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drug use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o ensure homogeneity between drug-using and non-drug-using groups. The study compares the mean differences in GAD between these two groups. Data were sourced from the 19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23), with habitual drug use experiences as the treatment variable, and gender, grade level,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ic status as matching variable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erv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an GAD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ug-using group compared to the non-drug-using group. Furthermore,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GA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 drug use is closely linked to mental health issues and may act as a key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anxiety disorders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address adolescent drug use within an integrated framework that considers mental health concerns.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revention programs, enhancing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for adolescents, and addressing gaps in preventive education to mitig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drug use and promote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청소년의 마약류 사용과 범불안장애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활용하여 마약류 사용 집단과 비사용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후, 두 집단의 범불안장애 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제19차(202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 자료로, 처치 변수로는 습관적 약물사용 경험을, 매칭 변수로는 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 상태를 설정하였으며, 종속 변수로 범불안장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약류 사용 집단은 비사용 집단에 비해 범불안장애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성별, 학업성적, 경제 상태 또한 범불안장애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약류 사용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며, 약물 사용이 청소년기 불안장애 발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약물 사용 문제를 정신건강 문제와 통합적으로 다룰 필요성을 강조하며, 약물 사용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 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의 접근성 강화, 그리고 예방 교육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idlife employment-quality trajectories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n old age.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pecifically from the 12th (2009) to the 26th (2023) surveys. The analysis employed the group-based trajectory method to examine employment-quality trajectories, follow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se identified groups on multidimensional poverty among the elder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quality trajector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high stability', 'medium stability', 'radical fluctuation', 'radical exit', and 'gradual exit'. Second, compared to the 'high stability' group, the 'radical exit', 'medium stability', and 'gradual exit' group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multidimensional pover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olicies to enhance employment stability and improve employment quality among middle-aged wage workers. Additionally, it recommends extending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introducing asset-building programs, and enhancing measures to prevent poverty among elderly women.
본 연구는 생애과정 관점에서 중년기 임금근로자 고용의 질 궤적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이 노년기 다차원 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의 12차 자료(2009년도)부터 25차 자료(2022년도)에서 중년기 고용의 질 궤적이 22차 자료(2019년도)부터 26차 자료(2023년도)의 노년기 다차원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집단중심추세모형을 활용하여 고용의 질 변화 양상을 살피었고, 이후 도출된 집단이 노년기 다차원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안정형’, ‘중간안정형’, ‘급진변동형’, ‘급진퇴장형’, ‘점진퇴장형’의 5개의 궤적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이러한 집단유형이 향후 노년기 다차원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높은안정형’에 비하여 ‘급진퇴장형’, ‘중간안정형’, ‘점진퇴장형’ 순으로 다차원 빈곤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년층의 고용안정성 제고, 고용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실업급여의 기간 확대, 자산형성 프로그램 도입, 여성노인의 빈곤화 방지를 위한 정책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lder adults' self-determination right is respected in their use of care services. It aims to identify issues in the Home Care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 suggest improvements, and guide future policies. Using Gilbert & Terrell’s framework, we compared home care system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at, unlike in other countries, older adults in South Korea's Home Care System had difficulty participating in service delivery and making meaningful choices. Moreover, the system lacked adequate support for those with limited decision-making capacity to make informed choices. In contrast,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have systems that empower older adul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service delivery and make their own choices. Additionally,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ave widely implemente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s. Furthermore, these countries have made efforts to respect older adul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by implementing self-directed care progra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stronger mechanisms to empower older adults in service delivery and decision-making within the Home Care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ies should also strengthen mechanisms for older adults to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home care services and promote decision-making support in care settings.
본 연구는 노인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자기결정권을 존중받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연구 목적은 자기결정권 존중 관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 및 향후 관련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Gillbert&Terrell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국내외 재가돌봄 제도를 비교분석하였고, 대상 국가는 한국, 미국, 호주, 일본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비교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는 해외 사례와 비교했을 때 노인이 서비스 전달과정에 참여하여 실질적으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어려웠고, 의사결정능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제도의 운영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미국, 호주, 일본은 서비스 전달 과정에 노인이 참여하여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있었으며, 특히 미국과 호주는 의사결정지원제도가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자기주도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노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서비스 전달 과정에 노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을 보완하고, 일반적인 돌봄 현장에서 의사결정지원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정책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al pathways linking health consciousness to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emphasizing serial mediation by physical activity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longside gender-dependent moderation. Data from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via bootstrapping, and multi-group analysis evaluated gender’s moderating role. Among diabetic patients, 6.2% exhibited moderate-to-severe depressive symptoms, with 0.7% meeting criteria for severe depression. Health consciousness exerted both direct and total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with physical activity and GAD serving as sequential mediators. Critically, the mediation pathway through physical activity demonstrated the strongest effect, surpassing the GAD-related pathway. Gender significantly moderated three key relationships: (1) between health consciousness and depression, (2)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nd (3) GAD and depression. Male patients showed stronger direct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on depression reduction, whereas females exhibited greater sensitivity to medi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se findings highlight health consciousness as a pivotal modifiable factor in depression pathogenesis and underscore the necessity of gender-tailored interventions. Clinical implications emphasize dual strategies: enhancing health consciousness to activate protective behaviors and designing sex-specific programs—cognitive-focused approaches for males versus physical activity-integrated interventions for females. This study provides a robust empirical foundation for multidimensional, personalized diabetes care targeting mental health comorbidities.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 발병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건강의식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의 다중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당뇨병 환자의 6.2%에서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0.7%는 중증 우울증으로 분류되었다. 건강의식은 우울증에 대한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과 함께 신체활동 증가 및 범불안장애 감소를 매개로 한 다중간접경로를 통해 종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활동 매개경로가 범불안장애 경로보다 더 큰 효과를 보여, 건강의식 향상이 신체활동 증진을 통해 우울증 예방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중집단분석에서는 남성 환자그룹에서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여성 환자그룹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를 통한 간접경로에서도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남성 환자그룹의 경우 건강의식 개선이 정신건강에 더 직결되는 반면, 여성 환자그룹에서는 신체활동 증진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당뇨병 관리전략 수립 시 건강의식 강화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성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role of community members in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Jeongeup City, Jeollabuk-do, one of the depopulated cities in South Korea. Sixteen community volunteers were selected as "Village Care Managers" and assigned to various towns and villages. Their activities included identifying health and welfare needs of older adults, coordinating AI-based care calls and follow-up actions, organiz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linking community resources. Three joint case conferences with local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s were held during the intervention,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ree cases where resource linkage was attemp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sident-led case management effectively addressed care needs by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and communic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while also improving proximity and continuity of care. These outcomes were comparabl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expert-led case management. Furthermore, trust restoration among neighbors and the initiation of voluntary mutual care were notable achievements. However, challenges included limited access to health-related services, a lack of information on welfare resources, and the passive involvement of local resources in addressing complex needs, which hindere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community members to lead integrated ca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ongoing support and research.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이 노인 통합돌봄 사례관리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 실천연구이다. 초고령화가 진행된 대표적 인구감소지역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16명의 주민자원자를 선발해 “마을돌봄매니저”로 명명하고 각 읍면에 배치했다. 이들은 보건·복지 수요 확인, AI 안부전화 연결과 사후조치, 경로당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개별 돌봄 요구 지원, 자원연계 등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 기간 중 시청, 보건소, 복지관 등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과 3회의 합동 사례회의를 진행했고, 자원연계를 시도한 노인 중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주민주도의 사례관리는 주민 간 사회적 관계망 강화, 의사소통 증진, 근접성과 지속성을 높임으로써 효과적으로 노인의 돌봄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가 중심 사례관리와 양적·질적으로 유사한 성과를 보였으며, 주민 간 신뢰 회복과 자발적 상호돌봄이 촉진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건강문제 접근의 어려움과 복지자원 정보 부족으로 복합적 요구를 가진 사례는 자원연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참여했던 지역사회 자원의 소극적 대응으로 실효성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이 통합돌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 장치와 실행 방안에 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eam work o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activities on patient safety in general hospital employee.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450 hospital employees working in 2 hospitals in B City.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eam work,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assurance activities were 3.26, 3.65, 3.74 and 4.07 respectively out of a 5-point sca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were age (>40years), occupation(administration), contact department, work experience (>10years), guidebook (ha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eam work which explained 24.2% (F=21.481, p<.001)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patient safety assurance activities were occupation (administration), contact department, work experience (3-5 years), team work which explained 22.8% (F=34.234, p<.001) of patient safety assuran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eamwork programs to improve patient safety assurance activities for hospital employees.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 의사소통, 팀워크,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보장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광역시 2개 종합 병원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원종사자들의 조직 의사소통은 평균 3.26±0.42점(5점 만점), 팀 워크는 3.65±0.50점(5점 만점),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3.74±0.50점(5점 만점), 환자안전보장활동은 4.07±0.59점(5점)이었으며, 모든 변수들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대(40세 이상), 직종(행정), 부서(접점부서), 10년 이상의 근무경력, 지침서 구비(있다), 조직 의사소통, 팀워크로 나타났으며 24.2% (F=21.481, p<.001)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종사자의 환자안전보장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팀워크, 직종(행정), 근무경력(3~5년), 부서(접점부서)로 22.8%(F=34.234, p<.001)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의 인식과 환자안전보장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종과 부서를 고려한 효율적인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종케어 관련 변수들을 중심으로 노인전문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계획(Advance Care Planning)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서울/경기 지역 소재 노인복지 관련 시설 또는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종케어 및 사전의료계획과 관련된 지식, 경험, 태도 등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을 이용하였다. 총 246명을 표집하였으며,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호스피스 철학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에 대한 문화적 가치와 믿음, 죽음 논의에 대한 편안함, 환자의 말기 질환 정보제공에 대한 선호가 사전의료계획 태도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의료계획에 대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실천적 접근을 제시하며, 죽음 준비 문화를 위한 말기질환 정보 비공개 관행에 대한 제도적인 접근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examines the attitude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toward advance care planning and explores factors that influence them. A total of 246 social work professionals in the areas of Seoul and the Kyunggi region completed this structured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social work professionals tend to hold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 care planning in general. These attitud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avorable opinions of hospice philosophy, non-biased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value of hospice care, higher levels of comfort with death and dying discussions, and greater emphasis on the disclosure of the terminal disease to the pati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practical and professional approach to emphasizing self-determination in the course of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and emphasizes the role of social work in advance care planning. Also, it suggests the need for recognizing and assessing the patient’s preference toward being told the truth about the disease.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자의 귀인양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간의 관계에서 성폭력에 대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폭력 피해여성 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폭력 귀인양식 중 타인 비난적 귀인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폭력에 대한 대처방식 중 자기파괴적 대처는 귀인양식 중 타인비난적 귀인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타인비난적 귀인이 높을수록 자기파괴적 대처가 높아져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폭력에 대한 귀인양식과 대처방식을 고려한 피해자 치료 프로그램 및 사후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mong sexual assault victims.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70 victims of sexual assault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laming others significantly affected PTSD. Also, self-destructive behaviors among coping strateg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ming others and PTSD. That is, as the victims demonstrated more attributions with blaming other people, they tended to demonstrate the self-destructive behaviors more fr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for attributional styles and coping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decrease the post-traumatic stress of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Treatment programs and aftercare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to sexual assault victim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행산업 장외발매소 이용자의 도박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 도박중독을 줄일 수 있는 개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 소재 사행산업장 장외발매소 이용자 167명을 설문조사하였다. 독립변수와 통제변수가 사행산업 장외발매소 이용자의 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위험 및 문제성 갬블러가 전체의 84.8%에 달해 중독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의 주요결과는, 사행산업 이용 관련 특성으로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도박중독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중에서는 알코올중독이 심할수록 도박중독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중에서는 가족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가 부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도박중독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사행산업 장외발매소에 대한 통제와 관리감독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도박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y and protective Factors that predict outcomes of gambling addiction of the gambling industry users at off-track betting pla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67 off-track betting place users in C city. The prevalence rates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er were 84.8%.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of gambling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gambling addiction. Among the risky factors, alcohol addiction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gambling addiction.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family relations, and self-estee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ambling addiction. In conclusion, The directions for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the gambling industry us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세 명의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는 다자녀 가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셋째 자녀 출산 과정과 다자녀 양육 시 필요한 지원 및 사회적 여건을 분석하였다. Morse와 Niehaus가 제시하는 혼합방법론 모델에 따라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를 양적 핵심데이터로, 의도적 표집방법에 의해 모집된 심층면접 대상자를 질적 보완연구로 사용하였으며, 양적 데이터가 구축된 후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속설계방식을 취하였다. 양적 핵심데이터에서는 배우자가 있고 세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n=256)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고, 질적 보완연구에서는 총 15명의 참가자(아버지 3명, 어머니 12명)의 면접 결과를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자녀 가정은 많은 수의 자녀를 원하여 다출산을 하거나, 특정성별의 자녀를 희망하여 셋째 출산을 하거나, 가족계획의 부재 또는 실패가 임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출산 및 양육에 관하여 다자녀 어머니들이 바라는 사회적 지원은 보육·교육비 관련, 소득공제 프로그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여건 개선과 사회복지시설의 질 향상과 같은 사회적 여건을 희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다자녀 가정의 연구가 부족한 국내 실정에서 혼합방법론을 이용하여 대상자가 느끼는 정책 욕구를 분석하였다는 차별성과 함께 다자녀 가정의 셋째 출산 과정을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ies with three children(also known as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in Korea and examines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family planning experiences. The study adopts a QUAN → qual mixed method approach using the 『2009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as a core dataset and fifteen in-person qualitative interviews as a supplemental dataset. The findings illustrat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amples and a model on process of forming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due to various reasons. Finally, the authors discuss types of services that parents with three children perceive as helpful and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o support thes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