suicide and project managers, and self-sacrifice as a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In addition, qualitative results regarding experience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ies among ri/tong chiefs were analyzed under four themes: ‘sense of duty’, ‘positive change’, ‘satisfaction’, and ‘forming a new relationship and its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ersistency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ies among ri/tong chief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통장 자살예방 게이트키퍼의 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들의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활동 지속에 관한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이・통장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연구를 수행한 후 5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이・통장 자살예방 게이트키퍼가 경험한 심리사회적 인정・보상, 자살위험 대상자 및 사업담당자와의 관계, 공공봉사동기로서의 자기희생이 이들의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연구 결과, 이・통장 자살예방 게이트키퍼의 활동 지속경험은 ‘사명감’, ‘긍정적인 변화’, ‘만족감’, ‘새로운 관계형성과 개선’이라는 네 가지 핵심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통장의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활동 지속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5

제42권 제4호

소아청소년암 경험자의 건강 지식 및 건강 증진 행동 향상을 위한 집단 기반의 건강 교육 개입
Group-Based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s for Improving Health Knowledge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김민아(성균관대학교) ; 장이츠(성균관대학교) ; 유정원(숭실사이버대학교)
Kim, Min Ah(Sungkyunkwan University) ; Zhang, Yichi(Sungkyunkwan University) ; You, Jung-Won(Korean Soongsil Cyber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4, pp.7-28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4.7
초록보기
Abstract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often experience late effects and health problems resulting from cancer treatments. However, they may not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due to a lack of health-related knowledge. In this study, 4 weeks of group education on improv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were implemented with 10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participants in a comparison group using a pre–post experimental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evel of cancer-related health knowledge;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and reported that after group education, their self-awarenes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improved.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group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improving health-related knowledge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초록

소아청소년암 경험자들은 암 치료로 인해 다양한 후기효과와 건강 문제를 자주 겪지만, 건강 지식의 부족으로 건강 증진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암 경험자들의 건강 증진 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집단교육을 실험집단 10명과 비교집단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에 걸쳐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하는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집단교육의 개입 이후 실험집단은 암 관련 건강 지식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서는 집단교육 이후 자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건강 증진 행동이 도모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암 경험자의 건강 관련 지식과 건강 증진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집단 교육을 통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 work and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ving been discriminated against, economic difficulties, and job burnout in non-regular workers, and the fit of the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were examined. To this en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young adults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he model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SPSS20.0 and AMOS20.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appropriately explained the data on the young people. Looking at the path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all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ecent jobs and direct routes to job burnout in economic difficulties. The indirect effect of decent job and autonom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ving been discriminated against and job burnout, and the indirect path from economic difficulties to decent job and autonomy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measures to prevent job burnout of non-regular workers and to lower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or being discriminated again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차별 경험, 경제적 어려움과 직무소진 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자리와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 의 적합도와 개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 청년 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20.0과 AMOS20.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경제적 어려움에서 괜찮은 일자리와 직무소진으로 향하 는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괜찮은 일자리와 자율성이 차별 경험, 경제적 어려움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ental health help-seeking among young people in Korea and suggest directions for mental health service policy and practice specific to this population. Five study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were recruited via purposive sampling and invited to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They were asked about perceived symptoms and needs for help at the onset of the problem, searching for helping resources and decision-making, and process of service use and related experience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following an inductive coding process, and the meaning units drawn from the data were grouped into 5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The 5 categories are ‘life full of pain and instability’ ‘cumbersome process of help seeking’ ‘first-person experience of service use’ ‘process of getting more and losing less’ ‘young consumers’ evaluations and suggestions’.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provider reflection on her practice and directions for service delivery were made as ways to help facilitate help-seeking behaviors among young people who hold an identity as a mental health service consume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상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도움요청 과정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청년 친화적인 정신건강서비스의 실천과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 방법에 근거하여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5명의 청년을 모집하고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정신건강 문제 양상 및 자각, 도움요청 필요성 인식, 도움요청 자원 검색과 선택, 서비스 이용 과정과 결과에 대해 질적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개방 코딩 방식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도출된 의미단위들은 총 5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로 유목화되었다. 청년의 정신건강 도움요청 경험을 설명하는 5개의 상위범주는 ‘청년의 고되고 불안정한 삶’, ‘도움요청의 지난한 과정’, ‘청년 당사자의 서비스 체험’, ‘잃을 줄 알았지만 얻은 게 많은 과정’, ‘청년 소비자의 평가와 제안’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정신건강서비스 소비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청년의 도움요청 행동 촉진과 관련하여, 제공자의 실천적 성찰에 대한 시사점과 전달체계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8

제42권 제1호

경주지진이 태아의 출생 결과에 미치는 영향
Consequences of In Utero Exposure to the Gyeongju Earthquake
이윤경(서울대학교) ; 이태진(서울대학교)
Lee, YoonKyoung(Seoul National University) ; Lee, Tae-Jin(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1, pp.146-165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1.146
초록보기
Abstract

Rece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in Korean Peninsula is causing concerns that Korea is no longer immune to earthquake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yeongju earthquake, the largest in Korea thus far, has affected childbirth. Results show that the weight of newborns born to mothers in managerial or professional roles who experienced the earthquake in early stages of pregnancy were 110.5 grams lighter than those born to mothers who did not. For stay-at-home mothers, the weight difference was 68 grams. For women in the late stages of pregnancy, stay-at-home mothers who experienced the Gyeongju earthquake suffered from 2.2 percent higher chances of giving birth to underweight newborns than mothers who had not experienced the earthquake. The percentage climbed to 8.6 percent for mothers with service jobs. As the results suggest that earthquakes impact childbirth disproportionately depending on pregnancy cycles, the mother’s occupation and/or education, continued interest should be given to monitoring systems appropriate for mothers of different attributes following natural disasters.

초록

최근 한반도 내 지진 발생 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국민들의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진이 태아의 출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를 활용하여 임산부의 임신주기, 교육수준, 직업군에 따라 이중차분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임신 초기 경주지진을 경험한 관리직 및 전문직 산모에게 태어난 출생아의 몸무게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10.5g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가사노동 직업군의 경우 68g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임신 후기의 경우 고졸 이하의 산모 비중이 가장 높았던 학생, 가사, 무직의 직업군이 경주지진을 경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저체중아 출생확률이 2.2% 높아졌으며, 그다음으로 비율이 높았던 직업군인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지진을 경험한 임산부가 그렇지 않은 임산부에 비하여 저체중아 출생확률이 8.6%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진의 영향은 임신주수 및 산모의 직업군, 교육수준에 따라 상반된 모습을 보이는 만큼 재난 발생 이후 산모 특성에 따른 적절한 관리 체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9

제42권 제3호

코로나19 생존자의 직장 내 낙인 및 대처 경험
COVID-19 Survivors’ Experiences of Stigma and Coping in the Workplace
김민아(성균관대학교) ; 성지민(성균관대학교)
Kim, Min Ah(Sungkyunkwan University) ; Sung, Jimin(Sungkyunkwa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3, pp.7-29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3.7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orkplace stigma and coping experiences COVID-19 survivors had as they returned to work.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COVID-19 survivors. Fifteen subthemes have emerged within three main themes: a) workplace stigma toward COVID-19 survivors, b) coping strategies to avoid or change the stigma towards COVID-19 survivors, and c) service needs for mitigating social stigma towards COVID-19 survivors.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stigmatization and thus felt intimidated in the workplace. They engaged with passive as well as active coping strategies to avoid or change stigma, and emphasized the need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peer mentoring,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COVID-19 survivors to alleviate stigma and support successful reentry to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생존자들이 직장에 복귀하는 과정에서 겪은 직장 내 낙인과 대처 경험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으로, 코로나19 생존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제 분석을 통해 1) 코로나19 생존자에 대한 직장 내 낙인, 2) 코로나19 생존자에 대한 낙인을 피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대처, 3) 코로나19 생존자의 낙인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욕구의 3개 대주제와 15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며 심리사회적으로 위축되었고, 낙인을 피하기 위한 소극적 대처뿐 아니라 낙인적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대처를 하였으며 심리상담, 동료 멘토링, 교육 및 인식 개선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 상황에서 생존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완화하고 이들의 건강한 사회 복귀를 지원하는 교육 및 훈련을 제언하였다.

10

제42권 제4호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영유아 돌봄・교육기관 감염병 대응 권고안의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Infectious Disease Response Recommendation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Using Delphi Technique
정선영(건양대학교) ; 박진희(우석대학교) ; 백선희(서울신학대학교) ; 지성애(윤정유치원) ; 최성애(건양대학교)
Jeong, Sun Young(Konyang University) ; Park, Jin Hee(Woosuk University) ; Baek, Sun-Hee(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i, Sung-Ae(Yoonjung Kindergarten) ; Choi, Sung Ae(Konyang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4, pp.62-78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4.62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commendations for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is, we developed a delphi survey questionnaire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0 experts who had experienc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 and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response of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for a total of 30 people, including 10 directors and 10 teacher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10 infection control expert who had experienc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n hospitals. After delphi survey, interquartile rang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ere analyzed. As a result, we completed a total of 168 recommendations in three areas­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rinciples; daily infection control; infection control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in order to better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의 감염병 대응을 위한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에서 감염병 대응업무를 경험한 전문가 20인이 참여한 포커스그룹인터뷰, 국내외 영유아 돌봄・교육기관의 감염병 대응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영유아 돌봄・교육 업무 중 감염병 대응 경험이 있는 원장 10인, 교사 10인, 감염관리전문간호사 및 감염내과 의사 10인으로 총 30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후 각 항목별로 사분위범위, 평균값, 표준편차, 중앙값,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분석하였다. 2회의 델파이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영유아 돌봄・교육기관 감염병 대응을 위해 감염병 예방과 관리원칙, 평상시 감염관리, 감염병 유행 시 감염관리를 포함한 3개 영역, 총 168개 권고안을 완성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