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결과 388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For the last 40 years, the UK has been implementing community-centered policies (community care), providing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s, including the disabled, with integrated services that combine medical care and welfare based on housing support, such as housing suppl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UK has a multilateral housing assistance policy in place and is continuing to pursue initiatives like providing homes and enhancing the living environment in order to assist the most disadvantaged parts of its population. In particular, Disabled Facilities Grants were established to assist in covering the cost of building new hom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mote community independence by improving their living circumstances.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in the home is one of several housing support measures that are in place. The UK's experience is regard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is transitioning to a community-based strategy for supporting disabled people's housing.;

초록

영국은 지난 40년간 장애인 등을 포함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주택 공급과 주거환경 개선 등의 주거지원을 기반으로 의료와 복지가 결합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중심 정책(커뮤니티케어)을 실현하고 있다. 영국은 지역사회 중심 정책을 실현하고자 취약계층을 위한 다각적 주거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주택 공급과 주거환경 개선 등의 노력을 정책적으로 지속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주거환경개선보조금(Disabled Facilities Grants)은 신규 주택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장애인의 주거환경을 물리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적 삶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고,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주거환경 개선에 보조기기(Assistive Technology) 활용을 포함하는 등 다각적 주거지원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영국의 이러한 경험은 이제 막 지역사회 중심 정책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한국의 장애인을 위한 주거지원의 방향성과 접근 방식 등에 유의미한 함의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2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이슈분석 미국 노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및 노인 일자리 사업의 시사점
Job Training Program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신어진(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 박소정(미국 세인트루이스워싱턴대학교)
Oejin, Shin(Illinois State University) ; Sojung, Park(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93-105 https://doi.org/10.23063/2022.12.8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esent state of older workers and the unemployed in the US and outlines several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employment efforts that are ongoing in the US for the elderly. The federal government has been running job training and employment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through hub centers established in each state, which has greatly promoted senior workers’ reemployment. Given that the risks of unemployment associated with the COVID-19 pandemic are highly concentrated among older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US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has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similar policies and programs in Korea. The government should work in concert with communities to support active and healthy aging. These effort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creation of government-affiliated programs and of a professional workforce tasked with job training and employment for older workers, national evaluation systems to track the efficacy of these programs, and continued awareness raising.;

초록

이 글에서는 미국의 고령 근로자와 실업자의 현황 및 노인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노인 일자리 사업을 개괄했다. 미국의 노인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노인 일자리 사업은 연방정부의 주도하에 각 주에 세워진 거점 센터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고령 근로자의 재취업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실업 위험이 고령 근로자에게 집중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노인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노인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은 한국의 유사 정책 및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고령 근로자를 전담하는 정부 산하 프로그램 및 전문 인력의 개발, 프로그램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평가 시스템, 더욱 폭넓은 종류의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일자리 프로그램, 지속적인 인식 개선 노력 등을 통해 더 생산적이고 건강한 고령화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와 지역사회의 노력이 함께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UK's policy on young carers and identifies its shortcomings. Even though UK law and academic discussion about young carers are seen as the most advanc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number of young carers in the UK has been understated or incorrectly estimated. In response to the growing public awareness, a legal category for young caregivers was created, and allowances and other forms of financial support were instituted to help them. However, due to age, hours spent caring, and time spent in school eligibility regulations, young carers, in addition to suffering from poverty and socioeconomic disadvantage, are more likely than their peers of the same age to have problems with personal well-being and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trouble that the British Young Carer Policy is having presents a point of consideration for Korean policymakers.;

초록

이 글은 영국의 영 케어러 정책 내용을 검토한 뒤, 영국 사회에서 발견되는 정책적 맹점을 비판적 인식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영 케어러 관련 정책과 학술적 논의는 양적·질적으로 가장 선진적인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여전히 영 케어러의 규모는 부정확하고 과소 추정되고 있다. 사회적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영 케어러를 법적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위한 수당 등 지원 정책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연령이나 노동 및 교육 참여 시간을 규제함에 따라 사각지대에서 사회적·경제적 박탈과 빈곤뿐만 아니라 또래집단과 비교해 개인의 안녕, 정신·신체적 건강과 발달에 문제를 겪는 이들의 비율이 높다. 영국 영 케어러 정책의 맹점은 한국의 논의에서 고려해 야 할 쟁점이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nd policies in place for young caregivers in Japan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policy in Korea. Some ten years ago, Japanese civic society and academi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young carers. As a result, some Japanese cities established ordinances to support young carers. In recent year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surveyed carers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s strategy in this regard does not extend much beyond bringing young carers to public attention and identifying them early on, leaving the country unable to systematically address the problem of young carers resulting from the current family-oriented welfare system. The Japanese experience highlights the need for Korea, which has a welfare system akin to Japan’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s it has to address for its young carers.;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의 영 케어러 현황과 대책을 살펴보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일본에서는 10년 전부터 시민단체와 연구자가 영 케어러에 주목하기 시작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제정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중앙정부가 전국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영 케어러 현황을 조사하고 대책 수립에 나섰다. 그런데 일본 정부의 정책은 영 케어러를 홍보해 사회 인지도를 높이고 이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제도를 확충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결국 기존의 가족 중심 복지 체제에서 비롯되는 영 케어러 문제에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는 유사한 복지 체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역시 영 케어러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고찰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

초록보기
Abstract

Finland has never conducted an official count of its young carers despite having an advanced welfare system. As adult morbidity rises, so doe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children care for their parents. However, the issue of young carers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social and health policy. Although Finnish law recognizes how parental illness affects children's well-being, there are few policy measures in place to mitigate this effect. This article examines why public awareness regarding young carers remains low in Finland and why policy progress in this area has been slow.;

초록

핀란드의 선진적 복지제도에도 불구하고 영 케어러 숫자는 공식 집계된 바가 없다. 성인 인구의 유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자녀가 부모를 돌보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연구 측면 및 사회 보건 관행 측면에서 영 케어러 문제는 여전히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핀란드 입법 체계는 부모의 질병이 자녀의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그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한 대책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핀란드 내에서 영 케어러 문제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낮고 이와 관련한 발전이 더딘 이유를 분석한다.;

10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이슈분석 일본의 장애아동 지원 체계 개편과 시사점
Reorgan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Japan and Its Implications
조성호(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지연(청소년정책연구원)
Sungho, Cho(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Jiyon, Kim(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82-92 https://doi.org/10.23063/2022.12.7
초록보기
Abstract

Japan's approach to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went a period of significant change with the 2012 amendment of the Child Welfare Act. As a consequence, Japan's formerly disjointed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been reformed into an integrated system.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Japan can benefit from continuous institutional care and education services from infancy through school age under this policy. Such services are delivered via collaborative efforts by a variety of parties, including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facilities. Also, these services are offered in a variety of ways to make sure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not treated unfairly and to promote their rights and social inclusion.;

초록

일본의 장애아동 지원 정책은 2012년 「아동복지법」 개정 등과 함께 커다란 변혁기를 맞이하였고, 이를 통해 그동안 분절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장애아동 지원 체계가 개편되었다. 무엇보다 일본의 장애아동 지원 정책은 영유아기부터 학령기에 이르는 동안 지속적으로 돌봄 및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화한 점과 정부 부처·지방자치단체·시설 등의 이해관계자 간 원활한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한 점, 그리고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차별되지 않도록 지역사회 참여 및 포용 관점에서 이들의 권리 보호와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