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the risk factors for death and the causes of death in infants and toddlers, categorized by detailed age (less than 12 months old, 1-4 years old), using birth cohort tracking observation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out of 1,274,027 infants and toddlers, 3,929 deaths occurred under the age of 5 (2889 deaths at age 0 and 1,040 deaths at ages 1-4), with the rate of death at age 0 accounting for 79.62% of the total. Findings from the COX proportional risk survival analysis suggest that gender, birth weight, gestational week, maternal total birth rate, parental age,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were related to deaths under the age of 5. A detailed age-group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death at age 0 and birth weight, gestational weeks, maternal age,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while the effect of parental age and education level decreased in the age range of 1-4. Deaths at age 0 were largely attributed to pre-birth and post-natal diseases (1,165 deaths; 40.33%)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707 deaths; 24.47%), while deaths at ages 1-4 were predominantly due to other diseases (208 deaths neoplasms; 20.00%), nervous system diseases (15 deaths; 1.44%), and external causes like transportation accidents (108 deaths; 10.38%), falls (42 deaths; 4.04%), and harms (51 deaths; 4.90%).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address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cross different ages, aiming to prevent death.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의 5세 미만 영유아 출생코호트 추적관찰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세부시기별(0세, 1~4세) 사망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출생아 1,274,027명 중 5세 미만 사망아는 총 3,929명(0세 사망: 2,889명, 1~4세 사망: 1,040명)으로 0세 사망의 비율이 전체의 79.62%였다. COX 비례위험 생존 분석 결과, 영유아의 성별, 출생체중, 임신주수, 모총출생아수, 부모연령, 부모교육 정도가 5세 미만 사망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시기별 분석 결과, 0세 시기 사망은 출생체중, 임신주수, 모의연령, 부모교육 수준이 사망과의 관련성이 컸지만, 1~4세 시기에는 부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시기별 주요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0세 사망은 출생전후기병태(1,165명:(40.33%))와 선천성 기형의 비중이 높고(707명:(24.47%)), 1~4세 사망은 기타질환(신생물, 208명:(20.00%)), 신경계통질환:(15명(1.44%))과 외인사(운수사고: 108명(10.38%), 낙상: 42명(4.04%), 가해: 51명(4.90%) 등)의 비중이 높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 세부시기별 차이를 고려한 모자보건 및 영유아 건강정책을 개발하여 사망위험요인을 예방하여야 함을 제언한다.
Late adulthood is often characterized by the social isolation attributable to physical weakness, reduced social networks, an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mental health issues―factors that worsen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d the structural paths mediated by negative emotions and self-esteem. We also compared one-person households, at increased risk of isolati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ose aged 60 or older in the 2021 Korea Media Panel Survey, revealed that social isolation,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all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that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For one-person households, social isolation exerted greater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while self-esteem had smaller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we have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o address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노년기는 신체적 약화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망 축소로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게 되며 정신건강 차원에서 취약한 시기로, 코로나19는 이와 같은 취약성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시기 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의 관계 사이에서 부정정서와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경로를 구조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고립의 위험이 높은 1인 가구와 가구원이 함께 거주하는 다인 가구를 비교하여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1년에 조사된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중 60세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고립감, 부정정서, 자아존중감은 모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부정정서와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크고,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 burden on family caregiver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is burden, with the aim of suggesting ways to alleviate the care burden of families of home care recipients. We used data from the 2022 Long-Term Care Survey and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method. Two important outcomes emerged from our analysis. First, family caregivers of home care recipients were categorized into ‘high burden’, ‘medium burden’, ‘low-medium burden’, and ‘low burden’ group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factors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care burde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and family caregivers. Based on the mai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services for family care providers and recognize leave benefits when using the family care leave system to alleviate the burden of care in the daily lives of family care providers.
본 연구는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돌봄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수준에 따라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장기요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분석과정에서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수준에 따라 ‘고부담’, ‘중부담’, ‘저-중부담’, ‘저부담’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돌봄부담 유형화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수급자 및 가족돌봄자의 특성에 따라 돌봄부담 유형화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의 돌봄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가족돌봄자 지원서비스 강화 및 가족돌봄휴가제도 사용 시 휴직급여 인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aiming to improve their reported lower happines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spanning from 2018 to 2021, a mixed model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participan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reading time, playing with friends, and participation in suburban clubs,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effects within individual cases) positively impacted happiness, while smartphone usage, in-school club activities (effects between individual cases) had a nega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enhance youth happiness, including measures such as ensuring leisure time, promoting social awareness, securing leisure spaces, and incorporating youth perspectives.
초 록 본 연구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할 때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행복감의 영향요인 중에서 여가활동에 주목하여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가운데 중 학교 1학년 패널 2,590명을 대상으로 1~4차년도(2018~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회귀분석 중 혼합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 시간, 친구와의 노는 시간,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 운동 및 신체활동(개별사례 내 효과)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 교내 동아리 활동(개별사례 간 효과)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 증진을 위해 여가 시간 보장, 사회적 인식의 개선, 여가 공간 확보, 청소년의 의견 반영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cale-up of social service providers has affected their employment, organizational form, and business composition. The small size of social service providers in Korea has been pointed out as a major reason for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service workers, low service quality, and inefficient distribution of resourc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scale-up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have mainly looked at efficiency in terms of co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various aspects of scale-up. We applied a panel analysis method to data from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from 2008 to 2021 to examine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size of facilities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facility size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wa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portion of full-time employees. However, in the case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nd child care centers, their growth into small and medium-sized facilitie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full-time employees. Scale in the social services se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version of individual businesses to corporate entities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side businesses in general welfare centers and visiting welfare services.
초 록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공급기관의 규모화가 기관의 고용과 조직 형태, 사업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공급기관의 영세성은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열악한 처우와 낮은 서비스 질, 비효율적 운영의 주요 배경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규모화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만을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규모화의 다양한 측면을 다뤄보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21년 사이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패널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복지 서비스업에 속한 사업체의 규모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서비스 부문에서 사업체 규모의 성장은 상용직 비율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다만 노인요양시설과 보육시설에 한하여 중소규모로의 성장은 상용직 비율을 늘렸다. 사회서비스 부문의 규모화는 개인사업자에서 회사법인으로의 전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종합복지관과 방문복지서비스업의 부사업 비율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ealth of the self-employed.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ealth between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and estimated the causal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health. Various variables, includ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indices, were used to assess health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ealth status of self-employed individuals is generally worse than that of wage earners. Additionally, the analysis using dynamic random effects probit models revealed significant heterogeneity within the self-employed group, showing that self-employment negatively impacts the health of those without employee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negative impact of self-employment on health is likely non-linear, influenced by the individuals' typical health statu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자영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간에 건강 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종사상 지위가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시도하였다. 주관적 건강지표, 객관적 건강지표 등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다각도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자영업자 구성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고용주와 자영자로 구분하여 임금근로자에 비해 이 두 그룹의 건강 상태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체로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업자의 건강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고, 그중에서도 자영자의 건강 상태가 가장 나빴음을 보여준다. 종사상 지위가 건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동태적 임의 효과 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에서도 자영업 내부의 이질성이 확인되며, 자영업은 자영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직업 특성, 건강 행동 등의 통제 여부가 추정치의 크기나 유의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전기의 건강 상태는 현재의 건강 상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자영업이 건강 상태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근로자들의 평소 건강 상태에 따라 비선형적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료를 사용하여 종사상 지위가 근로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employing an autoregressive lagged model to enhance the well-being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Data (MAPS 1) covering the 4th to the 6th academic years of 1,31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self-lagged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stress were stable over time. Specifically,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ve stress at earlier time poi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factors at later time points for both boys and girls. Second, a gender comparison of the cross-lagged effects revealed distinct patterns. For boys, there were significant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between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stress. Moreover,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ly affected acculturation stress. For girls, earlier self-esteem influenced later acculturation stress, while prior school adjustment affected subsequent self-esteem.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stress in supporting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통해 다문화 아동·청소년 복지의 함양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데이터」(MAPS 1기) 중 중학생 시기인 4~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포함된 다문화가정 중학생 수는 1,316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지연 효과검증을 통한 성별 비교 결과,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이전 시점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적응이 이후 시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시간이 흐름에도 남녀집단 모두 안정적으로 자기지연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교차지연 효과검증을 통한 성별 비교 결과, 남학생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간의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이전시점의 자아존중감이 이후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이전시점의 학교적응이 이후시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지원하는 데 있어 세 변인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복지 개입 방안의 실천적 측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osure to alcohol brand character marketing on problem alcohol use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600 Koreans aged 19-69 years in November 2021. From these participants, we selected 2,995 individuals who reported consuming alcohol within the past year. Exposure to alcohol brand character marke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via a likert scale by asking about exposure to general products featuring alcohol brand characters.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variable, was measured via a likert scale by assessing likability and willingness to purchase. Exposure to alcohol brand character marketing was measured using a likert scale on general products featuring these characters, while purchase intention was assessed through likability and willingness to buy. Problem alcohol use,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using the AUDIT-K scale. The law must be reformed to ensure that all forms of alcohol industry advertising and marketing are regulated, including alcohol brand characters that collaborate with non-alcoholic product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on alcohol marketing literacy.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into regulatory revisions on exposure to alcohol brand character marketing.
최근 주류업계의 마케팅은 Z세대를 겨냥하여 자사 주류캐릭터를 개발하여 주류광고, 인형, 식품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공격적인 마케팅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주류제품의 주 소비자인 성인 음주문제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음주로 인한 폐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주류업계의 캐릭터 마케팅 노출이 성인 음주문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주류캐릭터 구매 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11월 전국 17개 시도 20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3,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최근 12개월 내 음주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2,995명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주류캐릭터 마케팅 노출은 최근 1년간 주류 제품을 제외한 식품, 장난감 등 비주류 제품에서 노출된 주류캐릭터 마케팅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음주문제 수준은 AUDIT-K 척도, 주류캐릭터 구매 의도는 캐릭터 자체의 호감도와 구매 의도를 합산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주류캐릭터 마케팅 노출은 음주문제 수준에 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캐릭터 구매 의도는 주류캐릭터 마케팅 노출과 음주문제 수준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주류광고뿐만 아니라 최근 급증하고 있는 주류업계의 비주류제품 캐릭터 마케팅 또한 음주조장환경의 요인이며 음주폐해예방을 위해 규제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chie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blood redonation and repeated blood donation. Major social science databases were used for the literature search, which was conducted from July 22 to August 16. The inclusion criteria were : (i) studies involving participants with at least one blood donation experience, (ii) studies in which blood do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were designat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iii) empirical studies on blood do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s, 37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a QualSyst evalu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 Research on blood redonation and repeated blood dona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2000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was also observed that studies often measured intention and behavior using singleitem questions or by focusing solely on donation behavior. After analyzing seven major categories of influencing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tended to be similar and different between the intention and behavior to the blood redonation and repeated blood donation.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criteria for the literature search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hich may have excluded some relevant literature. Neverthe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and summarizes the body of research on blood redonation and repeated blood donation, enabl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이타적 행동의 가장 순수하고 전형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는 헌혈, 그 중에서도 헌혈의 지속성을 대표하는 재헌혈 및 반복헌혈에 주목하면서 관련된 국내외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종합적 이해를 모색한다. 문헌 검색을 위해 주요 사회과학문헌 DB를 활용하였고, 기간은 7월 22일부터 8월 16일까지였다. 선정기준은 ① 1회 이상 헌혈 참여자 대상 문헌 ② 헌혈 의향 및 행동을 종속변수로 다룬 연구 ③ 실증적 연구였다.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른 선별과정을 통해 37편이 선정되었으며, QualSyst 평가를 통해 37편 모두 분석에 포함시켰다. 분석 결과, 재헌혈 및 반복헌혈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향과 행동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단일문항 또는 행동 여부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파악되었다. 영향요인을 크게 7가지로 범주화해서 분석한 결과, 재헌혈 및 반복헌혈 의향과 행동 사이에서 영향요인들이 유사하게 작용하기도 하고 차이를 갖는 경향도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검색 과정에서 그 기준을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했다는 점에서 누락된 문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그간 진행되어온 재헌혈 및 반복헌혈 연구들을 분석·정리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re has been an emergence of the 'lowering age of depression risk'. Amid this, drinking is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causing depress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s mental health difficulties.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that has indicated gender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young adults' drinking frequency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y gender.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A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Youth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3.4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compared to males. Further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frequency and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fema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d that address the young adults’ drinking and depression problems simultaneously and use social support to solve emotional crisis. Lastly, the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gender-sensitive young adults’ mental health policies.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우울 위험군의 저연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음주는 우울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며,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조절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각 변수들이 성별 차이를 보인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성별에 따라 청년의 음주 빈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청년층 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우울과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 빈도와 우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여성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년의 음주와 우울 문제는 동시에 함께 대응하고 정서 위기를 해소할 때 사회적 지지를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을 고려한 청년 정신건강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