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5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5권 제2호

결핵 환자 재택의료 시범사업의 효과 평가
Effectiveness of the Pilot Project for Home-Based Care for Tuberculosis Patients
신동교(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 김경이(엠닥) ; 지영건(차의과학대학교) ; 이상규(연세대학교) ; 김지만(을지대학교)
Shin, Donggyo(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 Kim, KyungYi(mDoc) ; Ji, Young Geon(Cha University) ; Lee, Sang Gyu(Yonsei University) ; Kim, Ji Man(Eulj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2, pp.451-467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2.451
초록보기
Abstract

Since October 2021, Korea has implemented a pilot project for home-based care targeting tuberculosis (TB) patients. The project aims to enhance cure rates by offering systematic education, counseling, and patient management services tailored to the diverse medical needs of TB pati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ilot project by analyzing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o compare medical utilization, healthcare costs, and mortality rat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pilot project, chi-square tests, t-tests,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ome-based care program had lower average numbers of outpatient visits, shorter hospital stays, reduced emergency service use, and lower associated medical costs compared to non-participants. In addition, the mortality rate among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me-based care for TB patients can help prevent disease progression and reduce long-term hospitalization, ultimately improving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treatment outcomes by delivering consistent medical management outside traditional healthcare institutions.

초록

2021년 10월부터 우리나라는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재택의료 시범사업을 시행해 왔다. 이 사업은 결핵 환자의 다양한 의료적 요구에 맞춘 체계적인 교육, 상담, 환자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하여, 시범사업에 참여한 환자와 미참여 환자의 외래 및 입원, 응급 의료이용과 진료비, 사망률을 비교함으로써 시범사업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카이제곱검정, t-검정, 다중회귀분석 및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택의료에 참여한 환자는 외래 방문 횟수, 입원일수, 응급의료 이용 횟수, 관련 진료비 및 사망률이 모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택의료가 질병 악화 및 장기 입원을 예방하고, 기존 의료기관 외부에서도 지속적인 의료관리를 통해 결핵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제45권 제2호

가족돌봄청년의 실태와 미충족의료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Young Adult Caregivers and Their Unmet Healthcare Needs: Us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양현(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신지원(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무원(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배수영(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Yang, Hyun(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Shin, Jiwon(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Lee, Muwon(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Park, Hae Yean(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Bae, Suyeong(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2, pp.543-557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2.543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young adult caregivers in South Korea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Us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we analyzed responses from 14,966 young adults aged 19 to 34. Caregiving status was defin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s the dependent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across multiple models: unadjusted, adjusted, population-weigh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mong all participants, 82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young adult caregivers. Across all models, caregiving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met healthcare needs, with odds ratios[OR] of 5.0, 2.4, 3.7, 2.4, 2.0, and 2.9, respectively(p<.05). These findings highlight a meaningful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Korean youth.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systematic policy efforts to improve healthcare access for young adult caregivers and to mitigate unmet need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caregiving roles and investigate potential causal pathways.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청년의 가족돌봄 실태와 미충족의료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가족돌봄청년 여부와 미충족의료 간의 연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19~34세 청년 14,96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가족돌봄청년 여부를 독립변수로, 미충족의료 경험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족돌봄청년 여부와 미충족의료간의 연관성을 미조정 모델, 조정 모델, 인구가중치 적용모델, 성향점수매칭 적용모델로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가족돌봄청년은 82명이었으며, 모델 모두에서 가족돌봄청년 여부와 미충족의료 경험 간에 각각 OR=5.0, 2.4, 3.7, 2.4, 2.0, 2.9로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다(p<.05).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청년의 인구학적 특성과 미충족의료 경험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돌봄청년의 의료복지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과 미충족의료 완화를 위한 적극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돌봄의 특성 및 인과관계를 고려한 정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3

제45권 제2호

종사상 지위에 따른 코로나19 유행 기간 우울수준의 변화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Employment Status
박주현(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나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은자(한국보건사회연구원)
Park, Juhy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Park, Na-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Park, Eunj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45, No.2, pp.148-170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2.148
초록보기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significantly impacted the mental health of the population due to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 virus’ spread and subsequent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Notab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mployment status was expected to vary.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depression levels by employment statu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analyzed individuals aged 19 to 64 from the years 2018, 2020, and 2022.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measured using the PHQ-9 scale, while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was employment status, categorized into wage workers, self-employed individuals, and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among the entire study population increased in 2020, the early phase of the pandemic, compared to 2018, but showed a declining trend in 2022. The prevalence was highest among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In most models,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individuals had lower probabilities of depressive disorders compared to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in 2018 and 2020,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employment statuses in 202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VID-19 pandemic had varying impacts on depression levels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with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emerging as a particularly vulnerable group in terms of mental health.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targeted support policies for such groups during national crises like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managing mental health in disaster scenarios.

초록

코로나19는 전염병 확산 차단을 위한 제한적 활동과 경제환경 변화로 인해 국민정신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종사상 지위에 따라 이러한 관계가 상이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종사상 지위별 우울수준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2018년, 2020년, 2022년 19세에서 64세 성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PHQ-9 척도로 측정된 우울장애 유병률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종사상 지위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우울장애 유병률은 2020년, 2022년 계속 증가하였으나 비경제활동인구는 2018년 7.5%에서 2020년 9.4%로 증가한 후 2022년 6.3%로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모형에서 2018년과 2020년에는 비경제활동인구보다 임금근로자, 자영업자가 우울장애가 있을 확률이 낮았으나, 2022년에는 종사상 지위별 우울장애 유병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코로나19 팬데믹은 종사상 지위에 따라 우울 수준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비경제활동인구가 정신건강에서 취약한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국가재난상황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상황에서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unmet healthcare experience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analyzes the impact of disability status on these experiences. Data from the 2017 and 2020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ommunity Health Survey were utilized. Individuals with common disability types (physical, brain lesion, visual, auditory, and 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intellectual, psychiatric,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extracted from the disability survey. Based on Andersen’s healthcare utilization model, a 1:3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pproach was applied to construct a dataset comprising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while the effect of disability status was examined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pandemic, unmet healthcare experience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the pre-pandemic period, whereas they decreased among those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odds ratio (OR) for unmet healthcare experience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creased more than fourfold in the pandemic compared to the pre-pandemic period, relative to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healthcare accessibility issu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public health crises.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을 비교하고, 장애 여부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7년,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와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다빈도 장애 유형(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정신 장애(지적, 정신, 자폐성))을 가진 대상을 추출하고, 1:3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성된 자료원을 구축하였다. 두 그룹 간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으로, 장애 여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앤더슨의 의료이용 모형을 바탕으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동안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은 팬데믹 이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비장애인의 미충족의료 경험은 감소했고,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팬데믹 상황에서 이전보다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이를 통해, 팬데믹과 같은 공중보건위기 상황 시 건강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의료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의 지속, 이동 지원, 비대면 진료와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등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5

제45권 제2호

고혈압 환자의 복약순응도 관련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Factors Related to Medication Adherence in Hypertensive Patients
변준수(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고태준(서울대학교)
Byun, Joonsoo(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Ko, Tae-Joon(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2, pp.582-600 https://dx.doi.org/10.15709/hswr.2025.45.2.582
초록보기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It categorizes these factors into five groups―patient factors, condition factors, therapy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system factors―based on the WHO multidimensional adherence model. The review included studies retrieved from RISS, KISS, DBpia, and PubMed, and the search, conducted in April 2024, was restricted to papers published after 2010. The key search terms included ‘hypertension’, ‘medication’, and ‘adherence’. Following quality assessment, 22 papers were selected for review. Most of these studies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relevant factors. Common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dentified in the selected studies included: old age,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patient factors); comorbidities (condition factors); drug satisfaction (therapy factors); medication cost burden and city residency (socioeconomic factors);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s and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health system factors). Notably, health system factors were shown to enhance medication adherence by reinforcing patients' health beliefs about the factors mentioned above through consistent instructions and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quires strengthening patients’ beliefs about medication adherence and enhancing existing disease management programs.

초록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해당 요인을 WHO 다면적 순응 모형에 따라 환자요인, 상태요인, 치료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보건의료체계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고혈압 환자의 복약순응도 관련 요인 연구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 PubMed에서 검색하였다. 검색기간은 2010년 이후로 한정하였으며, 2024년 4월에 검색을 실시하였다. 검색어로는 ① 고혈압, ② 복약, 복용, 투약, 약물치료, ③ 순응, 이행을 설정하였다. 문헌선정 및 질 평가 후, 총 22개 문헌이 추출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관련 요인을 살핀 연구였다. 선정문헌의 공통적인 복약순응도 요인으로는 고령/건강행동/자기효능감(환자요인), 동반질환(상태요인), 약물만족도(치료요인), 약제비부담/도시거주(사회경제적 요인), 환자-의료공급자 커뮤니케이션/만성질환관리사업(보건의료체계 요인)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보건의료체계 요인은 환자에게 교육과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위 요인들로부터 파생되는 건강신념을 전반적으로 강화하여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환자의 개별적 신념을 강화하는 한편, 만성질환관리사업 등을 통해 이를 증대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